<책탐>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책탐 - 넘쳐도 되는 욕심
김경집 지음 / 나무수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 단아한 서평집

 4기 서평단에서 받은 책은 짝으로 생각할 책들이 있습니다. 음식에 관하여 <차폰 잔폰 짬뽕>과 <라블레의 아이들>이 있고, 심리학에 관하여 <착한 딸 콤플렉스>와 <두번은 사랑하지 못하는 병>이 있습니다. 서평집으로 <깐깐한 독서 본능>과 <책탐>입니다.

 느낌을 비유하면 <깐깐한 독서 본능>은 민요를 들은 것 같고 <책탐>은 정악正樂을 들은 것 같습니다. ‘밑줄긋기’ 할 내용도 많았습니다. 어찌 보면 김경집 교수님이 여러 책 중에서 감명 깊은 구절을 뽑았을테니 어찌 보면 구절구절이 명문이기도 합니다.

 읽다보니 떠오른 것이 있는데, 일요일 낮에 MBC 방영하는 ‘출발 비디오 여행’이 있습니다. 한 코너가 2가지 영화를 비교하는 것인데, 전창걸씨가 코믹하게 줄거리를 소개했지요. 이 ‘영화 대 영화’의 첫 시작은 예쁘게 생긴 아나운서 또는 기자 분이 두 영화를 비교하는 것이었습니다. 원작과 리메이크의 비교, 같은 이름의 영화의 비교, 같은 주제의 두 영화의 비교 등이었습니다. 정말 지적 유희가 넘쳤습니다. 그런데 몇 주 못가서 진행자가 바뀌고 코미디가 되었습니다. (그러면 그렇지, 지적 유희가 그렇게 흔하게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인가.)

 이 책은 두권의 책을 비교하는 지적 유희가 있습니다.

 서평집을 읽을 때의 부담은 제가 안 읽은 책을 읽었다고 착각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무슨 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 보니 제가 그 책의 내용도 대충 알고 몇 가지 언급도 하였는데, 말하면서도 ‘내가 그 책을 읽었어나?’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을 읽고, 읽은 기억 자체를 잊어버렸거나 아니면 서평 같은 것을 읽고 헛갈려 하는 것이겠지요.

 글쓴이도 이것을 경계하는데,
p91
우리는 그저 '퀴즈용'으로 간략하게 축약된 '정보'를 아예 묶어서 논술 부교재쯤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은가! 그러면서 마치 그걸 다 아는 양 만족한다.
p187
특히 쿤테라의 이 소설은 읽어보지 않고는 도저히 그 맛을 알 수 없다.
 라고 합니다.

 서평단 활동을 하면서도 제가 서평을 쓰기 전까지 남의 서평을 읽지 않는데, (서평의 표절이 아니더라도) 남의 생각과 감정을 모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호밀밭의 파수꾼>의 경우는 보관함에 8년째 누워 있는데,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포함하여 문학 책을 읽으라는 독려로 생각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식으로 서평집 몇 권을 읽게 되면 보관함 5천권을 금방 채울 것 같다.)

 (알라딘 서평단 도서입니다.)

* 한줄 평 ; 단아하다. 주제는 단아한 것이 아님에도
* 책 구성에서 인용 부분은 붉은 색의 글씨는 작은 글씨로 되어 있고 분량이 많지 않아 <유쾌하고 독한 쇼펜하우어의 철학 읽기>를 읽을 때보다 편했다. (그래도 좀 더 눈에 띄는 글씨 색은 없을까?)
* 제가 언급된 책을 대부분 읽었다면 어쩌면 별점이 5개가 되었을 듯.
* 이 책들이 대부분은 누워있는 책이 아니고 서 있는 책이라면 제가 읽은 책, 구입한 책은 몇 권이나 누워있었던 책이었을까?


댓글(1)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책탐을 읽은 후 몇 가지 생각들
    from 내가 사귀는 이들, 翰林山房에서 2010-01-02 11:08 
    * <책탐冊貪>을 읽은 후 몇 가지의 생각들 * 이 책을 읽으면서 명문장을 꼽으라면 ‘책은 삶의 속도를 늦추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영혼의 속도를 처지지 않게 하는 보석이다.’입니다. ‘글샘’님은 4기 서평단 도서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구절이라고 하셨는데, 저도 ‘서평단 후기’ 작성 전에 이 책을 읽었다면 저도 이 문장을 꼽았을 것입니다. * 감정 ; 기쁨과 즐거움  제가 고등학생 시절에 4단 7정에 대해서 이야기를 듣게
 
 
황야의 이리 2013-02-08 15: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저도 보통 서평을 읽지 않는데요. 특히 줄거리 위주의 서평이 뜸이 다 들기전의 솥뚜껑을 연 것처럼 책을 맛없게 만들기 때문이죠. 마립간님의 서평은 저와 관심분야가 전혀 다른데도 책을 읽어보고 싶게 만드시네요. 지켜볼께요. 새해복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