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책쟁이들>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한국의 책쟁이들 - 대한민국 책 고수들의 비범한 독서 편력
임종업 지음 / 청림출판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 멋있는 책쟁이들, 그러나 아쉬움이 남는 책

 <한국의 책쟁이들> 책 제목을 보자 구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어쩌면 <그들은 한 권의 책에서 시작되었다>라는 책을 보았을 때와 비슷하지만 훨씬 더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제목. ‘장서가로 불리는 사람들은 과연 얼마나 왕성한 독서를 하고 많은 책을 소장하고 있을까?’하는 의문이 생겼습니다.

 자연스럽게 알리딘에서 책 정보를 구했습니다. 그런데 서평에서 ‘기대에 비해서는 약간 부족... 알라딘 서재인 인터뷰로 꾸미는 게 더 낫지 않을까요?’라는 글을 읽는 순간 구매 욕구 뚝. 일단 구매는 보류. 하지만 읽고 싶은 욕구가 슬금 슬금 저 밑에서 솟아오른 것을 느꼈습니다. 그러던 중 이 책을 알라딘 서평단 도서로 받았습니다.

 하지만 저도 기대에 못 미쳤습니다. 기대를 너무 했던 탓일까?

 제가 책에 대한 책을 읽은 것은 <독서의 역사>입니다. 쉼 없이 언급되는 책. 게다가 쉬운 책들도 아닙니다. 어렵게 읽고 오래 전에 읽어 지금 남아 있는 기억이 없지만, 책과 독서의 감흥에 푹 빠져있었습니다.

 최근에는 ‘네이버 지식인의 서재’ (http://bookshelf.naver.com)에서 비슷한 느낌을 가졌습니다. 아마 <한국의 책쟁이들>에 기대했던 것이 ‘지식인의 서재’에서 받았던 감흥을 원했던 것 같습니다. 한 사람이 책과 어떻게 만나고, 책이 그 사람의 인생에 어떤 영향을 주고 가장 중요한 책은 무엇이고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책과 그 사람에게서의 책의 의미 등.

 시작은 좋았습니다. 특히 만화가로 시작하는 것은 ‘만화책이 책이냐, 아니냐.’라는 논란도 있었으므로 흥미로웠습니다. 그런데 정작 무엇인가 중요한 것이 나올 시점에 이야기가 끝나는 것입니다. 28명의 애서가, 장서가들이 많은 책을 갖고 있고 많은 책으로 인한 에피소드로 책을 구성하는 바람에 정작 중요한 무엇인가를 놓쳤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너무 많은 사람을 보여주기 위해 각 사람에 집중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7명에서 10명 정도에서 보다 깊은 책과의 관계를 표현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책을 다 읽고 나니 알라디너 ‘다락방’님이 말씀하신 ‘알라디너의 독서 편력을 책을 펴냈으면 하는 생각’이 더욱 더 듭니다.

 또 한 가지 언급하고 싶은 것은 ‘책을 소장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저도 읽고 싶은 책은 빌려 읽기보다 구입해서 읽는데, 이것은 저의 책에 대한 집착,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장석주씨는 책을 읽으려면 구입해서 읽으라고 권유했지만, 제가 가장 좋아하는 괴델은 책을 굳이 구입할 필요가 없다고 했습니다. 필요하면 도서관에서 가서 읽거나 빌려 읽으면 된다고 했습니다. (물론 그는 대학에 있었기 때문에 일반화하는 것에 문제가 있지만.) 도서관은 <지구를 살리는 7가지 불가사의한 물건>의 하나입니다.

 (알라딘 서평단 도서입니다.)


* 밑줄긋기

p7 “지식욕으로 포장된 소유욕인지도 모르겠어요.”
p7 이태 전 집에서 옮겨오면서 한 트럭을 버렸다. 가슴 한켠이 주저 않는 것 같았고 지금껏 살아온 삶 자체가 부정당하는 기분이었다고 했다.
p70 열람 회수가 적거나 세로로 쓰인 책은 낮춰보는 것 같고요. 귀한 책이 폐기 처분돼 흘러나오는 걸 보면 가슴이 아파요.
p72 무지개를 쫓기를 단념한 순간 폭삭 늙어버렸다.

cf 개인적으로 서재라는 블로그가 개설되면서 책을 정리하기도 쉽고, 책에 대한 정보도 쉽게 얻고 비록 온라인이지만 인간관계도 형성했습니다. 그럼에도 아쉬운 것은 예전의 ‘명예의 전당’이 사라진 것입니다. 예전의 ‘명예의 전당’은 어느 정도의 책을 알라딘에서 구입해야 하고, 서평도 질적인 면에서, 양적이 면에서 모두 충족되어야 했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09-10-21 1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딸기님 서재 소개 ; '책 읽고 나서, 확 버리자. 종이뭉치 쌓아두면 뭐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