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쾌한 철학, 소소한 일상에게 말을 걸다>를 리뷰해주세요.
유쾌한 철학, 소소한 일상에게 말을 걸다 - 일상에서 찾는 28가지 개념철학
황상윤 지음 / 지성사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철학은 구름위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 책을 읽어가면서 꼭 내가 쓴 글 같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앞 문장은 <후불제 민주주의>의 서평에도 언급했던 이야기입니다. 저의 정치적 가치관 및 지식이 <후불제 민주주의>에 요약되어 있다면 저의 철학적 지식 및 가치판단이 잘 정리된 책이 <유쾌한 철학, 소소한 일상에게 말을 걸다>라고 할 수 있겠군요. 잘 모르는 ‘데리다’나 ‘들뢰즈’를 언급한 책이었다면 모르면서도 아는 체하는 라고 꽤 힘들었을 것입니다.

 물론 주장하는 모든 것에 동감하는 것은 아닙니다. 후반부 정치적 가치판단에서 있어 동감을 하지만 추가되는 의문을 황상윤 교수님께 던지 싶은 구절이 여러 군데 있었습니다. 그 중 하나인 철학의 유용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

 ‘철학은 현실과 무관하다.’ ‘철학은 아무짝에도 쓸모없다.’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철학교수인 본인은 그렇게 생각지 않겠지만 대부분 일반인들은 아마 그렇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어쩌면 철학은 당연히 쓸모없다고 생각해서 입 밖에 소리를 내지 않지만 오히려 수학의 경우는 ‘수학은 현실과 무관하고 아무짝에도 쓸모없다. 산수 정도면 충분하다. 단지 입시를 위해서만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됩니다. 그렇게 따지면 직업적 작가나 기자가 아닌 다음에야 문학은 뭐에 필요하겠습니까? 화가나 직업적 디자이너가 아닌 사람들에게 미술 공부는 무슨 소용이 있나요?

 새로운 개념 몇 가지를 이 책에서 건집니다. ‘철학이란 정답은 No!, 질문은Yes!’ 저는 개인적으로 이 문장에 동의를 하지 않지만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구나’라는 느낌을 갖습니다. 도덕과 윤리의 구분입니다. (저의 대학생 새내기 시절 대학 입학 후 거의 대부분이 읽는 책인) <철학의 기초이론>에 보편성과 특수성이라 단락이 있었는데, 도덕-윤리에서도 적용되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꼈습니다. 저의 성향은 특수성보다는 보편성에 관심이 많습니다. 따라서 윤리를 총괄하는 도덕이 반드시 존재하지 않을지 모르나 존재한다는 가정 하에 추론과 (사고) 실험을 추구합니다. 역시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적 사고방식입니다.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이때의 형상이란 지정의知情意를 말한다고 합니다. 집에서 키우는 개를 봅시다. 개에게 지식이 없는가? 냉장고 문을 열면 그 속에서 음식을 꺼내는 것을 안다. 사람이 야단치면 서글퍼한다. 배고프면 먹을 것을 찾으려는 의지가 있다. 개에게도 지정의가 있습니다. 인간의 본성 ‘자주성, 창조성, 의식성’은 다른 동물과 불연속적으로 구분되는가? 그런 것 같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인간을 구분 짓는 비교적인 잣대는 '메타인식'이라고 생각합니다.

 불관용에 대한 관용이냐 불관용이냐는 또 다시 선善이 무엇이냐, 윤리에 적용 받을 것인가 도덕에 적용 받을 것인가라는 문제가 제기 됩니다. ‘강요된 선과 방임된 악 중에서 어느 것이 좋은가?’

 타인에 대한 삶의 인정 ; 강남에 사는 부자인데, 다른 사람의 간섭을 싫어한다. 부자세가 신설되면 세금을 낼 것이고 지금은 종합부동산세를 낸다. 법테두리 안에서 일하고 돈을 번다. 이 사람은 가난한 사람과 어울려 살기 싫다. 불쌍한 사람을 돕고 싶지도 않다. ‘그냥 나를 내버려도 둬!’

 (알라딘 서평단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