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을 먼저 보고 영화를 볼 경우, 원작만큼의 감동이나 재미를 보기가 쉽지 않았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많지만.

두시간 여의 짧은 시간 안에 작품의 무거운 주제를 어찌 소화할 것인가, 또 주연 배우들의 연기력은 얼마만큼 뒷받침 될 것인가 궁금했다.  결론은, '나름대로' 해결했다는 것이다.

일단, 책의 재미나 슬픔을 다 좇아가진 못했다고 말하겠다.  그러나, 영화로 보여줄 수 있는 멋과 장점도 잘 살렸다는 느낌이다.

이나영은 이 작품에서도 전작의 느낌이 많이 났다.  글쎄... 배우의 한계라기보다, 일부러 그 배우에게 어울리는 대사들로 이미 가지치기를 해버렸으니 그녀 탓은 아니다.  또, 바꾼 분위기가 그녀에게는 잘 어울렸으니가.

강동원은, 초반 연기는 부족하게 보였다.  그렇지만 엔딩에 가까이 갈수록 연기가 무르익는 느낌이었고 워낙에 인물이 받쳐주므로 다 용서함...;;;;;

내용을 약간씩 바꾸었는데 두 아이를 내치는 엄마의 대사 "나도 좀 살자!"

나 살자고 아이들을 죽게 하는 모질고 이기적인 엄마의 모습을 함축적으로 보여줬지만 원작에서처럼 그녀의 후회와 번민은 나오지 않는 게 시간 관계상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블루노트"의 존재 없이 시간 흐름으로 내용을 구성하니, 강동원의 추락에 대한 설명이 좀 부족하지 싶다.  적어도 그가 '사형'을 당할 이유로는 말이다.

그리고 원작에서는 유정이 먼저 자신을 꺼내놓고 윤수가 마음을 여는데, 이 작품에선 그 반대로 나온다.  그건 좀 아니다 싶었다.

원작은 두 사람의 관계를 굳이 '사랑'으로 얘기하지 않았는데, 영화는 '애써' 사랑으로 포장하였다.  그래서 그를 위해 사진을 찍는 여주인공의 모습을 아주 이쁘게 감상적으로 담는다.  영화로서 택할 수 있는 선택이었지만 조금 아쉽긴 했다.   주인공들의 나이를 많이 낮추어 놓은 것도.

원작과 비교하면 함량이 조금 떨어졌지만, 아주 나쁘진 않은 영화 관람이었다.   마지막에 사진의 제목이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라고 써 있고, 그 장면을 클로즈업 하는 연출은 마음에 들었다.

별 넷 중에 별 셋 정도?  이젠 타짜를 봐야겠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9-30 0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 영화 아직 못 보고 있네요. 책이 더 나으려나. 타짜도 보고 싶어요.^^

마노아 2006-09-30 07: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책이 더 낫더라구요^^ 타짜는 원작을 아직 못 봐서 영화 괜찮게 보일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