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의 죽음 미네르바의 올빼미 4
잉에 아이허 숄 지음, 유미영 옮김, 정종훈 그림 / 푸른나무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만 보고서는 어느 성자의 이야기인가 했다.  책을 펼쳐 드니 나치 치하의 독일에서 그들의 범죄를 폭로하고 부당함을 당당히 밝혔던, 그랬기에 붙잡혔고 그랬기에 사형 당한 젊은이들의 이야기였다.

그 젊은이들은 사형받을 때의 나이가 고작 스물 다섯, 스물 둘일 정도로 아주 어린 친구들이었다.  우리로치면 한참 대학 캠퍼스에서 젊음을 누릴 나이다.(물론 요새 캠퍼스 분위기는 '낭만'과는 좀 거리가 있지만...;;;)

시대가, 역사가, 그들을 그렇게 평범하게 살 수 있게 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 평범하지 않은 길을 택한 것은 누구도 아니고, 누구의 강요도 아닌 그들 자신이었다.

모두가 원했지만, 모두가 알고 있었지만 해내지 못한 일들을, 그들은 그들의 선택과 의지에 의해서 앞장 서서 해낸 것이다.

그들 젊은이들의 당당함에 눈부신 것은 당연했지만, 또 그들의 부모님의 당당함에는 더 깊은 숙연함으로 고개가 숙여졌다.

우리의 역사 속에서도 그들과 비슷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리 오래되지도 않았다.  일제 시대 독립운동가들까지 가지 않더라도 80년대 이 땅의 민주화와 자유를 위해 투쟁하고 싸우셨던 많은 분들이 계시다.

그때 흘렸던 피와 땀과 노력으로 오늘날 우리는 이 정도의 자유를 누리면서 살고 있을진대, 불과 20여 년 전의 시간이 지났을 뿐인데, 그 고마움을 얼마나 알면서 지내는가 생각이 미쳤다.

과연 내가 그 시절 그 자리에 있었더라면 나는 그처럼 움직일 수 있었을 것인가 당당하게 말할 수조차 없다.

나라를 위해서 거창한 의미의 애국을 하라는 말은 아니다.  그 시절 그 사람들이 자랑질 하려고, 내세우려고 그리 싸웠던 것이 아닌 것처럼, 또 강요된.. 혹은 학습된 애국을 원하는 것도 아니다.

그렇지만 적어도, 누군가가 그토록 목숨 바쳐 지켜온 이 땅이, 이 나라가, 이 사회가... 그들이 지킬 만한 가치가 있었던 곳이라는 사실에 변함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자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그런 사람이 더 이상 죽지 않아도 될 사회를 꿈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