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 더 풀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억관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책 하나 사는데 책 하나를 더 준다는 것은, 사실 끼어주는 책이 참 안 팔렸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팔린 책의 인기를 믿고 너무 많이 찍어서 남는 것일 수도 있겠다.

공중그네의 재미를 믿고 1+1으로 산 이 책.  뭐, 워낙 싸게 샀으니 불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전편 공중그네로 인해 기대치가 높았는데 기대보다 부족했던 게 섭섭할 뿐.

여전히 엽기 의사와 간호사가 있는 독특한 병원이다.  그러니 그 병원에 찾아오는 사람도 평범하지 않다.

지난 번 공중그네 때의 환자들은 특이한 직업군의 사람들이었다.  조폭도 그렇고 공중곡예사도 그렇고, 작가나 의사도 평범하진 않다.  이번 편은 비교적 평범한 사람들이 나왔달까.

도우미는 연예인이 꿈이지만 연예인이 된 것은 아니었고, 평범한 샐러리맨 남자와,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도 있었다.  논픽션 작가가 그나마 조금 특이한 직업의 사람이었다고 하겠다.

아마도 내가 이 책 인더풀을 덜 재밌고, 혹은 더 지겹게 읽었던 것은, 이들의 증상에 화가 났던 것일 수도 있겠다.  첫번째 도우미는 스토커가 쫓아온다고 착각했지만 나르시스즘과 공주병이었고, 핸드폰 중독증에 걸린 학생도 한숨 나오긴 마찬가지였다.  마지막에 불이 날까 봐 강박증에 걸린 남자도 읽는 내내 내 머리가 아플 만큼 스트레스였다.

전편과 달리 이라부의 반응도 재밌고 유쾌하지 않고 많이 엽기적이었고, 환자가 병을 치유하는 과정이나 혹은 결과도 그닥 만족스럽지 않았다. (작가의 매너리즘? 독자의 권태기?)

어쩌면, 내가 불만스럽게 여긴 증상들은 내가 닮고 싶지 않은, 혹은 내게서 나타나지 않았으면 하고 바라는 증상일지도 모르겠다.  공중그네에서 나온 증상들은 나와 상관없었는데, 이번 인더풀에서 나온 증상들은 꼭 무관하지만은 않단 생각이 들었다.

강박증은 어릴 때 나도 겪은 적이 있다. 5분 간격으로 화장실에 가 소변을 본다든지(자다가 갑자기 화장실에 가고 싶어질까 봐 걱정했다.) 길을 걸을 때 보도블럭의 금을 절대 밟지 않는다던지 하는 것.

외로워질까 봐, 외롭다는 것이 들킬까 봐 휴대폰에 집착한 고등학생의 모습이 참 리얼하게 보였다.  학창시절의 내 모습은 두루두루 좋은 친구였다.  누구랑도 친하고 누구랑도 잘 지내지만, 특별히 누구랑 친하지는 못했다.  학기 말에 돌림편지를 쓰면 내 페이퍼에는 온통 좋은 말이 넘쳤지만, 그렇다고 딱히 친하게 지내는 동창은 없다.  본인이 외로운 사람이라고 절대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책을 보면서 너무 잘 이해되었기에 나는 싫었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 나온 사람들처럼 나도 이라부가 부러울 때가 많다.  무엇이든 거침 없이 해내고, 속에 있는 말을 다 밖으로 표현하고, 애써 표정을 만들고 감정을 숨기고, 욕하고 싶은 것을 감출 필요 없는 그런 마인드.

그게 옳다거나 바람직하거나 권장할 사항은 아니건만, 그래보지 못했고, 앞으로도 그러지 못할 것 같아서 나는  부럽다.  이 넘의 소심증은 걱정이 너무 많아 남의 시선에 비친 내 모습을 늘 신경쓰며 살게 되니, 걱정도 사서 하고, 분에 넘치는 염려를 싸매 지고 살게 한다. 

이 책의 환자들과 달리, 내게는 이라부 같은 고민을 들어줄 상대도 없고,(만날 수 있을 것 같지도 않고) 잘 고쳐질 것 같지도 않다.  사람 성격은 절대 쉽게 변하지 않는다.(ㅡㅡ;;)

혼자 무언가에 심취해 있고, 빠져 있고, 열심히 매달리지만 어느 날 돌아보면 그 모든 게 허무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모른 체 한다.  어쩌면 알라딘 서재에 공을 들이고 있는 지금의 모습도 그럴 지 모른다.  5년 넘게 쓰던 소설을 어느 날 갑자기 못 쓰게 된 것처럼.

책 한권을 읽고 감상을 쓰다가 갑자기 너무 우울해져버렸다. 아침이 되면 다시 후회되어서 슥슥 지울 지도 모르겠다.  결국엔 책보단 내 감정에 취해 별 셋이 되어버렸다. 그렇지만 지우지는 않을란다.  그냥, 그대로 가야지(어디다 화풀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