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털 없는 기러기 보르카 비룡소의 그림동화 7
존 버닝햄 지음, 엄혜숙 옮김 / 비룡소 / 199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르카는 기러기다.  가족 모두와 다를 바 없는 물갈퀴와 부리를 가진 기러기이지만 다른 이들과 달리 깃털이 없다.  엄마 기러기는 보르카를 위해 회색 털옷을 정성스레 떠 주셨다.

추위에 힘들어하던 보르카는 큰힘을 얻고는 형제들에게 자랑을 한다.  그러나 형제들은 그런 보르카를 보고 비웃기만 하고 같이 놀아주지도 않는다.

형제들이 물속에 들어가 헤엄을 칠 때 보르카는 그 자리에 낄 수 없었다.  털옷은 한 번 젖어버리면 말리는데 너무 애를 먹기 때문이다.  형제들처럼 나는 연습도 하지 못하고 보르카는 점점 외톨이가 되고 만다.

그렇지만 가족 중 누구도 신경쓰지 않는다.  오히려 보르카가 홀로 방황하고 있음을 알아차리지도 못한다.

날씨가 추워졌다.  식구들은 모두 따뜻한 곳을 향해 날아갔지만 그 자리에 보르카가 끼어 있지 않았다는 사실도 깨닫지 못한다.  혼자 남겨진 보르카는 지붕 있는 곳을 찾다가 어느 배에 들어간다.  그 곳에서 개와 친구가 되고 선장과도 친하게 지낸다.  런던까지 도착해서 그곳 공원에 놓여진 보르카는 다양한 새들과 동물들이 있는 그곳에서 놀라움을 맛본다.  거기서는 누구도 보르카를 보고 신기해하거나 혹은 놀림감으로 여기지 않았다.

보르카는 그곳에서 다른 이들과 어울리며 살아가게 된다.  그리고 해마다 자신을 찾아주는 친구 개와 선장을 만나며 즐거이 인사를 나눈다.

작가 존 버닝햄은 이 책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했다.  가족 안에서도 소외 당하기 일쑤인 장애우를, 결국 그를 구원해 주는 것은 누군가의 일방적인 도움은 아니었다.  다양함을, 남과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 속에 스스로 부딪혀 섞일 때 스스로를 위한 자유를 찾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가족으로부터의 외면을 보여준 것은, 이 책이 어린 아이를 상대로 쓰여진 책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몹시 잔인하게도 들리기도 하지만, 또 그만큼 솔직하고 보다 근원적 문제에 접근했다는 이야기도 된다.

역시 존 버닝햄이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부디 우리 모두에게 깃털 쯤 없어도 무슨 상관이야? 우린 친군데... 라는 자발적인 다짐이 나올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덧글... 그런데 기러기는 원래 추운 데서 사는 조류가 아니었던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