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
신복룡 지음 / 풀빛 / 2002년 1월
평점 :
절판
사실, 공교육이든 사교육이든 하여간 중요한 것은, 우리가 자랄 때 배운 내용은 부러 수정하기 전에는 평생을 바뀌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박힌 편견들은, 편견이 진리로 둔갑하여 우리 안에 둥지를 틀 수가 있다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내가 중학교 시절 선생님은 홍길동전을 가르치면서 허균이 서자라고 말하셨고,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가르칠 땐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에서 '차마'라는 말은 부정어와 결합되어야 하는데 한용운이 문법적으로 오류를 보였다고 가르치셨다.(ㅡ.ㅡ;;;;)
그때야 당연히 그게 맞는가 보다 하고 지나갔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틀려도 한참 틀린 내용이었다. 물론, 이렇게 개인의 실수로 치부되고 넘어갈 수 있는 일이라면 차라리 다행인 지도 모른다.
우리의 역사 교과서는 일종인 탓에....;;;;; 비켜갈 수도 버릴 수도 없으니 말이다. 일본이야 왜곡된 역사 교과서를 채택하지 않을 수 있는 자유라도 있지만, 우리는 그럴 자유도 없지 않은가.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우리 역사 교과서도 왜곡된 것 엄청 많다. 일본과는 좀 차원이 다르지만, 100% 옳다고 절대 말 못함.ㅡ.ㅡ;;;;
그래서 이 책은, 그런 우리의 편견에 경종을 울리는 소중한 자료가 될 수 있겠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조선을 다녀간 선교사와 기자, 여행객 기타 등등...
하여간 조선을 방문했고, 조선을 겪었으며, 깊은 인상을 받은 뒤 그것들을 기록으로 남겨 후대에 좋은 자료를 남겨준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 책에 담겨 있다. 그들이 실제로 조선에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이 무엇이고, 그런 그들이 우리에게 끼친 영향, 그러나 잘못 알려진 사실 등등...
그런 이야기가 담겨 있는데, 신복룡 교수의 이전 책은 그닥 재밌게 보지를 못했는데, 이 책은 유독 재밌고 인상 깊게 보게 되었다. 1차 사료가 얼마나 중요한 지 새삼 깨닫는 기회도 되었고 말이다.
제목 그대로 이 책은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혹은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조선의 다른 모습, 어쩌면 진실일 지도 모르는 이면을 조심스럽게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기꺼이 내줄 것이다.
표지의 골지 느낌과, 세피아 톤의 사진도, 하다 못해 제목의 글자체마저도 마음에 드니, 아마도 내가 이 책이 참 맘에 들었나 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