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우리 연극해요 살아있는 교육 8
김용심 지음 / 보리 / 199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학생들과 연극을 통해서 교육을 실시하는 현장을 찾아간 어느 기자의 인터뷰와 그 기록의 산물이다.

그러나 인터뷰라는 말처럼 딱딱하게 읽혀지지 않고 오히려 현장감이 살아 숨쉬는 생생함이 책 전체에 묻어 있다.

그녀가 찾아간 여러 학교의 선생님과 학생들의 이야기를 담았는데, 과목별로 어떻게 연극을 수업에 접목시켰는가를 자세히 기록했고, 인터뷰어의 소감도 적절히 담아 있어 책의 글자와 종이 질감이 주는 딱딱함과는 달리 부드럽게 읽힌다.

사실 나는 이 책을 작가 때문에 구입했다.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사람이 쓴 책인데, 그녀의 본명을 몰랐던 나는. 우연한 기회에 이 책이 그녀의 오래전 작품이라는 사실을 알고 무턱대고 구입부터 했다. 그리고 차분히 책장을 폈는데, 기대치 못했던 진주를 발견한 느낌이랄까.  그리고 내게도 큰 도움이 되는 분야의 책이었으니 더 고마운 일이었다.

영화평론가나 음악평론가들 중에, 그냥 챕터만 읽거나 듣고서 대강 글을 써서 오히려 관객이나 청취자의 눈과 귀를 흐리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는데, 이 책은 기자가 얼마나 열심히 발로 뛰고 성심껏 일을 했는지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앞서 가졌던 선입관에 미안할 만큼.(물론, 그런 인간들이 있기는 하지만..ㅡㅡ;;;;)

그런데, 이 책이 나온지는 벌써 십년이 넘었는데, 그때와 지금의 달라진 학교 풍경이 조금 씁쓸하다.

내가 어릴 때도 "스타탄생"이라는 제목의 어린이 프로가 있었는데, 강남길씨가 선생님으로 나왔고, 아이들과 연극을 하면서 서로의 상처를 치료하는 뭐 그런 내용이 나왔었다.

그런데, 지금이 학교에서 이런 연극이 과연 가능할까.

청소당번인 아이가 빨리 학원가야 하다고 안하고 그냥 가면 안되냐고 묻는 풍토인데...

아마 점수에 들어간다!고 하면 군말 않고 참석할 테지만, 아무 주어지는 것 없이 그저 교육을 위한 것이라며 참석을 요구한다면 순순히 연극 활동에 동참해줄 수 있는 아이가 몇이나 될까.

그런 생각들을 하니 참 서글퍼진다. 아이의 책임도 아닌 우리 교육 현실의 책임일 테니까.

요새는 시험 기간이라고 중1 학생이 학원에서 새벽 한시까지 보충수업을 받는다는데...

그 아이의 무거운 어깨와 한숨, 고단한 피로감이 아른거려 마음이 아프다.

이런 책이 과거의 산물로만 남지 않고, 오늘날에도 현장에서 좋은 교재로 쓰일 수 있는 교과서가 될 수 있다면 참 좋겠다.  꿈꾸어도 과연 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