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홍세화 지음 / 창비 / 199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책이 출간된지는 십년이 넘었다. 당시 나는 고등학생이었고, 대학생이었던 언니가 무척 재밌게 보았던 기억이 난다. 앞부분의 서두에 해당하는 부분만 읽고, 마무리지어 읽지 못했는데, 십여년 뒤에 도서관에서 다시 찾게 되었다. 읽고 나서는 결국 구입하고 말았다. 이런 책은 소장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외치면서.
지금이야 망명자의 생활을 청산하고 한국에서, 예의 그 필력을 떨치며 일하고 계시지만, 이 책이 출간되었을 당시만 해도 저자는 세계 그 어느 나라도 갈 수 있지만 꼬레아 만은 갈 수 없는 사람이었다. 때문에 그가 하는 말들은 감상적이기보다 차라리 절실할 정도로 호소력이 있어 보였다.
서두에서 빠리에 오면 자신이 안내해 주겠다고, 이리저리 둘러 보여주는 장면은 말씨가 몹시 예뻤다. 거북선 이야기도 인상적이었다. 그런 그가 자신의 이야기를 잠시 들어달라며 말문을 여는데, 어쩐지 눈물이 날 것 같았다. 얼마나 억울했으며, 얼마나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았겠는가.
역설적이게도 홍세화씨는 독재정권 시기에 탄압을 받았던 다른 사람들보다는 운이 좋은 편이었다. 망명에 성공했고, 지금은 돌아와 있으니까. 그의 고난과 역경은 모두 귀한 체험이 되어 그의 필력을 더욱 날카롭게 만들었고, 사회에 안주하지 않기 위해서 부단히 애쓰는 채찍질이 되었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결과를 어느 정도 보고 난 지금 할 수 있는 얘기들이다. 매 순간순간 그와 그의 가족들이 부딪혀 싸워야 했던 현실들은 얼마나 가혹하고 참담했을까.
그래서 그가 택한 나라가 프랑스였던 것은 참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거기라고 차별이 없고 억압이 없을 리 없지만, 적어도 똘레랑스, 관용이 사회의 미덕이며 습관으로 정착되어 있는 곳이니 말이다. 그가 택시 운전 시험에서 있었던 시험관과의 일화 등도 그런 예중에 하나일 것이다
이 책을 보는 즐거움 중 하나가 그것인데, 프랑스 사회의 똘레랑스를 보는 재미가 꽤 놀라웠다. 금지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허용된 나라라는 설명이 그대로 이해되는 순간이었다. 그런 사회의 모습에 익숙해져 있을 무렵에 저자는 한국에 돌아온 셈인데, 떠나갈 때와 너무도 달라진 조국은, 여전히 똘레랑스와는 거리가 멀어서, 그는 가끔 프랑스를 그리워하지 않았을까 싶다. 물론, 다시 그곳으로 가고 싶을 거라는 얘기는 아니지만, 때로 답답한 마음이 느껴질 것 같다. 직접 보지 못하고 간접 경험만 한 내게도 답답한 구석이 있으니, 긴 시간을 살아온 그는 오죽할까 싶은 것이다.
자신에게는 냉정하되, 타인에게는 너그러운 사람이 되라고 하는 말을 우리는 듣곤 한다. 고개 끄덕여 동의하지만 쉽지 않다. 게다가 팔은 어찌나 안으로만 굽는지...;;;
우리 사회 안에 만연된 학연 지연 등등.. 사람이 생활의, 삶의 중심이 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하나, 번지 수가 틀리면 그것은 우리 사회를 좀 먹는 벌레가 될 것이다. 부패한 사회가 발전하는 것을 어디 보았던가.
그래서 '관용'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본다. 스스로에게는 보다 냉철해지되 이웃에 대해서는 관용을 베푸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사회라면, 보다 정직하고 보다 따뜻하고 보다 아름다운 세상이 되어 있지 않을까.
그리고 덧붙이는 말은, 홍세화씨처럼 독재정권 시기에 억압받고 피해를 본 이들에게, 반드시 보상과 해명, 사과가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전 교황은 십자군 전쟁 시기의 교회의 잘못을 천년도 더 넘은 시간 뒤에 공식 사과를 하였다. 이제라도 하였으니 다행이지만, 제발 그렇게 긴 역사의 심판을 기다리며 잘잘못이 묻어가지 않았으면 한다. 우리 사회가 이렇게 휘청거리며 어렵게 지내는 것은,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지 않고 심판하지 않고 넘어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제발, 부디! 당대인이 살아있을 때에, 당사자가 있는 앞에서 사죄와 용서가 이루어지기를... 그 또한 우리 사회에 관용이 넘치는 지름길이지 않을까. 마땅히 되어야 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