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역사를 만나다 - 세계사에서 포착한 철학의 명장면
안광복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저자는 철학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역사를 빌려왔지만, 역사를 공부하는 내게는 역사 공부를 위해 철학을 빌려온 느낌이다.  어느 쪽이든 틀린 설명은 아닌 듯 싶다.

저자가 이같은 책을 쓰게 된 연유가 철학을 쉽게 가르치기 위해서 역사를 끌어온 것이라 했는데, 동시에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것 같다고 말하면 아주 기뻐하지 않을까.

역사를 가르침에 있어서도 철학 얘기가 나오면 사실 어렵기도 했다. 덕분에 이 책 도움으로 나 자신이 먼저 이해를 할 수 있어서 좋은 교과서가 된 셈이다.(현재 진도로는 십자군 전쟁이 해당.. ^^;)

아무래도 철학 전공이고 역사는 비전공이다 보니 내용 중 사소하게 틀린 부분도 눈에 띄었다. 조선의 관직 중 사헌부와 사간원을 바꿔서 설명했다는....;;.; 이 정도는 애정으로 넘어갈 수 있다. (물론 내 책에는 수정을 해 놓았지만.) 광택이 나는 종이가 번쩍여서 그도 좀 맘에 안 들었지만 이것도 개인적인 취향일 뿐이고...^^;; 책이 쉽게 금방 넘어가는 것은 하나의 장점이다.  철학을 작정하고 설명하고자 하면 백과사전 두께도 모자라지 싶으니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역사, 철학... 그 어느 것도 사실 따로 놀지 않는다. 모두 유기적으로 혹은 그보다 더 깊게 서로를 간섭하며 영향을 미치며 작용하고 있다.  그 흐름을 잘 읽을 수 있는 사람이 그 분야 모두 제대로 이해하게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면, 내가 수학능력시험을 치를 때에는 그런 까닭에 과목을 섞어서 문제가 출제되곤 했다.  이를테면 국사 문제에 지리, 사회가 같이 섞여 있는 모양. 그래서 어느 한 과목이 조금 약해도, 다른 과목의 지식에 기대어 문제를 풀 수 있게 출제했었는데, 요새는 영역이 다 세분화되어서(시험지조차 구분되어 있다) 이전같은 기대기(?)는 조금 힘들지 싶다. 

그러나 시험문제는 따로 각각일지라도 우리의 생활과 삶, 전체에서는 모두 섞이어 작용하는 그들이니,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은 늘 필요하지 싶다.  그리고 그런 관심을 끌어오는 데에는 이같은 대중서가 큰 역할을 하기 마련이다.  작가의 부지런함에 고마움을 표하며, 다음 만남도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