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솔직히 제목은 딱딱하다. 표지 그림의 호랑이도 조금은 부담스럽다.  그러나 속을 열어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저자 오주석 선생님의 강의 내용을 활자로 옮겨놓은 강의인데, 그 쉽고 재미있는 설명과 말투는 몹시 친절하고 소개되는 그림들은 영롱하기 그지 없다. 

오주석 선생님은 김홍도를 전문적으로 연구하신 분인데, 책을 읽고 나면 비록 전문가는 아닐지라도 김홍도에게 조금은 가까이 간 기분이 들만큼 자세한 설명이 고맙다.  물론 책은 김홍도의 작품만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의 스승 강세황과 기타 다른 그림들도 매력적으로 언급하신다.

보면서, 그림을 보는, 미술관을 관람하는 '교양'이라고 하는 것이 내게 얼마나 부족한가를 깨달으며 자숙의 시간을 가졌다.  또 너무나 서양 중심에 익숙해져 있는 한국인의 내 모습에 또 부끄러움을 느꼈다.  우리는 음악을 생각해도 서양 음악이 기준이요, 우리 것은 '한국음악/전통 음악'이다. 미술도 그렇다. 한국 미술/동양 미술 등으로 불러버린다.  그리고 그것이 문제가 있다는 것도 깨닫지 못한다. 안타깝고 답답한 현실이다.

있는 것 그대로 그리고 보여주는 초상화인 터라, 그것이 검버섯이든, 사마귀이든, 자연 그대로를 담아낸 화폭, 인생을, 삶의 연륜을 보여주어야 하기에 오히려 젊을 때에는 초상화를 남기지 않았다던 조선의 그림들, 이쁘고 젊고 화려한 것에만 집착하는 우리네 삶을 돌아보면서 역시 반성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었다.

이 책을 읽고 난 다음 주에 "표암 강세황 전"을 보게 되었다. 원래 루벤스 전을 보러 갔던 것인데, 옆 건물에서 전시회를 하고 있었고, 며칠 뒤면 끝날 전시회였다.  뜻밖에 반가운 이름에 들렀는데, 오히려 루벤스 전에서 보지 못한 멋과 느끼지 못한 감동을 여기에서 채웠다.  흔히 말하지 않던가.  "아는 만큼 보인다"고...

알고 나서 들여다 본 그림과 서예와 각 작품들의 멋은 매혹 그 이상이었다.  책에서 보았던 것을 눈으로 확인하고 가슴으로 이해하던 고마운 시간이었다.

이 작품을 지인에게 추천하고 엄청 고맙다는 인사를 들은 기억이 난다.  이런 책을 만나게 해주어서 정말 고맙다고.  나 역시 그랬다.  이책을 만날 수 있어서 참 많이 행복했다.

오주석 선생님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도 그래서 즐겁게 볼 수 있었다.  선생님께서 타계하셔서 너무 충격이었고, 다시 그 분의 작품을 만날 수 없다는 사실도 우리 사회의 크나큰 손실이라고 생각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이런 책이 베스트 중에 베스트 셀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전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