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방을 찾아서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2년 5월
장바구니담기


친구의 결혼식을 마치고 피로연장에서 만난 '처음처럼'. 그 글씨를 쓰신 이가 신영복 선생님인 것으로 알고 있다. 글씨로 이름을 떨치신 분답게 본인의 글씨가 새겨진 '변방'을 찾아다니며 그 글을 묶어낸 책이다. 그림책이 아니지만 예술품을 감상하는 재미를 같이 느끼게 한다.

첫번째 방문지는 해남 땅끝이었다. 변방 중의 변방이고 게다가 분교이기도 하니 더 낙후되었을 것만 같지만, 뜻밖에도 송지초등학교 서정분교는 아주 활기찬 곳이었다. 폐교 직전까지 갔던 학교의 위기를 학부모들이 일심으로 도와 극복해낸 것이다. 그 학교의 도서관 간판이다. '꿈을 담는 도서관'이라니, 어쩐지 벅찬 이름이다. 작고 작은 분교 도서관에서 큰꿈을 키울 어린이들을 격하게 응원해주는 멋진 글씨다.

두번째는 강릉의 허균·허난설헌 기념관이다.
양반댁의 자제로 태어났지만, 여성으로 태어나서 재능을 다 꽃피우지도 못했고, 심지어 요절까지 한 비운의 허난설헌은 '변방'이라는 이 책의 기본 분류에 무척 잘 어울린다. 어쩌면 혁명을 꿈꾸었을지도 모를 풍운아 허균 역시 마찬가지다. 이런 인물들이 남매로 태어난 것도 참 아이러니하다.
강릉하면 신사임담 오죽헌, 율곡 이이가 먼저 떠오른다. 그들이 주류라고 한다면, 허균과 허난설헌은 변방이라고 할 만하다.

충북 제천의 박달재다. 울고 넘는 박달재란 노래 제목만 들어봤을 뿐, 실제로 들어보진 못했다. 박달재에 얽힌 슬픈 사연도 함께 들을 수 있었다.

과거시험에 낙방한 박달은 면목이 없어 돌아오지 못하고, 기다리다 지친 금봉이는 벼랑에 몸을 던져 자살한다. 그리고 뒤늦게 돌아온 박달 역시 금봉이를 좇아 벼랑에서 떨어져 죽는다.

지금 이곳은 터널이 뚫려서 직접 고개를 넘어오는 사람을 찾기 힘들다. 이조차도 슬픈 사랑 이야기가 스민 곳답게 적적하게 만든다.

충북 괴산의 벽초 홍명희 문학비와 생가도 찾아갔다.
홍명희는 그가 일궈낸 문학적 업적과, 또 독립운동사의 한 획을 그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월북 행적 때문에 지나치게 평가절하되었다고 본다.
북으로 가기 전 농지 17만 평을 무상으로 농민들에게 분배해주고 갔다니, 그야말로 이상적 공산주의가 아닌가. 부친께서는 경술국치를 당해서 자결까지 했다고 한다. 나라가 망했는데, 그렇게 목숨뿌리는 선비 몇이, 그래도 조선에 있었다는 것에 500년 왕조의 마지막에 일종의 헌사가 될 수 있을까.

다음 방문지는 오대산 상원사다. 문수전의 글씨를 쓰셨다. 한국 최대의 종단인 조계종 사찰에서 변방의 의미를 찾는다는 것은 어쩌면 무척 어울리지 않는 일이기도 하다. 지혜의 보살인 문수보살을 모신 문수전. 깨달음의 세계인 ‘지혜’에서 ‘변방성’을 어떻게 엮어낼 것인가 저자는 몹시 고민했다고 한다. '지혜’와 ‘무소유’는 ‘상품’이 되지 못하면서도 역설적으로 살아남아 극적인 상품이 되었다. 변방은 공간의 개념이 아니며, 인간의 삶 그 자체가 변방의 존재이고, 변방이란 바로 자기 성찰이라는 점을 이야기했다. 마치 철학자의 깨달음이나 성직자의 득도를 보는 기분이다.


오대산 상원사 입구에 저자가 쓴 표석이다. 거대한 바위와 그 안에 새겨진 검은 글씨와 금색 글씨가 인상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저 돌 치우면 어째 손오공이 깔려 있다가 짠하고 나타나서 변신술이라도 부릴 것만 같다.

여섯 번째 여행지는 전주 이세종 열사 추모비와 김개남 장군 추모비다.
5.18의 첫번째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 사망 장소가 도청이 아니었던 탓에 첫희생자로 인정받기까지도 긴 시간을 기다려야 했다. "다시 살아 하늘을 보고 싶다"라고 쓴 추모비가 안타깝고, 또 안타깝다.

"개남아 개남아 김개남아"라고 쓴 김개남 장군 추모비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의 대구로 썼다고 한다.
역사를 글로만 배울 것이 아니라 이런 현장을 찾아가서 그 숨소리를 들어봐야 하지 않겠는가. 나야말로 찾아가야 마땅한 곳이다.

‘서’와 ‘울’을 각각 북악산과 한강수로 표현하고 “북악무심오천년(北岳無心五千年) 한수유정칠백리(漢水有情七百里)”를 방서로 풀어쓴 작품이다. 북악은 왕조 권력을, 한수는 민초들의 애환을 상징한다. 이 글씨는 서울시청 시장실에 걸려 있다. 덕분에 박원순 서울 시장님도 함께 등장했다.
글씨도 아름답지만, 글씨로 그림까지 표현해 냈으니 그 창조성에 감탄했다. 그 서울의 한 민초로 살아가는 오늘, 북악산 좀 바라보고 하늘 구경도 좀 해야겠다.

마지막 방문지는 봉하마을 고 노무현 대통령 묘석이다.
이 글씨도 신영복 선생님 것이었구나. 뮤비 주인과 묘비 글씨의 먹먹함만 생각했지 글씨체까지는 생각지 못했다. 다시 봐도, 역시 먹먹하다.

'우공이산'의 글씨도 역시 저자의 것이다. 이것을 '노공'으로 바꿔 부르셨다지.
우직하게 묵묵히 제 일을 하는 분들. 그런 분들 덕분에 인류가 한걸음 한걸음 앞으로 내딛는다. 스티브 잡스가 스탠포드 대학에서 졸업 연설에서 했던 말도 떠오른다. Stay hungry, Stay foolish

노무현 재단 전 이사장이신 문재인 의원도 보인다. 사진 보니 또 먹먹하다.
얼마 전 새벽에 봉하마을 묘비에 가서 울고 계시더라는 기사가 생각난다.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아멘...이라고 해야 하나. 민주주의라는 말이 참 아프게 들린다. 김지하 시인이 민주주의여 만세!라고 썼을 때도 울었는데, 그 시를 썼던 이는 지금 어디에 계신가.

얼마 전 미권스에 올라온 글을 읽으면서도 또 울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에 관한 아주 긴 글이었는데, 마지막에 이렇게 적혀 있었다.

"울지 마라 민주주의야, 지지마라 민주주의여"

뜨겁게 되새겨 본다.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인 시민의 한사람으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