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레히트의 어린이 십자군 ㅣ 어린이를 위한 인생 이야기 25
베르톨트 브레히트 지음, 김준형 옮김 / 새터 / 2012년 1월
평점 :
나치 치하를 경험했던 브레히트가 '어린이 십자군'이라는 제목으로 시를 썼다. 천 여년 전 어린이 십자군도 비참하게 막을 내렸으니, 그의 시가 얼마나 아플지는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
첫번째 그림에서 폭격에 무너져 내리는 건물 잔해 사이의 어린이가 아프게 박힌다. 얼마나 공포스러웠을까. 가족이 군인으로 끌려 가고, 또 폭격으로 죽기도 하고, 그렇게 홀로 남아 갈 바를 모르고 떠돌던 많은 아이들이 있었을 것이다. 제대로 먹지 못해 삐쩍 마른 아이들이 떼 지어 이리저리 헤매고 다녔을 것이다. 그러다가 자신들이 그랬던 것처럼 무너진 집들 사이에서 앙앙 우는 꼬맹이들을 발견하면 그 아이를 데리고 다시 길을 재촉했을 것이다. 그렇게 어린이 십자군이라고 불린 이 아이들...
가는 길에서 아이들은 전쟁의 폐허를 온몸으로 겪었을 것이다. 널브러진 수많은 시체를 목격했을 것이고 귀가 터질 것 같은 대포소리에 경기도 일으켰을 것이다. 아이들은 진심으로 평화로운 마을로 가고 싶었을 것이다. 따뜻하고, 먹을 것도 충분한, 자신들을 사랑으로 보듬어주고 무엇보다 안전하게 지켜주는 사람들이 있는 그곳으로... 아이들에겐 그곳이 바로 성지가 되었을 터... 허나, 아이들은 어디로 가야 할지를 몰랐다. 아이들의 부모님은 나치 당원이기도 하고 공산주의자이기도 했고, 또 엄마 아빠와 함께 유태인인 아이들도 있었을 것이다. 그들의 부모는 서로를 죽고 죽이고 미워하고 증오했지만, 아이들 사이에서는 그런 것들이 중요하지 않았다. 나치 당원을 부모로 둔 아이는 유태인 아이 앞에서 다만 미안했을 것이다.
떠돌이 개 한 마리가 아이들을 쫄래쫄래 따라왔다. 배가 고팠지만 차마 잡아먹을 수 없었고, 굶주린 아이들은 그 와중에도 배고픈 개와 함께 자신의 밥을 나눠 먹었다. 몇 살 더 먹은 형이 학교 선생님처럼 몇 살 어린 꼬마에게 글씨 쓰는 법도 가르쳐 주었다. 막 글을 배운 꼬마 아이가 쓴 '평와'라는 글씨가 아프다. 철자도 제대로 지켜 쓰지 못했지만 아이가 갈망한 평화가 선명하게 그려진다. 긴 행군 속에서 아이들은 서로를 보살폈다. 누군가는 사랑에 빠지기도 하였지만 아이들의 풋사랑은 오래 지속될 수 없었다. 너무 춥고, 너무 배고팠으니까. 아이들은 장례식도 치렀다. 함께 위로해주던 친구들을 묻기도 했다. 독일 아이와 폴란드 아이 모두 말이다. 친구의 죽음 앞에서 아이들은 엉엉 울었다. 교회에 다니는 아이도, 성당에 다니는 아이도, 엄마 아빠가 나치 당원이건, 혹은 공산주의건 구분하지 않고 말이다. 살아남은 아이들은 자신들은 따뜻한 나라에 꼭 가자고 약속했다. 희망을 가슴에 품고 일어섰지만, 굶주린 이 아이들의 행로가 얼마나 고달펐을지는 우리 모두가 충분히 짐작 가능하다. 그러니 혹여 이 아이들이 먹을 걸 좀 훔쳤다고 손가락질하고 욕하지 말았으면 한다. 먹을 것과 잘 곳을 내준 사람이 단 한 명도 없었으니까. 그렇다고 가난한 농부들을 또 나무라지 말자. 그네들도 굶주리고 있었으니까. 문득, 영화 '사라의 열쇠'에서 사라를 외면하려다가 결국 목숨 걸고 구해준 노부부가 떠오른다. 가슴이 아리다.
아이들은 남쪽으로 향하다가 전나무 숲 가운데서 군인 아저씨를 만났다. 총을 맞고 죽어가는 아저씨를 아이들은 이레 동안이나 정성껏 간호했다. 아저씨는 '빌고라이'로 찾아가라고 일러주었다. 온몸이 불덩이 같던 아저씨가 여드레째 날 저 세상으로 가면서 아이들에게 남긴 유언이었다. 꺼져가는 생명줄을 지키려고 한 고마운 마음들에 대한 보답이었을 것이다. 전쟁으로부터 안전했을 조용한 마을 빌고라이. 아이들은 빌고라이를 향해서 여정을 재촉했다. 하지만 눈더미에 파묻혀 있던 표지판은 잘못된 방향을 가리키고 있었다. 적군을 속이기 위한 방책이었겠지만, 덕분에 아이들은 엉뚱한 곳으로 가고 말았다. 가도 가도 나타나지 않는 빌고라이에 아이들은 얼마나 절망을 느꼈을까. 아이들이 움직이는 동안에도 탱크가 지나가고 총소리가 울렸다. 몸을 피해가면서 숨죽이며 걸었던 가엾은 아이들. 추운 겨울이 깊어가면서 쉰다섯 명 아이들을 보았다는 소문이 나돌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소문은 사라졌다. 아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어디서 굶주리고 있을까.
해가 바뀐 다음해 1월 폴란드의 한 거리를 돌아다니는 개 한 마리가 있었다. 삐쩍 마른 그 개의 목에는 두꺼운 종이 한 장이 매달려 있었다. 거기에 이렇게 적혀 있었다.
살려주세요!
길을 잃었어요.
우린 모두 쉰다섯 명이예요.
이 개를 따라오면
우리를 찾을 거예요.
우리를 찾아올 형편이 안 되면
이 개를 그냥 쫓아 버리세요.
제발 죽이지 마세요.
우리가 어딨는지 아는 건
이 개뿐이니까요.
마음을 뒤흔드는 글이다. 절박함에 호소하는 간절함이, 그 와중에도 개를 죽이지 말아달라는 당부가.....
굶주림에 헉헉거리는 농부들이 이 글을 보았고 1년 반이 지났다. 개는 이리저리 떠돌다가 어느 길에서 굶어죽은 채로 발견됐다고 한다. 먹을 것을 구하기 위해서, 아이들을 돕기 위해서 굶주림에 지친 채 헤매었을 개의 마음 역시 절절하다. 전쟁은 그 자체로 비극이고 많은 목숨을 앗아가고 고통을 주지만, 언제나 약자에게 더 가혹하고 더 폭력적이다. 여자와 노인, 그리고 어린이들에게... 브레히트는 이 시를 눈물과 함께 썼을 것 같다. 쓰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마음으로 썼으리라. 그 자체로 송가가 되고, 영가가 될 그의 시...
브레히트는 '다음에 태어나는 사람들에게'라는 시에서 이렇게 썼다.
정말로
내가 사는 시대는 어둡다!
도대체 어떤 시대인가,
지금은...
두 번의 세계대전을 치렀던 그 시대보다 지금은 밝은 시대냐고 묻게 된다. 어두운 얼굴도 다시 물을 수밖에 없다. 도대체 내가 사는 이 시대는 어떤 시대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