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사 산책 5권 - 개화기편, 교육구국론에서 경술국치까지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일강제병합까지의 내용이 담겨 있다. 

장인환과 전명운의 의거 장면은 비장해야 마땅하지만 웃어버리고 말았다. 먼저 쏜 것은 전명운이지만 불발이었고, 장인환이 쏜 3발 중 2발은 스티븐스가, 나머지 한 발은 전명운이 맞았기 때문이다. 사건 당시 미국에서 공부하고 있던 이승만은 장인환과 전명운에 대한 미국 변호사의 통역을 맡아달라는 요청을 거절함으로써 교민사회의 비난을 받았다. 학생 신분이며 기독교도로서 살인자를 변호할 수 없다는 게 그의 이유였다. 그래놓고는 이 사건을 계기로 미국 사회에서 항일 단체를 만들다니, 참 밉상이다.

새타령에 의병투쟁의 애환이 담겨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알고 들으니 애잔하게 느껴진다. 전문을 옮기자니 너무 길구나...

허동현의 박노자 비판도 눈길을 끌었다.

“저는 사회진화론이 만연하던 19세기 말이나 지금이나 세계 어디에서도 박 선생님이 이야기하는 차별과 착취 없이 평등이 구현된 이상 사회가 존재한 적이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저는 박 선생님이 갖고 있는 현실 비판의 바이어스 즉, 미래에 언젠가는 구현돼야 할 역사적 당위로서의 이상 사회를 기준으로 한 세기 전이나 현재의 우리 사회를 비판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우리 선각자들이 개화기 당시 현존하던 국가체제 중 상대적으로 우월한 제도와 문물을 갖추고 있던 미국을 발전 모델로 본 것은 잘못된 선택이 아니라 탁견입니다.”

이재명 의사의 의거 실패에 대해 김구가 땅을 치고 후회한 일이 착잡하다. 그가 갖고 있던 총을 압수했는데 나중에 총 대신 칼로 거사를 실행한 이재명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고, 애꿎은 인력거꾼만 목숨을 잃었으니 말이다. 

이어령 “미국은 기독교 사회이지만 대통령이 아무 곳에서나 ‘메리 크리스마스!’라고 하지 못하며, 그런 의미에서 한국은 정말 희한하고 행복한 나라다. 서울 시청 앞마당에서는 늘 진보와 보수의 싸움이 벌어지지만, 그곳에 세워진 거대한 크리스마스트리나 연등에 시비를 거는 이는 없다. 이것은 앞서 언급한 한국 특유의 ‘엇비슷 신화’의 방증이다. 우리말 가운데 ‘엇비슷하다’는 말은 세계 어느 나라 말로도 바꿀 수 없다. 굳이 설명하면 ‘엇비슷’은 어긋났는데 비슷하다거나 닮았지만 닮지 않았다는 말이다. 이 말에 기독교와 불교를 엇비슷하게 보는 한국인의 의식이 그대로 녹아 있다. 어긋나고 비슷한 것이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은 바로 한국인 특유의 포용의식의 상징이다. 우리 문화에는 21세기 다원주의를 흡수할 수 있는 여러 가치가 공존한다. 엇비슷하다는 말은 아시아적 화이부동 철학을 담고 있다.” – 183쪽 
 
지극히 자연스러워서 생각해보지 못한 문제였는데, 듣고 보니 매우 신기한 일이다. “맥주 두서너 병 주세요!”라고 말을 해도 알아서 갖다 주는 것처럼, 우리 말에서는 그런 것들이 크게 문제되지 않고 통한다. 분명하지 못하니까 단점으로 파악할 게 아니라 특유의 포용의식이라고 여기면 보다 이해가 쉬울 것이다.

조선은 시간개념의 규정을 받는 걸 거부한 나라에 가까웠다. 서양인들의 눈에는 한심하고 게으르게 비쳐졌다. 그런데 1세기도 지나지 않아서 한국은 ‘빨리빨리’의 나라가 되어버렸다. 시간에 죽고 시간에 사는 나라라니, 참으로 아이러니한 역사의 풍경이다. 게다가 게으름의 극치로 입방아에 오르던 나라였지만 외국에 나가 있는 한국인들은 부지런함의 대명사다. 어떤 땅이건 억척스럽게 일구고 살았고, 어디서건 악착같이 살아남았다. 삶에 대한 만족도 지표를 생각하면 한숨이 나오지만, 그만큼 지난 1세기의 우리 역사가 겪어온 시간이 벅찼다는 느낌을 받는다. 

 5권의 마무리에서는 조선은 왜 망했는가에 대한 집중 고찰이 이뤄진다.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제시하고, 그 논거들의 문제점도 같이 살펴보고, 종합적인 정리를 해주었다. 혹여 식민사관이라는 틀에 너무 얽매여서 정작 비판해야 할 것들을 놓치는 것은 아닌지 되짚어보게 했다. 쓴 소리였고, 아픈 역사이지만 피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리고 이제는 정면승부할 때도 되지 않았던가. 유교적 가족주의의 양면성을 짚어준 것도 인상 깊었다. 그것이 많은 문제를 낳았지만 동시에 국가적 성공의 원동력이 된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위험을 무릅쓰고 미친 듯이 일하는 동력이 되어버린 유교적 가족주의라니. 한 가지 법칙으로 도식화할 수 없는 역사의 역동성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맞다. 그게 역사의 아이러니다.    

오타 문제
105쪽 양계초는 1899년에 쓴 「한국의 근상」이라는 글에서는 한국의 위태로운 처지의 가장 원인으로 정치의 불량을 지적했다. >>>가장 큰 원인으로 
147쪽 그 청년은 스물세 살 된 이재명이었다.>>>이완용을 죽이려고 했을 당시 이재명의 나이는 20세였다.
160쪽 경술국치 1주일 전인 1910년 7월 20일>>>우리가 경술국치일이라고 말하는 날짜는 1910년 8월 29일이다.
191쪽 1872년부터 철도를 놓기 시작해 1891년에 전국 종단 노선을 완성한 일본의 철도정책의 기본은 ‘중앙집권적 성격의 강화’였다.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의 기공식은 1897년이었고 완성은 1899년이었다. 경부선이 1905년, 경의선이 1906년이었으니, 종단은 이때 가서야 가능했던 것 아닌가?
234쪽 1906년 전국의 인구는 132만 3029명으로 현재 남한 인구의 1/3에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1320만 아닐까?
250쪽 임진왜란의 패배는 왜국이 부산 앞바다에 나타난 4월 14일 새벽부터 >>>4월 13일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11-04-26 18: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찌나 오류가 많은지, 수정에 수정을 거듭하다가 포기...(ㅡㅡ;;;)

순오기 2011-04-26 22: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저자의 이름과 출판사 이름만으로도 신뢰가 가는데 어찌 이리 오류가 많을까요?ㅜㅜ
전문가 아닌 독자는 그런 줄도 모르고 그냥 넘어갈텐데...

마노아 2011-04-27 00:27   좋아요 0 | URL
위 댓글의 오류는 알라딘 오류인데, 오타 지적을 많이 해놔서 책의 오류처럼 느껴지네요.
하핫, 책도 오류 투성이긴 해요..ㅜ.ㅜ
그나마 4권보다는 줄었어요. 4권은 무척 심했답니다.
대체 편집자는 뭐했을까요. 독자보다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읽었다는 걸까요.
뭐, 그 얘긴 저자도 마찬가지네요.^^;;;

양철나무꾼 2011-04-27 1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오류나 오타가 신뢰를 떨어뜨리는 것 같아요.
제가 주로 읽는 소설류는 그래도 덜 하지만,
이런 학술서를 읽다가 저래버리면 짜증이 나서 말이죠~ㅠ.ㅠ

마노아 2011-04-27 18:03   좋아요 0 | URL
오타를 만나면 마구 노여워지는데 심지어 오류도 있으면 정말 분노하게 되죠.
그럼에도 별 다섯을 주다니, 제가 참 너그러워요.(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