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03.jpg)
안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있고 전체적인 조망을 볼 수 있게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는데 거기 안내도에 표시된 추정도다. 아, 제목이 잘렸구나..ㅡ.ㅡ;;;;;
저리 전각이 들어서 있었을 거라고 예상은 하지만 지금 남아있는 모습은 이렇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05.jpg)
내가 서 있던 곳에서는 전체 모습을 화면에 찍을 수 없었는데 이 사진보다는 좀 더 크다. 책자에 항공사진이 있는데 사진 다 옮기고 난 다음에 생각이 나서 다시 찍지는 않았다. 귀찮아서리...;;;;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06.jpg)
해설사님 안 보실 때 몰래 주변을 한 바퀴 돌았다. 반쯤 돌았을 때 발견한 우물. 오래되어 푸르고 깊은 물색이 무서울 법도 했건만 꽃잎이 둥둥 떠 있어서 예쁘단 느낌이 먼저 들었다. 나무 그림자도 예쁘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07.jpg)
온통 소나무 천지였는데 가지가 부러진 게 많았다. 지난 겨울에 눈이 많이 왔을 때 부러진 건지 모르겠지만 꽤 장관이었을 소나무 가지들이 안타까웠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08.jpg)
처음엔 기둥 자리인가 하고 봤더니 맷돌이었다. 사진으로는 잘 분간이 아나 가는데 꽤 컸다. 이 사찰이 규모가 컸을 때는 무려 3천 명의 승려가 머물렀다고 하는데, 그래도 3천 명을 먹일 정도의 크기는 아니었지만 아무튼 많은 사람의 먹거리를 제공할 만큼 커보였다. 돌릴 때는 삼손의 힘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09.jpg)
철조망 너머에는 무수한 기와 탑이 펼쳐져 있었다. 발굴 현장에서 수거한 녀석들로 보인다. 저것들보다 크고 빛나는 기와도 보여서 들어보았더니 케이에스 마크가 떡하니 박혀 있었다. 에비에비..;;;;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10.jpg)
거의 한 바퀴를 돌아서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입구 부근의 계단이 연결되어 있지 않다. 짝이 맞지 않아서 방치된 듯 보이는데, 발굴 중단이 원인일 수도.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11.jpg)
당간지주다. 오른쪽에도 당간지주로 보이는 흔적이 있었는데 이쪽만 난간으로 둘러쳐져 있었다. 뒤쪽으로 군 초소가 보인다. 군사 지역인지라 발굴 작업 때에도 애로사항이 많았다고 한다. 기전문화재 연구원한테 들은 이야기. ^^
해설사님 점심 식사 중에 도착했는데, 한 바퀴 돌고나니 식사 다 하시고 해설 시간이 되었다. 전각은 더 없는지, 비석은 어디 있는지 물었더니 따라오라신다. 생각보다 높고 멀었는데 차로 이동해도 되었다고 뒤늦게 말씀하신다. 어제 비상 걸린 근육들이 오늘도 비명을 질러버렸다. 덕분에 아픈 게 오히려 풀렸으면 좋겠다고 소망하며 열심히 쫓아갔다.
산 위쪽에 회암사가 있는데, 이때의 회암사는 과거의 그 회암사는 아니다. 조계사 소속.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12.jpg)
돌 틈 사이에 핀 꽃이 예뻐서 찍어보았다. 정체가 뭘까? 제비꽃? 모르겠다.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13.jpg)
무학대사 부도와 석등이다. 앞쪽으로 무학대사비도 있는데 전체 조감이 나온 사진이 없어서 패쓰.
순조 21년에 광주 유생 이응준에 의해서 무학대사비가 파괴된 일이 있었다 한다. 이 자리가 명당 자리라고 해서 조상의 묘를 대신 쓴 것이다. 그의 조상이 영릉의 묫자리를 빼앗긴 것에 대한 한풀이였을 수도. 그러나 순조 28년에 발각되어서서 유배형을 받는다. 무학대사 때문이 아니라 어제비문을 건드렸다는 죄명으로. 죽지 않고 유배형으로 그친 게 놀랍다. 아무튼 숭유억불의 땅 조선에서 불교의 위치가 보이는 일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15.jpg)
부도와 석등 사이에 저런 받침대가 놓여 있는 게 독특했다. 어떤 용도였을까? 받침 기둥은 자물쇠 문양이 새겨져 있다. 드나드는 문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16.jpg)
한옥의 처마를 닮은 옥개석이 멋있다. 지공선사와 나옹선사의 것까지 세 사람의 부도-석등 세 세트가 있는데 첫번째가 가장 예뻤다. 위로 갈수록 미적 감각이 떨어짐..ㅎㅎㅎ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17.jpg)
위에서 아래로 찍었는데 부도와 석등과 무학대사비가 일자를 이루고 있다. 비석은 원래 자리가 아니라 일직선을 맞추느라 옆으로 이동을 시킨 것인데 처음 자리가 어디였는지는 모른다고 한다. 현재 옮긴 자리일 수도 있고, 그 옆에 이수가 있는 자리일 수도 있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19.jpg)
지공선사의 부도다. 역시 일렬을 맞추었는데 무학대사의 것과 나란하지 않다. 지형지세에 맞추어서 세웠기 때문.
앞에서 본 것들보다 훨씬 균형감이 떨어진다. 일단 옥개석이 너무 커서 무거워 보인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20.jpg)
맨 위에는 나옹선사의 부도가 있다. 거기서 북쪽으로 방향을 틀면 멀리 선각왕사(나옹)비가 보인다. 저기까지 다시 가야 한다. 헥헥...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22.jpg)
올라가다가 찍은 한 컷. 천보산 만경대라고 했던가? 여기 올라가면 서울이 한 눈에 다 들어온다고 해서 서울 경자를 썼다고 한다. 경사 경자가 아니라. 밑에서 보기만 해도 아찔. 높구나!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24.jpg)
보물로 지정된 선각왕사비를 보호하기 위해서 비각을 세웠는데 97년도에 어느 성묘객의 부주의로 산불이 크게 나버렸다. 무려 사흘 간을 태운 그 불로 비도 훼손되고 말았다. 만약 비각이 없었다고 한다면 그 정도의 피해는 아니었을 거라고 하는데 이제와서 후회한들 무엇하랴. 아직도 그때 불탔던 나무의 흔적들이 남아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25.jpg)
원래 있던 것과 새로 지은 것의 저 현격한 차이란. 없어도 너무 없어 보인다...ㅜ.ㅜ
도대체 부도와 비문의 거리가 왜 이리 떨어져 있는 지는 아직도 의문이라고 한다. 비보의 기능으로 그랬을 수도 있다지만 아주 크게 설득적이지는 않았다. 정말 궁금하다. 왜 그랬을까? 저리 멀리 뚝 떨어져서 세운 이유가...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26.jpg)
게다가 손으로 직접 판 게 아니라 기계로 글씨를 팠는데 너무 얕게 파서 벌써 글씨가 마모되어 잘 보이지 않는다. 오래지 않아 다 사라질 것만 같다. 돈은 돈대로 들이고 욕은 욕대로 먹는 나쁜 케이스...-_-;;;; 글씨는 예서체.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87603133550827.jpg)
해설사님이 내려오다가 솔방울에서 씨앗을 뽑아서 보여주셨다. 저게 저리 큰 소나무가 되는 씨앗이란 말인가. 서울 촌뜨기인 나는 또 신기해서 한 컷 찍어봄. 아, 내 손금 너무 난잡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