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희네 집 ㅣ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1
권윤덕 글 그림 / 길벗어린이 / 1995년 11월
평점 :
오늘은 어쩌다보니 길벗어린이 책을 많이 읽게 되었다.
'만희'네 집이라고 해서 여자 아이가 주인공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만희는 남자 아이였다.
표지의 제목 글자 무늬가 '벽돌'이다. '집'을 표현한 느낌인가 보다.
바깥에서 바라보는 그림은 모두 흑백인데 대문 안의 집 모습만 칼라 그림이다. 주홍빛 벽돌과 파란 지붕의 개집과 그 개가 물고 있는 초록빛 슬리퍼까지. 시선 집중이 확실히 되고 있다. 금이 간 대문앞 돌계단에서 지극한 사실감까지 느껴진다.
독특하게도 책날개를 젖히고 나면 만희네가 시골 할머니 댁으로 이사가게 되어서 짐싸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바로 뒷장에는 다시 책만든 사람들을 소개하는 내용이 나오고 다시 그 뒷장에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만희네 집은 동네에서 나무와 꽃이 가장 많은 집이다. 이런 집은 한눈에 봐도 집주인이 정성들여 가꾸고 손본 집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자기 집'이기에 가능한 일련의 노력이기도 하다.
권윤덕 작가의 그림은 예쁜 느낌은 아닌데 굉장히 치밀하고 세심한 느낌이다. 그래서 그림 곳곳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내용들의 배경을 샅샅이 설명해주는 요소요소들이 꽉 채워져 있다. 이를테면 이런 거다.

할머니의 뒤로 보이는 자개장과 옆쪽에 나란히 있는 장식장이 수십 년전 온 나라에서 유행했던 바로 그 디자인이다.
저 장농을 열면 속에는 어떤 디자인이 나올 지도 감이 온다.
액자 안의 사지은 아마도 만희 돌사진과 만희 엄마 아빠가 아닐까 싶다.
할머니의 오래된 미싱도 눈길이 간다. 심지어 가위는 증조 할머니 때부터 쓰던 거라고 한다. 이얏, 골동품이다!
할아버지 책상엔 작은 주판알도 있다. 부엌과 연결된 작은 창이 보인다. 그 위의 다락방문도 정겹다. 구들장도 아주 따뜻할 것 같은 집의 모습이다.
식탁 위에는 촌스런 꽃분홍 식탁보가 음식들을 덮고 있는 그런 집. 그래도 주방은 꽤 현대적이다. 창문의 격자 무늬는 좋게 말하면 고풍스럽고, 나쁘게 말하면 무지 촌스럽기 짝이 없지만, 그 안에도 모두 '세월'이 녹아 있다.
공간을 넓게 사용하는 이 집에는 '광'도 있다. 아, 진짜 오랜만에 말해보는 단어다. 과일이나 쌀, 게다가 꿀단지도 숨어 있을 그 광이라니, 조금은 서늘하고, 아이들 입장에서는 약간 무서울 수도 있는 그 공간. 백열등 전등이 켜진 그 안에도 무수한 이야기들이 숨어 있다.

장독대를 보니 또 무지 반갑다. 중학교 때까진 집에 장독대가 있었다. 그 말은 마당 있는 집에 살았다는 얘기구나.
요새는 마당 있는 집도 드물고 장독대는 더 드물다. 내 친구 하나는 장독을 땅에 파묻고 김치를 먹었다던데, 그 집은 100평이 넘는 집이다..;;;; 아파트가 대세인 요즘 같은 때에는 아이들이 장독대를 밟아보기보다 책으로 접하기가 더 쉬울 듯하다.
게다가 김치 냉장고가 보편화되었고, 날이 너무 오래 더워서 땅에 김치 묻고 먹기는 더 힘들 것이다.
그러고 보니 내가 중학교 때까지는 울 집에서 된장 고추장 다 해먹었구나. 까마득한 옛날이다.
만희네집은 심지어 뒤꼍에 커다란 가마솥도 있는데, 이건 시골집에도 흔치 않을 물건으로 보인다. 이 정도 가마솥을 이용해서 무언가를 해야 한다면 주부의 고통이 장난 아니었을 듯. 솥뚜껑을 보니 지짐이가 생각나지만 주부들은 별로 안 좋아할 도구다.
그런데 수돗가의 주황색 커다란 바가지는 반갑다. 게다가 빨래를 두드릴 수 있는 돌판까지! 마당있는 집 살 때 우리 집에도 있었는데, 그래도 그때도 빨래 방망이는 없었다. 방망이 깎는 노인이란 교과서에 실린 수필이 생각나는구나!
마당 가득한 꽃, 그리고 풀어서 키우는 정겨운 개. 아이들이 자라기엔 최적의 조건의 집으로 보인다. 물론 이 아이들은 영어 학원에 목숨거는 그런 과정을 밟지 않을 것이다. 책 속이어서 가능한 얘기는 아니었으면 하는 바람!
목욕탕도 제법 넓어서 아빠와 물놀이도 가능하다. 집에서 목욕하기엔 조금 추울 수 있는 그런 집 구조지만, 이런 집에서 살 수 있다면 진짜 좋을 것 같다. 양철 세숫대야랑 한 구석에 있는 오강도 재밌다.

제일 맘에 든 게 2층 옥탕방이랑 호단이다. 할아버지가 직접 가꾸시는데 화단의 경계를 세운 익숙한 벽돌도 정겹다. 대단한 것으로 꾸민 게 아니라 주변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그런 자재를 적극 활용한 것이다. 요즘처럼 먹거리 걱정이 기승일 때에 이거야말로 찬란한 유기농 밥상의 보장이 아닌가.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자연을 접하고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이라니, 이건 그야말로 '전원주택'이다.

어릴 적 우리집 옥상에 이불이 널려 있으면 나도 그 사이사이를 돌아다니며 술래잡기하는 것을 좋아했더랬다.
이불에서 느껴지는 햇살의 냄새는 따뜻하고 고소했다. 이런 빨랫줄을 다시 언제 만날 수 있을까. 이불의 문양들이 하나같이 촌스럽기 그지없지만, 게다가 두툼한 것이 몹시 무거울 게 분명하지만, 그래도 참 향수를 자극한다. 디자인에서 촉각마저 느끼게 해주는 권윤덕 작가 샘의 놀라운 내공!

만희네가 왜 할머니 댁으로 내려가서 살게 되었는지 모른다. 사정은 나와있지 않지만 도시 생활에 염증을 느꼈거나 경제적인 어떤 문제에 봉착했을지도 모른다. 2층 옥탑방에 만들어진 아빠 방은 그야말로 서재다! 아, 로망이 담긴 서재! 넓은 창으로 2층 옥상에 만든 화단도 보이고 빨랫줄에 올라탄 잠자리도 보일 것이다. 나도 그림 없는 책 재밌게 봐줄 수 있는데 이런 서재 갖고 싶다. 쓰읍!
저 오래된 디자인의 벽시계도 그 옛날 우리 집에 걸려 있었던 모양이다. 원래 옥탑방은 무지 더운 게 정석인데, 그래도 이런 공간이 있다면 얼싸 춤추며 들어가 살고 싶다.
여름 풍경 답게 거실엔 대나무 돗자리에 대나무 방석, 그리고 대나무 부채가 꽂혀 있고, 한구석엔 모기향이 도도히 재가 되어 타고 있다. (그래도 만희 방엔 전자 모기향이 타고 있다^^) 묵직한 바둑판과 바둑알을 보니 한 수 배우고 싶구나. 장기는 나도 잘 두는데...


만희네집 풍경을 양쪽으로 담았다. 진짜 넓구나! 낮잠 주무시는 할머니, 그림 그리는 누군가(?)가 보이고, 바깥에서 아빠랑 배드민턴 치는 만희도 보인다.
오른쪽 그림에선 옥상에서 화단에 물주는 할아버지 모습이 보인다. 아, 만희네 집에 놀러가고 싶다. 아니, 가서 눌러 살고 싶구나!
그나마 이런 집에 대한 추억 한자락쯤은 갖고 있어서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점점 더 아이들은 흙냄새 맡으며 살지를 못하고 있으니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