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광귀신 ㅣ 국시꼬랭이 동네 5
한병호 그림, 이춘희 글, 임재해 감수 / 사파리 / 2006년 8월
구판절판
국시꼬랭이 시리즈는 우리의 전통 풍습을 쉽게쉽게 이야기 해주는 책이다.
어쩌면 아이들 흥미에는 그닥 끌리지 않을 수 있지만,
들을수록 정이 가고 구수해지는, 겨울철 따뜻한 이불 속 같은 느낌을 주는 이야기들이다.
야광귀신은 설날 밤에 신발 훔치러 오는 귀신이다.
녀석들은 단점이 있는데 눈이 어둡고 또 셈에 약하다는 것이다.
올해는 '체'의 구멍 세는 일을 잘해 내기 위해서 호박에 구멍 뚫어서 맹연습도 시도해 본다.
아버지는 야광귀신 물리치기 위해 장대 끝에 소쿠리를 올려놓는다.
책을 세로로 놓은 채 그려진 그림인데 멀리서 잡으니 그림이 안 잡혀서
높다란 장대 끝만 사진으로 찍어 보았다.
(내 핸드폰만큼이나 언니 디카도 별로란 말이지..;;;)
한 구멍, 두 구멍... 키다리 귀신은 숫자에 약해서 결국 헤매고 만다.
큰눈 귀신은 눈이 어두워서 구멍 자체를 잘 못 찾는다.
그래서 둘은 힘을 합하기로 결심!
키다리가 길눈 역할을 하고, 큰눈이가 숫자를 세기로 한 것.
그러나 아뿔싸! 닭이 울면서 새벽을 알려온다.
금년에도 신발 훔치기는 실패다.
설날 밤에 야광귀신이 내려와서 신발 훔쳐간다는 얘기를 이 이야기를 통해서 처음 들었다.
나 역시도 일주일의 첫날에 재수 없는 일이 있으면 기분이 언짢아지고, 아침에 힘든 일이 생기면 하루 일과를 망치는 일이 많은데, 한 해의 첫날인 설날에 신발을 도둑 맞으면 괜히 운수가 나빠질 것 같은 예상이 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새해에 닥칠 나쁜 기운을 몰아내자는 의미의 이 풍습이 정겹고, 아이들의 신발을 숨겨 저녁 외출을 삼가고 일찍 재우려는 어른들의 속뜻엔 지혜가 담겨 있다.
차분한 갈색 톤의 그림이 '설날 밤'이라는 시간적 배경을 묘사해주는 느낌이 든다. 어리숙한 귀신들 약올리며 우리는 실컷 웃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