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깊은 나무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구입한 지 꽤 된 책을 오랜만에 펼쳐든다.  세종이 특히 아꼈던 집현전 학사들의 의문의 살인 사건.  거기에 얽히고 설킨 오랜 피흘림.  그리고 숨겨왔던 주상의 큰 뜻...

사건을 떠맡은 사람은 비천하다고 늘 손가락질 받기 일쑤였던 어린 겸사복 채윤.  사민 정책으로 북쪽 땅에 둥지를 틀었던 부모님을 여진족 손에 잃고 오로지 복수의 신념으로 전쟁터에서 성장한 청년.  그 청년을 김종서 장군이 거두어 주상께로 보냈다.  더 크게 쓰일 만한 재목이라고.

겨우 문맹을 벗어난 정도의 지식을 갖고 있는 채윤이지만, 그랬기에 선입견 없이 사건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살인 현장에서 발견된 의문의 마방진, 또 의문의 금속 활자.  이런 표식만 가지고도 채윤은 살해된 사람들에게서 공통점을 발견하고, 그것이 오행에서 비롯된 순서임을, 그리하여 다음 희생자 역시 예고하고 있음을 알아차린다.

그러나 천한 겸사복 혼자서 어찌해볼 수 있는 상대가 아니었다.  의심이 가는 자가 있다 하더라도 그를 취조할 수 있는 자격이 되지 않았고, 사건에 도움을 받고자 청하여도 거절당하고 욕먹는 것이 부지기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윤은 포기하지 않았다.  또 다른 살인이 있을 것임을 아는데도 모른 척 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작품을 읽는 재미는 채윤이 찾아가는, 또 풀어가는 수수께끼 같은 흔적들에 있었다.  살해 장소와 살해 방법으로 유추해 낸 오행과 마방진의 숫자 해법이 기막히게 맞아 떨어지고, 향원지, 경회루 등등에서 드러나는 '천원지방'의 정신이 아찔한 흥미를 돋운다.  세자빈과 말 못하는 궁녀 소이가 나누는 대화법은 이두를 닮아 있으며 한글 창제에 일종의 실마리를 제공하니 그 역시 신선한 정보를 제공해 준 셈.

20년 전 조정을 피바다로 물들였던 금서 '고군통보'에서 비롯된 사건을 파헤치다 보면 그 정점에 최고 권력자 주상이 있고, 이를 둘러싼 양 진영의 목숨을 건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된다.  그리고 거기에 우리가 익히 들어온 익숙한 이름들이 등장하니, 최만리, 성삼문, 정인지, 이개, 정초, 박연, 장영실 등이 그 주역들이다.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그들의 업적들이 편한 방구들에서 절로 나온 것이 아닌, 시대와의 '투쟁'의 결과였다는 것은 자랑스럽게 읽힌다.

그러나, 책은 흥미로운 소재와 설정을 100% 효과적으로 사용하지는 못한다.  강단 있고 똑똑한 겸사복 채윤의 캐릭터는 충분히 매력적일 수 있을 것 같건만, 녀석이 목숨 걸고 달려드는 그 의지에 '설득력'이 제공되지 않는다.  그가 말 못하는 궁녀 소이를 마음에 두는 설정 역시 마찬가지다.  전혀 절실해 보이지 않았건만 어느 순간 사랑의 열병을 앓고 있는 순진 청년이라니, 좀 뜬금 없는 전개였다.  학사들의 죽음을 파헤치고, 그 속에 녹아 있는 음모들을 풀어나갈 때면, 그 기막힌 해법에 감탄을 자아내고 고개를 끄덕여야 하겠건만, 문장 속에서 추리 소설의 장점으로 작용할 긴장감은 그닥 찾아볼 수가 없었다. 

작품이 시작할 때마다 핵심 주제와 내용이 짧은 문장으로 먼저 소개되는데, 진행되는 내용의 흥미와 관심을 더해주기 위한 설정이겠지만, 오히려 떨어지는 긴장을 스스로 인정한다는 인상을 주고 있었다.  세자빈이 축축된 것이 정치적 음모에 의한 희생양이란 설정도 역사적 사실에 위배되는 것으로 느껴져 나로서는 조금 불편하기도 했다.  절대 그럴 리 없어!라고 딱 잘라 말할 순 없지만, 당시 세종이 죄없이 쫓겨나는 세자빈을 보호하지도 못할 정도라고 생각하기는 더 싫다.

집현전의 중심 인물들은 이 무시무시한 연쇄 살인 사건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도 별로 없어 보이고, 오히려 쉬쉬하며 덮으려는 느낌이 강했다.  성삼문의 거의 일방적인 채윤에 대한 호의도 그닥 와닿지 않았고, 죽음을 바로 눈 앞에서 겪어 놓고도 공포나 두려움 따위도 읽히지 않았다.  한 마디로, 작품은 '문장력'의 힘을 거의 사용하지 못한 것이다.

그렇지만 말 못하는 소이를 통해서 음운 구조를 연구하고, 발성 기간의 모양을 본떠서 한글의 글자들을 창안해 내는 장면들은 우리 글의 과학성을 전달하는 데에 요긴하게 쓰였다.  경복궁의 각 전각과 건물, 연못, 호수에 이르기까지 하나하나 그 모양새와 이름에 깊은 뜻이 새겨져 있다는 것도 아름다운 깨우침이었다.  세종과 그의 집현전 학사들이 격물치지에 힘쓰며 새 시대를 열고자 얼마나 애썼는 지도 독자들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몇몇 구절에서 보이는 비문과 오타가 약간씩 옥의 티로 자리한다. 적재적소에 포진되어 사건 해결의 실마리가 될 부호와 그림 등은 고마운 도우미였는데, 간혹 오류도 있었다.  1편에서 왼팔뚝에 문신이 있다고 하면서 묘사된 그림은 오른팔이 들어가 있었고, 2편 23쪽엔 '24'절기를 '24개월'이라고 표시하였다.   61쪽의 눈에 띄었다는 '띠다'로 고쳐야겠고, 84쪽의 '말에 부딪친'의 문장에는 '채윤의'라는 행위 주체자가 빠져 있다.  159쪽, '<고군통서>의 행방을 알고 싶다면 아미산에서 기다리겠다'라는 문장은 '기다려라!'라고 해야 문맥이 자연스러울 것이다.  290쪽 '여인을 난전을 벗어나'는 '여인은'으로 고쳐야겠다.

몹시 오랜만에 읽은 추리 소설이었는데, 나의 취미 없음 탓인지 기대만큼의 재미를 느끼지 못했다.  다음 작품 '바람의 화원'은 내가 사랑하는 정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자못 기대가 된다. 그치만 기대 때문에 재미가 떨어지면 곤란하니 '적당히' 기대하고 다가가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