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생활백서 - 2006 제30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박주영 지음 / 민음사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세상엔 그 어마어마한 인구만큼이나 엄청나게 다양한 사람들이 살고 있다.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자동차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이 책의 주인공처럼 책읽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주인공은 좀 별나다. 그냥 독서를 좋아하는 정도가 아니라, 인생의 목표가 독서 그 자체다.  독서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고정된 직장을 갖지 않고, 독서할 수 있는 돈을 마련할 정도의 아르바이트 정도만 한다.  그녀에게는 다행히도 집이 있고, 제법 돈도 버시는 아버지가 있기 때문에 집안의 생계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사실 이게 가장 큰 원인이다.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순간, 혹은 갚아야 할 빚이라도 있다면 그녀의 이 삶은 모두 망상이 되어버린다.)

그녀는 세상사에 관심이 없고 세상 사람들에게도 관심이 없다.  주로 읽는 것은 소설이고, 모든 것에 무심하다.  그리고 아마 세상도 그녀에게 무심한 듯 하다.  그들은 서로 상관하지 않는다.

그 놀라울 정도의 무심함은 충격이었다.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독서를 왜 하는가?  필요해서 한다.  무엇이 필요해서?  지적충만감, 단순한 재미, 혹은 잰척하고 싶은 욕구?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어느 쪽이든 필요해서 한다.  그리고 거기에는 나만을 위한 독서만 있는 게 아니라 사회적 '관계'를 위한 독서가 어느 정도 깔려 있다.  세상에 대해 알아가고,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를 알고, 그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이 궁금해서 독서가 이뤄진다. 

모든 지식인이 다 실천하는 행동가로 이어지진 않지만, 그래도 그 모든 지성은 실천을 위한 원동력으로 작용해야 한다고 믿는다.  아무 데에도 쓰고 싶어하지 않는 지성은 내게는 참 무의미해 보인다.  그것은 더 나은 기회를 얻은 자의 태만이며 오만인 것이라고.

작품 속 주인공은 줄기차게 책을 읽고, 그렇게 읽은 책의 구절구절을 잊지도 않고 다 기억하는 놀라운 재주를 가졌다.  그러나, 그뿐이다.  그 재주가 그녀 이외의 누구도 기쁘게 만들지는 않는다.  그녀만 즐거우면 되는 거지...라고 말하면 할 말 없다.  그런데 나는 책을 읽으면서 그녀의 삶이 너무 소모적으로 보였다.  타인의 삶을 내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은 일종의 폭력일수도 있지만, 솔직히 나는 좀 고까웠다. (니가 참 배가 부르구나....라는 생각이 끊임없이 들더라...;;;;)

끊임없이 새로운 책이 메들리처럼 이어지는 게 신기하고, 그런 설정이 재밌기는 했으나, 그것만으로는 독자에게 감동을 줄 수 없었다.  어떤 생산적인 가치나 깨달음을 주지 않고 그저 소비만 했으니 그렇다.  책을 위한 소재가 아니라, 소재를 위한 책이라는 느낌이라고 하면 되려나?

세상에 이런 자발적인 백수(그것도 나름대로의 소신이 있는)가 있다는 게 신기하기는 했다.  사회에 민폐를 끼치는 인물보다 자기 혼자의 만족만을 위해서 사는 사람이 훨씬 나은 거겠지만, 그녀의 그 대단한 독서가 나는 많이 아깝다.  책만 읽어서 세상을 바꿀 수는 없지만, 그래도 세상에 이바지할 길은 많을 것 같은데 말이다. (그녀를 그대로 두는 그녀의 아버지가 더 대단한 거다!)

줄줄이 등장하는 책 제목가 작가 이름에 눈은 즐거웠다.  혹시라도 내가 읽은 책이 등장하면 많이 반가웠다.(물론 모르거나 못 읽은 책이 태반이었다..;;;) 설마 작가가, 이 수많은 책들을 읽었다는 자랑이 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겠지?(쿨럭..)

아직은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한 박주영에 대해서 아무 감이 잡히질 않는다.  또 다른 작품을 만나게 되면 그때 더 생각해 보련다.

아무튼, '독특한' 작품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7-26 0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가가 자기 얘기를 쓴건가요?
'독특한' 삶의 방식이군요.

마노아 2007-07-26 10:40   좋아요 0 | URL
자기 얘기같진 않지만 자신의 독서편력이 반영된 것 같아요. 독특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