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응답하라 1994>가 막을 내렸다. 새삼, 지금까지의 내가 1990년대에 얼마나 많은 빚을 지고 있는지 깨달았다. 그때 그 감성과 풍경, 익숙하면서도 애틋했다. 그때 내 곁에 머물면서 내게 감흥을 줬던 모든 것들이 차곡차곡 쌓여 지금의 나를 만들었음을. 그리고, 아마도 지금 읽고 있는, 나를 흔드는 책들이 또 미래의 나를 만들 것임을. 이 책들이 2014년의 문을 열어젖힌다면 참 좋겠다.  


1. 인천상륙작전

윤태호. 믿고 보는 윤태호다. 한겨레 연재를 보고 있는데, 단행본으로 만나면 또 다를 것 같다. 지금의 한국은 분단이라는 상황이 만든 트라우마의 총합이다. 한국 사회에서 분단만큼 크게,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있을라고. 과연 우리는 제대로 인천에 상륙한 것일까. 역사 왜곡과 거짓이 비일비재하게 펼쳐지는 지금, 버릴 대로 버려진 안구와 달팽이관을 정화할 때다. 



2. 한국 식물 생태 보감

이런 책은 국가에서 상을 주거나 충분한 지원을 해야 한다. 국정원에서 댓글 다는데 펑펑 쓰는 돈, 이 책에 지원했으면 우리 사회가 이모양 이꼬라지는 아닐 터. 댓글 폭탄 터뜨리지 말고,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식물에 눈을 돌리는 게 훨씬 낫다. 382종, 비교 대상까지 합쳐 760종이란다. 이들을 제대로 아는 것, 삶을 제대로 꾸릴 수 있는 하나의 좋은 방법이 아닐까! 




3. 혁명의 영점

이젠 실토해야 한다. 가사노동이 모든 노동의 근원이다. 가사노동의 인정하는데서 진짜 혁명은 가능하다. 인류는 그 근원을 소외시킴으로써 탐욕을 채우는 길을 걸었다. 이 책이 제시한 가사노동과 복지의 관계는 지금 한국 사회의 복지담론에 적극적으로 대입해야 한다. 복지의 축소는 단순히 국가의 임무 방기뿐 아니라 '무급' 가사노동자의 희생을 강요한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더한다. 가사노동에 임금을 지급하라! 가사노동을 통한 노동력 재생산이 공장과 사무실에서 이뤄지는 생산만큼 가치가 없다는 거짓말! 입에 침 좀 바르시지, 요!



4. 레비나스와 사랑의 현상학

사랑은 결국 타자와의 관계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의 문제다. 타자에 대한 책임을 우선시하는 윤리학을 전면에 내세우는 타자성의 철학. 레비나스의 것이다. 세상에서 가장 오염된 단어 중의 하나가 사랑이다. 사랑, 사랑, 아무런 생각 없이 내뱉는 그것에 사랑은 발에 채이는 돌멩이가 돼 버렸다. 그리고 '진짜' 사랑은 실종됐다. 사랑의 부재가 지금의 현상이다. 과연 우리는 사랑을 회복할 수 있을까. 밀양, 쌍용차, 그리고 안녕하지 못한 모든 사람들이 안녕할 수 있는 것. 그것이 사랑의 회복이다.



5. 서울 아케이드 프로젝트

서울, 재미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서울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서울을 모른다. 서울의 일상을 미시적으로 탐사한 이 책이 갈증을 풀어줄 것이다. 아니 갈증이었다는 사실조차 모르지만, 이 책을 읽음으로써 그것이 갈증이었고, 동시에 해갈됐다는 것을 알게 되지 않을까. 벤야민식 서울 읽기. 공간을 알아야 삶이 더 잘 보이는 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해가 오기 전, 12월30일은 별을 노래했던 시인 윤동주가 태어난 날(1917년)이었다. 


식민지 조국, 일제강점기의 폭압, 1차 세계대전 속에서 탄생한 시인의 운명이 순탄치 못한 것이야 어쩌면 당연한 것이리라. 우주를 방랑하는 히치하이커 같은 별의 운명처럼. 


그러고 보면 시인이 태어난 1917년은 러시아혁명의 발발로 격동의 20세기를 예고한 해이기도 하다. 1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한 해 앞둔 해이기도 했고. 


물론! 그 정치적 격동은 문화사적으로 1920년대 걸작의 시대를 열어젖힌 동력이 됐는지도 모르겠다. 프랑스의 '벨 에포크(아름다운 시절)'를 관통한 뒤, 1920년대에 펼쳐진, 카프카, 헤밍웨이, 피츠제럴드, 로런스, 울프, 파운드, 루카치, 조이스, 엘리엇, 피카소, 달리 등이 열어젖힌 황금시대. 


지금 이토록 하 수상한 시절이 또 다른 걸작의 시대를 잉태하지 않을까, 하는 '바람'에서 잡설을 긁적였다. 어쨌거나 지금은 먼저 스스로 '안녕'을 묻고, 남과 함께 안녕을 위해 손을 잡아야 할 때가 아닌가.   


섣달 그믐, 나는 이런 마음에 가까웠다. 


독일의 판화가 케테 콜비츠가 남편과의 생활에 지치고 자기 예술의 방향으로 고민하던 1913년 섣달 그믐밤, 즉 12월31일의 겨울밤, 이렇게 한 해를 결산했던 마음. 정확히 100년 전 어떤 마음의 되돌이표.  


"어쨌든 1913년은 별 탈 없이 지나갔다. 죽지도 않고, 무기력하지도 않고, 상당히 내면적인 삶이었다." 


나는 남편도 없고, 저만의 예술 방향을 고민하지 않지만, 

2013년 마지막 날이라서 그랬겠지만, 100년 전의 마음을 꺼냈다.


 

그건 지나간 이야기고, 

올해, 이 詩가 품은 마음으로 잘 굴러서 생을 가꿔가야겠다. 

그리고 이 마음, 당신과도 나누고 싶다.  


별들이 온 힘으로 굴러서 해는 떠오르고

화분에 작은 싹 하나도

매순간 심호흡으로 자기 생을 밀어 올린다


[조향미, 그 나무가 나에게 팔을 벌렸다 중에서]



그리하여, 별을 노래하는 시인의 마음으로, 

역시 내가 좋아라~ 하는 詩를 당신에게 새해 선물로 건넨다. :)

그래 우리, 별 하나 품고 살자. 해피 뉴이어! 



나만의 

별 하나를 키우고 싶다


밤마다 홀로 기대고 

울 수 있는 별


내 가슴속 

가장 깊은 벼랑에 매달아 두고 싶다

사시사철 눈부시게 파득이게 하고 싶다


울지 마라, 바람 부는 날도


별이 떠 있으면 

슬픔도 향기롭다 


[문정희_ 별 키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12월이 주는 감흥은 개인별 편차가 있겠지만, 한해의 '마무리'라는 큰 틀에서 보면, 뭔가를 돌아보고 성찰하게 되지 않을까! 아마도. 그러니까, 12월에 만나는 신간들은 그렇게 돌아보고 성찰하게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겨울낭만은 그렇게도 다가온다. 너에게 이 책들을 들려주고 싶다. 


나는 당신에게만, 오직 당신에게, 책 읽어주는 남자이다. 



1. 결혼식 전날


만화가 가장 먼저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의외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 작품이기에 실은 그랬다. 표지 그림과 제목 만으로 충분하다. 단편 모음집인데 여섯 편 모두 두 인물의 관계에 집중한다. 특별할 것 없는 잔잔함이 지배적인 정서인데, 그 속에서 서정과 감성을 끌어낼 수 있는 감수성이 12월의 핵심이다. 우리는 그렇게 모든 것과 관계를 맺고 있으니까. 生은 관계의 연속이고 작고 사소한 특별하지 않아 뵈는 일들이 우리와 일상을 만든다. 당신과의 만남도 그러했듯 말이다. 




2.에콰도르, 볼리비아, 페루


우리는 세계를 너무 모르면서, 세계화를 주야장천 부르짖는다. 미국에 종속된 주제에, 미국화라고 부르지 않고 세계화라고 우긴다. 하긴, 미국 프로야구가 '월드시리즈'라고 부르고, 우리는 미국이 세계인줄 알고 있으니 그럴 만도 하지만. 에콰도르, 볼리비아, 페루. 미국을 거부하는 안데스 산맥의 나라들을 알아보는 것, 흥미롭지 않겠나? 더구나 볼리비아는 체 게바라가 마지막으로 머물렀던 곳이다. 과연 신자유주의가 배제한 분배적 사회정책은 이들 나라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세계화는 미국 이상의 세계를 보는 것에서 시작된다. 



3. 영원의 건축 


완전히 당긴다. 구미가 쭉쭉 당긴다. 제목과 표지에서 이미 압도적이다. 방점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다. '영원의 건축'이라는 제목은 이미 철학적 잠언임을 예고한다. 맞다. 건축을 말하면서 영원을 들먹이며, 인간의 삶을 말하는 것이다. 1979년에 쓰인 책이 지금 우리에게 도달한 것은 분명 의미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시간을 초월한다는 것,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망상이지만, 그런 망상 없이 산다는 것 또한 지리멸렬하다. 건축은 삶과 영원히 떨어질 수 없는 가치(라고 나는 생각한)다.





4.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이강룡이다. 그냥 믿고 보는 이강룡이다. 디지털 매체의 특징을 잘 알고, 뭣보다 글쓰기와 교양의 의미와 끊임없이 공부하는 저자이다. 이 책, 그냥 믿고 보면 된다. 그는 기본을 놓치지 않는 성실한 저자니까. 내가 아는 그는 그렇다. 글쓰기를 통해 어렵지 않게 교양에 자연스레 접근하는 길로 인도할 것이다. 12월, 한해를 정리하는 의미로 좋지 아니한가! 이 책을 읽고 글을 쓰면 당신의 12월이 좀 더 충만해질 걸? 






5. 사랑하다


12월이니까. 꼭 그게 아니라도, 당신의 사랑을 돌아보는 건 어떨까. 뭣보다 사랑하니까, 인간이다.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것이 타인과의 관계일지도 모른다. 사랑은 그것의 기본이다. 세상에서 가장 오염된 단어 중의 하나가 사랑이지만, 그렇다고 사랑을 하수구에 처박아 놓는 것만큼 바보짓도 없다. 


사랑하다.


그보다 더 진한 말이 있을라고. 사랑할 때 나를 제대로 알고 타인과 관계를 잘 맺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던 매터의 사진에 늘 감탄할 수밖에 없는 이유. 

그 한 순간에 농축된 감정선 때문이다. 

그 결이 어찌나 섬세하고 농익었는지, 볼 때마다 감탄한다. 



전부를 던져야 사랑을 얻는다!

조던 매터의 사진이 말하고 있는 바다.

우리가 잊고 있는 사랑에 대한 어떤 진실. 


안 생겨요?

아무렴, 공부하지 않는 사랑에 대하여. http://www.procope.org/648


내가 품은 사랑에 대한 아이러니는,

인류를 사랑하긴 어렵지 않으나, 한 사람을 사랑하기 매우 어렵다는 것.

그래, 그러니까, 사랑이지! 


편협한 내가 사랑하는 몇 되지 않는 이들에게 주는 선물.

사랑하는 이들에게(정재형). 


이 선율, 사랑하는 당신들이 떠오를 때마다 듣는다. 

사랑하는 당신들, 이 선율을 귀에 담을 때마다 떠올린다. 


이 선율과 함께 내가 내린 커피를 사랑하는 당신들과 함께 마신다면, 

내 삶은 그것으로 충분하고 충만하다. 고마워, 내 사랑들...


언젠가 내가 내린 커피를 마시고 있는 당신에게, 

이 곡을 피아노 연주해주고 싶다. 밤9시, 외로운 당신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제목은 <굿 닥터>인데, <배드 닥터>가 됐다. ㅠ.ㅠ

왜? 심장 터져 죽을 뻔 했으니까! 


차윤서(문채원)의 가을밤 고백, 심장이 그만 퍼펑~ 하고 터져 버렸다. 


시온(주원)이는 좋겠다. 그건 '기적'이니까. 

내가 좋아하는 사람이 나를 좋아해주는 것, 세상에 그만한 기적은 없다. 


아, 둑흔둑흔 빠담빠담 <굿 닥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