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 - 지식과 교양을 디스플레이하다
고전연구회 사암 엮음 / 포럼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글을 좋아하는 사람은 안다. 책을 한 권 얻은 것만으로도 얼마나 행복하다는 것을.. 그것도 자기가 평소에 너무나 가지고 싶었던 책을 얻었을 때의 그 희열이란.. 이루 말로 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렇게 얻은 책을 손 때가 묻고 묻어 떨어질 때가 본다. 그것이 자기의 인생에 어떠한 영향을 주건, 주지 않건 상관하지 않고 그 책에 흠뻑 빠져 그 안에서 유영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글은 우리의 친구이자, 애인이며, 삶의 동반자이다.

  그렇게 책을 사랑하는 사람의 꿈은 방 가득 좋아하는 책들을 소장하며 보는 걸거다. 아니 책장 가득 꽂아진 책만으로 행복할테지. 나도 예전엔 서재란 곳을 만들어 놓고 그렇게 보고 싶던 책들을 소장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그 땐 책을 사랑해서 그랬다기 보다는, 그저 책을 소장하고 싶다는 생각이었다. 많은 책들 속에 살면 왠지 행복할거라는 유토피아 같은 꿈이라고나 할까. 그런 단순한 소장욕이 지금은 바뀌었다. 이젠 책을 정말 좋아하게 되었으니깐. 독서 자체를 어떤 고상한 취미가 아니라, 아주 일상적인 취미로 생각하게 되었으니깐 말이다. 그렇게 한 권, 한 권 사서 읽다보면 어느 순간 책장에 책이 가득 찰 터이다. 이제 나의 꿈은 서재를 만들어 책을 소장하고 싶다는 것보다, 거실을 서재로 만들고 싶다는 걸로 바뀌었다. 출가를 해서 집을 꾸미게 된다면 그 꿈을 꼭 이뤄야지.

  이 책을 보면서 이전에 익히 들었던 이야기들을 다시 읽을 수 있었다. 난 한문학을 전공한 사람이라서 태반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었으니 말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 다시 그 글들을 읽게 되니, 왠지 모르게 새로운 느낌이 들었다. 그도 그럴 듯이 한 개인의 삶에서 접근한 것이 아니라, 서재란 측면에서 접근해서 그들의 삶을 풀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나의 마음을 사정 없이 두들 겼던 이야기는 김득신의 '독수기'와 정약용의 '사의재기' 였다.

  김득신은 한 권의 책을 끊임없이 읽었다. 그의 종마저 어느 한 구절을 들으면 익히 알 정도로 읽고 또 읽었다. 하지만 그의 노둔함은 어느 한 구절을 들으면 그 구절이 어떤 글에서 나오는 글인지도 모를 정도이다. 그런 노둔함을 핑계 삼아 '나는 공부와 취미가 없나봐'라고 자포자기하는 우리와는 달리, 그는 그 글을 그렇게 줄곧 읽는다. 그런 노력의 결과, 그는 조선 후기 한시 작가 중 뛰어난 작품을 남긴 작가로 이름을 남긴다.

  그렇다면 정약용은 어떤가? 그는 잘 나가던 젊은 학자였다. 정조의 비호를 받으며 승승장구했었지만, 그걸 아니꼽게 보던 기득권의 시기로 인해 유배를 가기에 이른다. 일순간에 하늘에서 땅으로 내팽겨진 것이다. 그렇게 비극과 절망의 상황에서 그가 자식들에게 주문한 것은 무언가? 바로 '독서'를 하라는 것이다. 이전엔 과거를 염두해두며 고시공부를 위한 독서를 했다면, 이젠 시간의 여유를 얻었으니 진정한 독서를 하며 자기를 갈고 닦으라는 것이다. 이 얼마나 위대한 말인가? 위기와 기회는 동전의 양면 같은 거라는데, 바로 정약용이 그런 진리를 몸소 보여준 것이다.

  선조들의 서재에 쌓여진 책은 이런 사연과 깨달음이 가득한 것이었다. 단지 한 번 읽고 내평게쳐 지는 요즘의 책들과는 그 품격이 달랐던 것이다. 그런 삶의 열정을 다한 독서를 통해 모두 걸출한 역사의 한 획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이다. 때론 "책 읽는다고,,,, 시간이 남아도나 보구나.. 그런 사치를 하고 말이야"라는 독서에 대한 핀잔을 들을 때가 있다. 더욱이 어느 순간부터 책을 읽는다고 말하는 건 왠지 모를 호사취미나 고상한 취미가 되어버렸다. 그것 못지 않게 우리의 인식도 책을 읽는걸 시간 낭비로 여길 때가 있다. 하지만 결코 어떤 독서의 경험이든 헛되지 않는다. 콩나물에 물을 주면 물은 순식간에 빠져 버리지만, 그걸 거듭하면 할수록 콩나물은 쑥쑥 자란다. 독서 또한 마찬가지여서 읽는 그 순간은 아무 것도 남지 않는 것 같지만, 거듭할수록 나의 생각은 쑥쑥 자랄 것이다. 선조들의 서재, 그 곳엔 인생 담론이 있었으며,  지식 성장이 있었다. 그렇다면 그런 선조의 모습을 본받은 우리의 서재엔 과연 무엇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