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논어 2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논어는 잠언류로 알고서 읽던 시기가 있었다. 뭔가 지당하신 말씀인 듯 한 그런 교장 선생님의 훈화조처럼 지리하고 따분하게 받아들였던 것이다. 그래서 읽으면서도 성독을 하면서도 도무지 흥미가 일지 않았다. 시험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반복에 반복을 거듭할 뿐이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읽게 된 도올의 논어는 탁월한 선택이었다. 그의 학문적 깊이 뿐 아니라, 다방면의 서적을 참고하며 주견을 세워나가는 자세가 놀라움 그 자체였던 것이다. 학문이란 자고로 자기가 아는 한도 내에서 이끌어 내는 게 아니라, 다방면의 지식을 응축하여 자신의 말로 풀어낼 수 있어야 하는 거다. 아는 만큼 보이는 만큼 적게 아는 사람은 적은 부분에서 탐구하기에 이단으로 빠지기 쉽고, 많이 아는 사람은 많이 아는 만큼 여러가지를 접목하다보면 전혀 엉뚱한 이야기를 하곤 한다. 그렇기에 지도와 같이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알림판이 필요한 것이다. 도올은 그런 알림판으로 정약용과 소라이와 사마천의 전적들을 사용한다. 그런 알림판을 통해 자기의 방향을 제정립하고 논어를 알려주는 것이다.

  고주와 신주의 대립, 그리고 그 안에 수많이 펼쳐지는 담론들,, 그런 것들을 읽고 있노라면 내가 알던 논어라는 것이 얼마나 잘못된 앎이었는지 뼈저리게 느끼게 된다. 그런 소중한 경험을 하게 해준 도올의 논어가 그래서 반가웠던 것이다. 2권에선 위정편과 팔일편이 수록되어 있다. 얼마나 깊이 있는 고찰을 하는지 1권을 보신 분들이라면 2권, 아니 3권까지 내리 읽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