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올논어 1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0년 10월
평점 :
절판


  논어는 공자 학단을 이 펴낸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자가 이 책을 썼다고 아는 사람은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성경처럼 어떤 신격화된 공자의 모습이 실려 있지 않으며, 한 인간의 고뇌와 그 제자들과의 소통을 이야기 책 읽듯 읽을 수 있다. 논어는 맹자와 달리 단문으로 이뤄져 있어서 읽고 있노라면, 도대체 이런 말들이 왜 나왔는지에 대해 아리송 할때가 많다. 주자의 주까지 읽어야만 그제서야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알 정도이니 말이다.

  그런 단점들을 도올은 재미있게 이야기 해준다. 정약용의 논어고금주와 소라이의 논어에 관한 담론, 주자주와 고주까지 통틀어 고찰하는 그의 연구자세가 놀랍기 까지 하다. 그런 연구의 성과가 이 책에 집약되어 있다. 그래서 논어를 경문 위주로 보아왔던, 그래서 좁은 물에서 주자주만을 최상의 가치로 생각해온 나에게는 색다른 충격이었다. 그리고 때론 받아들이기 힘든 다른 해석까지 말이다. 하지만 그런 충격으로 인해 한문을 한다는 사람의 연구 방법을 체득할 수 있었고,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말한다는 게 얼마나 송구스러운 일인지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다.

  논어는 명문이다. 도올은 이 한 권에 공자의 사상과 학이까지의 내용을 담고 있다. 내가 읽었던 여타 논어에 관한 책들이 비해 이 책이 가치있게 느껴지는 이유는 바로 그런 연구자적 자세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두루 파악하고 공자의 숨겨진 면모까지 꼬집어 내어 논어를 알아가는 자세, 그의 제자들의 모습을 상정해보고 본문에 담긴 이야기의 의도를 알아가는 자세,, 그런 것들이 담겨 있기에 나에게 논어를 이해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던 것이다.

  사서 경문으로 읽었던 사람이라면 이 책을 일독하길 권한다.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을 뿐더러, 학문에 깊이 까지 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올 선생님을 잡학다식이라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난 그 말에 동의 하지 않는다. 그의 학문적 깊이와 사유는 '달라이라마와 도올의 만남'에서 여실히 느꼈으며, 이 책을 통해 다시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자기가 아는 학문의 틀에 갇히지 말자. 호학하는 자세만이 자기의 영역을 넘을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