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영복 선생님의 글은 옷매무새를 가다듬은 한복을 입은 여인 같다. 빈틈이 없고 단정하며 깔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읽노라면 자칫 지루해질 때도 있음이 사실이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에선 지식인의 고뇌와 세상에 대한 못다 피운 열망 같은 걸 느낄 수 있었다. 그래서인지 이 책보다 나에게 더 깊은 감명을 주었던 것 같다. 나 또한 취업에 실패한, 그래서 사회에 대한 못다 피운 열망이 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동병상련의 정을 느꼈던 까닭이다.

  처음에 이 책을 택한 이유는 단순히 고전에 대한 공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사서는 한번씩 읽어봤기에 노자나, 한비자 등의 사상을 음미해보고 싶었다. 어떻게 보면 고전에 대한 공부의 일환으로 선택하게 된 책인 것이다.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느낀 것은 단순히 그런 맥락에서 읽기엔 뭔가 부족한 책이라는 느낌이었다. 왜냐하면 전체적인 관망을 할 수 없이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몇 구절만을 이야기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으로 고전 공부는 다시 수포로 돌아갔다. 하지만 그 첫 목적은 달성하지 못했다하더라도 이 책을 읽으며 새로운 희망을 품을 수 있었다. 바로 고전이 가지는 핵심,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사서 외의 글들이 가진 깊이 있는 사유를 맘껏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문득 노자를 제대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던 거다.  

  들뢰즈는 '책은 외부의 주름'이라고 했다. 그 주름이란 곧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른 생각들을 심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하나의 생각을 강요하는 시보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시가 좋은 시인 것처럼 다양한 의미로 읽혀지고 읽을 때마다 새로운 책이 좋은 책이다. 강의라는 책은 바로 그런 책이다. 고전들을 인간관계론의 시각에서만 풀었다는 단점만을 제해 놓고 본다면 이만큼 우리에게 쉽게 다가오고 느끼게 해주는 책은 드무니 말이다.

  '고전'은 왜 읽는가? 단지 아는 체 좀 하기 위해서인가, 아니면 과거의 지식을 통해 현재의 나를 되돌아보기 위해서인가? 어느 목적을 가지고 읽던지, 강의라는 책을 통해 한문 원문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인간관계에 대한 새로운 고찰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목적이 '행복하게 사는 것'이라고 했을 때, 그 행복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전제는 관계에 있다는 것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 책을 통해 그런 정답, 아니 그런 생각들을 찾아간다면 이 책은 그것만으로도 가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