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이라마와 도올의 만남 3 - 인도로 가는 길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만났다. 1권에선 초기 불교에 대한 탐구를 2권에서는 인도 기행과 그 안에서 겪었던 일들을 풀어내다고 드디어 3권에서 만나게 된 것이다. (제목이 무색해진다.ㅡㅡ;;) 그만큼 한 개인이 달라이라마를 만나는 일은 어렵고도 힘든 일이란 걸 알려주기 위한 편집 방법이 아니었을지.. 그게 아니면 나처럼 불교에 대하여 잘 모르는 사람을 위하여 처음엔 기본 베이스적인 지식을 깔아놓고, 그 다음에 본격담을 펼치려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어찌 되었든, 3권에서 드디어 본격담이 펼쳐지게 되니 나의 마음이 더 뭉클해진다.

  달라이라마에게서 만날 수 있는 시간을 받았다고 했을 때, 도올은 소풍가는 어린이 마냥 기뻤을 것이다. 그런데 그 기분이 나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져 왔다. 아니 난 감격에 찼던 것이다. 과연 정말 만나게 될까 했던 부질없던 걱정이 드디어 이루어지니 이게 꿈인가, 생시인가 했던 것이다. 그렇게 둘이 같이 찍은 몇 컷의 사진을 보고 눈시울이 붉어질 정도 였으니.... 참고로 난 기독교인이다. 그렇기에 달라이라마에 대한 환상 같은 건 없을 것이다. 아마도 인간적인 애틋함이 그런 감격을 줬던 것일까.

  그들의 대담은 지성과 종교성의 만남이었다. 난 솔직히 인간적인 물음들과 개인사적인 물음들이 오고 갈지 알았다. 그만큼 내가 도올에 대해 무지했다는 표현도 가능하리라. 하지만 나의 그런 생각과는 달리 도올의 논조는 분명했으며, 학구적이었으며 놀라움 그 자체였다. 확실히 박학다식하며 그 논리에 함몰되지 않은 깨어 있는 지성이라고 할만하다. 기독교의 일반론을 펴며 불교의 대세론을 들었다. 종교사 뿐 아니라, 미술사, 그리고 철학사까지 아우르는 도올의 논조는 자못 심각했으며 진지하기까지 하다. 그런데 그걸 다 이해하며 받아들이는 달라이라마.. 분명 영어라는 언어로 소통했음이 분명한데 그런 어려운 이야기들이 아무 거침 없이 오고 가고 있었고, 달라이라마는 도올의 그런 다방면의 박학다식함에 반했던 것이다. 그래서 첫째날 짧은 만남으로 예정되어 있던 시간이 훨씬 초과 되었으며, 그게 아쉬웠던지 달라이라마는 내일 또 오라고 하는 것이다. 그 부분에 이르러선 도올에 대한 고마움과 자부심이 느껴졌다. 가슴이 뭉클해져 있는 그 때, 달라이라마는 집회가 있는데 도올과 같이 가자고 한다. 그렇게 궁을 나섰을 때, 티벳 인민들이 달라이라마 앞에서 숙연해지며 조용해지던 광경은, 놀라움 그 자체였다. 제정일치의 본보기로서의 달라이라마와 티벳 인민들의 그런 모습은 제정일치가 끝난 현대 시대엔 대단히 기이한 현상이었던 까닭이다.

  도올과 달라이라마는 한번 크게 엇갈린 주장으로 갈등한다. 그건 책에 나와 있으니 보길 바란다. 그 부분에 이르러선 나까지도 왠지 손에 땀이 나도록 긴장이 되더라. 그렇게 이틀 간의 대담이 끝나고 달라이라마는 도올에게 '베이징에서 보자'라는 말을 하며 끝을 맺는다.

  3권이야말로 이 책의 가치를 최상으로 끌여주는 대작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1권과 2권의 탐구 없이 3권만 읽게 되면 그 재미와 감격 없이 지루할지도 모르겠다. 한국 정부는 아직도 달라이라마의 입국을 불허하고 있단다. 안타까운 일이다. 중국의 눈치 때문에 그럴 수 밖에 없는 한국은, 청나라때 조선의 모습이나 지금의 모습이 별반 다를게 없어 씁쓸할 지경이다. 달라이라마가 한국에 와서 큰 가르침을 펼 수 있는 그 날이 빨리 오길 희망하며 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