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이라마와 도올의 만남 1 - 인도로 가는 길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화보집을 방불케 할 정도의 스케일을 가진 책이다. 참고로 난 기독교인이지만, 그래서 불교를 한번도 깊이 있게 배워보질 못했지만, 이 책을 읽고서 조금이나마 불교에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도올과 달라이라마와의 만남. 이것 자체만으로도 가슴이 떨리는 일이다. 달라이라마, 며칠 전까지만 해도 그가 누군지, 뭐하는 수도승인지도 몰랐던 나였다. 하지만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묘사된 판첸라마의 모습을 보고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런 인연으로 이 책까지 보게 되는 특수를 누렸으니 난 참 복도 많은 사람인가 보다.

  화보집 수준의 사진이 실려 있어 본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올의 인도 여행기라고 봐도 무방하다. 1권에서는 초기 불교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 싯달타의 모습을 통해 어떻게 깨달음에 이르렀는지, 그리고 어떤 방향에서 불교가 성립되게 되었는지 하는 문제들 말이다. 아주 자세하게 파헤쳐져 있으며, 나 같이 불교에 대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읽어도 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쉽고 흥미롭게 쓰여진 책이다.

  싯달타의 깡마를 정도의 정신적 수양, 그리고 그런 육체적 고통만이 수양의 전부가 아님을 깨닫고 제 3의 길 '연기'를 깨닫기 위해 보리수 나무 밑에서 정진하던 모습, '연기'를 통한 윤회와 해탈의 깨달음 등, 초기 불교의 모습이 실려 있다. 그러면서 도올 특유의 견해들을 펼친다. 불상을 신성시 하는 우상화된 불교에 대한 비판이랄지, 사리에 대한 견해랄지 하는 것들 말이다.

  처음부터 달라이라마와의 만남을 기대하고 읽기 시작했지만, 사뭇 다른 논조의 글들이 펼쳐져서 당황하긴 했다. 하지만 이렇게라도 잠시나마 불교를 알 수 있었던 건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축복을 기본 삼아 그들의 만남을 기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이제 2권으로 넘어가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