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낭만적 사랑과 사회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9월
평점 :
정이현의 소설 속에는 ‘악한 여자’들이 살고 있다. 그들은 남편과 정부를 죽게 하고, 부모를 상대로 가짜 납치극을 벌이며, 남자 친구와 약혼자를 기만하고, 결혼한 여자와 위험한 동성애에 빠진다. 그들은 공적인 도덕적 가치나 윤리에 따르기보다는 욕망의 개인 전략에 따라 사고하고 행동하며, 좀 더 의식적인 차원에서 로맨스, 결혼, 가족, 국가 등을 둘러싼 제도적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만드는 존재이다.
《낭만적 사랑과 사회》의 책날개를 장식한 말이다. 이것은 물론 정이현 소설 속의 여성들의 ‘위장술’을 사회적 욕망을 실현하고자 하는 ‘정치학’으로 본 비평가의 말을 옮긴 것이다. 난 책날개에 적힌 이러한 평가에 매료되었고 이 소설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고 읽어 나갔다. 그런데 역시, 비평가의 말재주와 비약의 해석에는 당해낼 재간이 없다는 결론만 얻게 되었을 뿐이다.
정이현 소설의 여성들은 이제 한물 간 ‘순결’과 ‘섹스’를 담보로 제 입지를 굳건히 하거나 도약의 발판으로 삼으려 한다. 그것이 가급적이면 나약하고 순수한 여성성을 희구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것이 이광호가 말한 ‘위장술’이다. 소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제가 파격적이거나, 기존의 주제를 울궈낼 작정이라면 풀어가는 방식이 독특하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문체라도 반짝여야 하는 것 아닌가? 소파 승진은 더 이상 새로울 것이 없다. 그런데도 순결을 무기로 부유한 집의 막내 아들을 잡으려 하고<낭만적 사랑과 사회>, 회사의 실권을 쥔 남자와의 로맨스를 계획하다니<트렁크>, 너무 빤한 설정이 아닌가 말이다.
<소녀 시대>의 ‘나’는 강북을 폄훼하는 사고방식과 부모의 불화 속에 성장한 강남권 아이다. ‘나’는 길거리 캐스팅으로 섹스 산업에 참여하고 아버지의 아이를 가진 스무 살짜리 여자의 낙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남자 친구와 함께 납치극을 벌인다. 이러한 ‘나’의 행위는 뚜렷한 동기 부여를 얻지 못하므로 그저 사춘기 소녀의 반발과 무료함에 대한 돌파구 쯤으로 읽힌다.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어머니를 향한 조롱, 물질에 경도되어 있던 아이가 난데없이 아버지의 불륜의 상대에게 동정심을 갖게 되다니.
보험금과 유산 상속을 노리고 거듭되는 결혼을 선택하는 여자의 이야기<순수>는 너무 지루하고, 눈에 띄지 않기 위해서 결혼이란 제도에 편승한 동성애자와 그녀를 갈구하는 ‘나’의 이야기<무궁화>는 대상이 둘 다 여성이라는 점만 빼면 흔해 빠진 사랑 타령과 다를 것이 없다. <홈드라마>는 또 어떻고. 결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양가를 주무르는 불일치를 좀 더 깊이있게 탐색할 수는 없었는가. 또 그 불화를 해소하는 방법을 좀 더 극적으로 보여줄 수는 없었는가. 그냥 이럭저럭 해결하고 결말에 이르는 이야기는 현실의 그것보다 훨씬 느긋하고 안이하다. 남자에게 버림 받고 거식증세를 보이는 여자가 또 다른 사랑을 위해 다이어트를 준비하는 <신식 키친>에 이르면 은근히 부아가 치민다. 김동인의 소설을 패러디한 <이십세기 모단걸>, 김연실전을 재해석하고 싶기라도 했던 것일까.
정이현의 소설은, 그녀의 여성들은, 한국이라는 땅에서 여성의 이름으로 살아가기가 얼마나 힘겨운 것인가를 드러내고, 어떻게 해서든 그곳에 제 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방법론에 있어서 지나치게 구태의연한 액션을 취했다는 점에서, 그것을 풀어나가는 목소리가 너무도 평이하고 일반적인 것이었다는 점에서, 자가당착에 빠지고 만다. 세태를 풍자하는 것이 아니라 세태를 있는 그대로 도열시킨 것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것도 개나 소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을 말이다.
비평가의 장황한 응원을 등에 업고도 정이현의 소설들은 반짝이지 않는다. 비평의 후광이 역부족이었거나, 아니다, ‘발칙하고 불온한 상상력과 언어 구성력’이라느니 ‘새로운 여성 문법의 가능성을 스스로 발견’한다느니 하는, 무조건 밀어주기성 발언은, 그럭저럭 참아줄 수도 있었을 것에 반감을 갖게 함으로써 역효과를 낳고 만다. 재미나게 읽고 싶었는데 속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