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깨달은 건 내가 참 느리고 더디다는 거다.
폭풍처럼 올라오는 기다란 페이퍼들 사이에서 나는 읽기와 검색을 계속했고,
그 많은 이슈 중 가장 처음에 나왔던 '이달의 당선작 선정기준'에 대해 이제 막 정리했을 때,
논쟁은 종료되고 사람들은 흩어지고 있다.
언젠가 페이스북에 말하는 속도와 글쓰는 속도가 똑같은 사람들이 놀랍다는 글을 쓴 적 있는데,
나처럼 생각하는 속도도 글쓰는 속도도 늦은 사람도 정상은 아닌 거 같다. -.-;;
어쨌든 이왕 정리한 거 끄적여 볼란다.
데이터는 2012년 1~3월 당선작 기준.
1월: 신간 23권, 구간 12권
2월: 신간 28권, 구간 8권
3월: 신간 32권, 구간 5권
어찌 보면 당연한 얘기인데, 신간의 비율이 압도적이다.
1월만 유독 구간 당선작이 많은데, 1월에는 신간이 적게 나오는 걸 고려하면 예측 가능한 범위고,
알라딘이 당선작을 뽑을 때 신간 위주로 뽑는다고 추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한 데이터를 보면 3개월 이내의 신간을 특히 선호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다음은 분야별.
1월: 문학+추리(10+3), 인문/사회/과학(7), 만화(4), 청소년/예술/종교(3), 기타(4)
2월: 문학+추리(12+4), 인문/사회/과학(4), 만화(4), 청소년/예술/종교(3), 기타(9)
3월: 문학+추리(11+1), 인문/사회/과학(11), 만화(0), 청소년/예술/종교(4), 기타(10)
월별 편차는 있지만 문학과 인문사회과학이 대략 30%씩 차지하고,
그림책, 어린이, 청소년, 육아, 요리, 사진, 미술, 음악, 건축, 경제경영, DVD 등 다양한 분야에서
1-2권의 리뷰가 이달의 당선작으로 뽑히는 경향이 있다.
다음은 출판사별.
3개월간 총 108개의 리뷰가 당선작으로 뽑혔는데, 출판사가 자그마치 85곳이나 된다.
민음사(8), 문학동네(6), 문학과지성사(4) 등 1권 이상의 책이 뽑힌 출판사는 달랑 7곳에 불과하며,
이는 문학분야만 예외일뿐 알라딘은 출판사별로 당선작을 뽑기 위해 안배하고 있다는 말이 된다.
반면 당선자는 총 74명인데, 누적 당선자는 23명.
즉 알라딘은 훌륭한 리뷰라면 중복 당선이든 매월 당선이든 신경쓰지 않는다는 얘기다.
실제로 매월 당선작이 나온 알라디너도 9명이나 되나,
이중 리뷰어가 직업인 사람은 없지만 누구나 인정할만큼 독서량도 많고 글도 좋은 분들이다.
3개월 내에 2편 이상이 당선된 사람은 14명. 이들도 역시 달인으로 인정받는 분들이다.
그럼, 이상에서 추론할 수 있는 당선작 선정기준은 무엇일까.
각 분야별 MD가 일정한 숫자의 당선작을 뽑을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출판사와 신/구간을 안배하여 당선작을 뽑는다는 것이고,
이 추론대로라면 MD의 권한이 분산되므로 리뷰어까지 중복/누적 당선을 막기 어렵다는 것이다.
알라딘 서재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보다 많은 사람이 당선되는 것도 좋지만,
보다 좋은 리뷰를 많이 만나는 게 나로서도 나쁘지 않다.
또한 하루가 다르게 생겼다 없어지는 출판사들을 생각하면,
베스트셀러에 치중하지 않고 출판사와 출판분야를 안배하는 알라딘의 노력이 고맙기까지 하다.
정확한 당선작 기준은 알라딘이 밝힐 일이고,
알라딘 마을이 잘 운영되기 위해 알라디너들이 다양한 견해를 내는 것도 좋은 일이지만,
특정 리뷰어를 편애하거나 전문 리뷰어로 인해 일반인이 불리한 것 같지는 않다까지가 나의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