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우체국입니다. 고객님 앞으로 발송된 등기우편이 2회에 한해 반송되었으며, 최종반송여부 확인을 위해 안내드립니다. 안내멘트를 다시 듣고 싶으면 1번, 상담원과 전화연결을 원하시면 9번을 눌러주십시오."
보통 등기 반송시 아파트 문에 안내문이 부착되고, 집배원과 이래저래 안면을 터 따로 전화연락도 받고 있다. 그런데 핸드폰으로 ARS 안내전화가 오자 뭔가 이상했다. 일단 전화를 끊고 우체국에 직접 연락해 확인해 보니 역시나 보이스피싱.
알라딘 사람들은 우체국 택배를 자주 이용하는 경향이 있으니 혹시 몰라 알려드립니다. 우체국에서는 절대 ARS로 전화하는 경우가 없으니, 상담원 연결하지 마시고, 꼭 직접 전화 걸어서 확인하세요.
 |
|
|
|
우체국 사칭 개인정보수집 피해 예방 안내
최근 ARS 전화를 이용하여 우체국을 사칭, 허위로 소포가 도착 또는 반송
예정이라며 집주소, 전화번호, 신용카드번호 등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니 이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구체적 사례
========================================================================
ARS 전화를 이용하여,
‘○○우체국입니다. 소포가 도착하여 반송예정입니다.
다시듣고 싶으시면 0번, 안내를 원하시면 9번을 눌러주십시오’라는
안내멘트가 나온 후 9번을 누르면 안내하는 사람이 나와 집주소, 전화번호,
신용카드번호 등 개인정보를 자세하게 물어본 다음 전화를 끊음
(0번을 누르면 응답 없이 끊김, 발신자 번호는 ‘000000’으로 나타남)
========================================================================
◇ 예상되는 피해
- 위와 같은 전화 등에 응할 경우 집주소, 전화번호, 신용카드번호 등이 노출
되어 범죄에 이용되거나 전화요금 청구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방요령 및 조치
- 우체국에서는 ARS전화를 이용하여 소포(택배)등의 도착 및 반송에 대한 안내
를 하지않고 있으니 절대 그러한 시도에 응하지 않도록 하시기 바라며,그러한
사례가 발생할 경우에는 즉시 가까운 수사기관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