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천덕 신부가 말하는 토지와 경제정의
대천덕 지음, 전강수 외 옮김 / 홍성사 / 2003년 8월
평점 :
품절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많은 사상가들의 이상향은 자유로운 개인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개인이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스스로 벌어먹고 살 수 있는 능력, 즉 많은 경우 적당한 토지를 소유한 자작농을 모델로 상정하고 있습니다. 일전의 일독한 리 호이나키의 <정의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나 헬레나 노르베리호지의 <오래된 미래> 역시 '종교(사상적 일치), 농업, 자생적 예술'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적 삶을 제시하고 있지요. 많은 생태적 아나키스트들과 기독교 공동체주의에서 공동적으로 발견되는 이상향입니다. 유교 역시 그렇지요.

<토지와 경제정의>에서는 '하나님께서 주신 토지는 하나님의 것으로 매매될 수 없다'고 말합니다. 토지의 위치나 생산성에 가치에 따라 과세 함으로써 토지의 가치가 모두 같아지겠지요. 현대적 표현으로 인간의 노동에 의해 추가적 가치를 생산한 것이 없는 토지에 대하여는 이익을 취할 수 없다 정도가 되겠지요. 같은 이치로 남에게 돈을 빌려주고 인플레이션 이상의 이자를 받는 것도 부당한 일입니다. 그래서 현대가 도래하기 전에 대다수의 곳에서는 이자놀이를 천박한 것으로 부도덕한 것으로 판단했지요.

이처럼 성서 속의 공동체의 경제관념에는 현재와 다른 관념이 하나 들어갑니다. 그것은 바로 도덕입니다. 현재와 같이 자본주의가 득세하기 전에 많은 경제연구는 도덕을 빼고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안식년과 희년에 빚을 탕감해 주는 것, 모든 계약의 부담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과 같은 것 말입니다. 이것은 수천년 한곳에 이웃하며 살아가던 조상들의 해안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웃이 건강하게 살아가는 것이 나의 공동체가 건강하게 살아가는 것이고, 이것이 나의 삶의 행복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 말입니다.

또하나 저는 성서에서의 토지권의 보장을 단순히 현재와 같은 '주거권' 혹은 '토지의 공개념'으로 보는 것은 다소 부족하지 않나 생각해봅니다. 성서가 생겨났을 때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해 보건데 생존을 위한 자립의 가장 기본적인 것을 보장해 주는 것, 어쩌면 현대의 '노동권'과 더 유사한 개념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책의 후미로 진행될 수록 비기독교는 부도덕 혹인 미개인 것으로 바라보는 듯한 시각, 한국 기독교에 대한 지나친 긍정은 읽는 동안 내내 불편하고 그만 읽고 싶은 마음을 불러왔습니다. 논리또한 성서에 있으니 진리이다 라는 식의 전개가 보여 다소 불편하더군요. 그래도 기독교 교리로 꼭 설득해줘야 납득하는 사람이 주변에 있다면 한번 읽어봐도 괜찮지 싶습니다. 혹은 기독교도 임을 자처하면서 종부세를 없애려는 MB이하 국회의원들이 한번 읽어봐도 좋지 싶습니다.

백성이 하늘인 세상을 꿈꾸던 정도전은 남의 밥을 먹는 사람은 남을 책임져야 하고 남의 옷을 입은 자는 남의 근심을 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남의 밥 먹고, 남의 옷을 입는 자로서 실패하더라도 내가 선 자리에서 '새끼 놓고 누울 자리, 먹고 살만한 일자리, 일끝내고 노래 한자락 할 시간'을 얻을 때까지 싸우고 또 싸워야지 생각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