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워하는데도 한 번 만나고는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피천득의 <인연>의 마지막 구절중 하나이다. 중학교때 배운 글중 가장 기억에 남는 구절이다. 그 당시 가슴에 남은 교과목에 실린 글로는 황순원의 <소나기> , 알퐁스 도데의 < 별> 과 함께  피천득의 <인연>이다. 그 당시 무슨 의미로 이 구절을 받아들였을까? 시의 한구절마냥 외워버렸던 구절, 시보다 더 시적이었고 구절,  그냥 가슴의 울림에 귀기울여 좋아했던것 같다. 목련꽃과도 같은 아사코의 이미지와 동일시하여 얼굴 붉히며 읽어내려갔겠지. 그 당시는 이 구절을 이리도 절실히 느끼게 되리라고는 상상도 못했으리라.

[아사코와 나는 세번 만났다. 세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을....이 말은 참 많이 써먹었던것 같다. 짝사랑한 사람을 만난 친구에게도, 실낱같은 희망으로 누군가를 다시 만난 사람에게도, 그리고 나 자신에게도...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네르바 2004-06-15 1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요 며칠 전 피천득의 <인연>책 중에서 '인연' 이 부분만 다시 읽었어요. 아니 만나는 것이 더 좋은 인연... 오랜 세월이 흘러도 그냥, 가슴 속에 그리움과 추억만 남기고 마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은 인연... 그런데 사람인지라 그리워 했던 사람은 다시 보고 싶은 게지요. 그리움과 추억만 갖고 살기엔 인간은 늘 허기져 있는 게지요.

잉크냄새 2004-06-15 2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리움과 추억만 갖고 살기엔 인간은 늘 허기져 있는게지요]
그래서 늘 배가 고팠나 봅니다.^^

갈대 2004-06-16 08: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가 진정으로 만나야 하는 사람은 그리운 사람이다"
그리운 사람들은 왜 이리도 만나기 힘든 건지... 혼자만의 그리움이기 때문일지도...

호밀밭 2004-06-16 1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리워하는데 한 번도 못보는 게 보고 후회하는 것보다 좋은 듯 싶어요. 그냥 삶의 여운 같은 게 느껴지잖아요. <인연> 요즘도 교과서에 있는지 모르겠네요. 전에 국어 시간에 빨리 <인연>을 배웠으면 싶었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