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의 개통으로 전국이 3시간권으로 들어왔다. 며칠전 개통식 관련 내용을 보면서 세상의 빠른 움직임에 놀라지 않을수 없다. 철도 레일 이음새의 특수 용접으로 이제는 더 이상 '덜커덩 덜커덩'하는 소리를 들을 필요가 없고, 칸과 칸 사이의 이음새도 특수하게 제작되어 칸 사이의 이동에서도 더 이상 몸을 흔들거리며 주체못할 일도 없다고 한다.

빠름의 속도에 몸을 맡기기보다는 느림의 철학에 오히려 젖어있는 사고 때문일까? 이런 내용을 접하면서도 머릿속을 파고드는 생각은 이제는 없어질 완행열차들의 잔잔했던 영상과 한자락의 추억들이다.

청량리발 강릉착 통일호 기차. 밤 11시 청량리를 출발하여 아침 7시 30분에 강릉에 도착하던 이 열차를 많이 탔던 것은 비단 고향이 동해안이어서가 아니다. 서울을 출발하여 제천방면을 경유, 영주에서 꺽어서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던 그 길은 8시간 30분이란 시간개념을 훨씬 길게 느껴지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었다.

 


 

영주역에서의 연착시 묘하게 따뜻하게 느껴지던 차창밖의 여염집 불빛들, 눈 내리는 강원도 어느 역에서 기차를 따라오며 눈덩이를 던지던 산골소년들의 야간 나들이, 명절을 맞아 십여년만에 고향을 찾아간다는 늙은 막노동꾼과의 소주 한잔과 푸념들, 살며시 잠이 찾아올 즈음에 찾아드는 옥계역 근처의 눈부신 일출....이런 저런 여행의 묘미를 참 많이도 간직하던 기차였다.

 


 

춘천행 기차는 우울한 일이 있을때 많이 탔다. 처음으로 고향을 떠나 타지 생활을 하면서 우울하고 서글픈 일이 있을때 친구들 만나러 춘천가는 길에 타곤 했다. 기차 맨 뒤켠에서 멀어져가는 기찻길을 바라보면서 마시던 한잔의 소주와 가슴 깊숙히 빨아들이던 담배 한개비의 추억이 어려있는 기차였다. 경춘선 타는 날은 꼭 비가 내리곤 했다. 그 기찻길에서 무엇을 느꼈는지는 아직도 잘 모른다. 그냥 그렇게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많은 위안을 받았다는 사실 이외에는...

 


 

앞으로도 나의 젊은 시절을 같이 한 많은 것들이 사라지겠지. 사라져가는 것들에게 추억이라는 이름을 붙여주는 것 이외에는 다른 어떤 것도 해줄수는 없지만, 그래도 언제까지나 내 젊은날의 기억속에는 영원히 살아있을 것이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4-04-02 1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청량리발 강릉착 통일호 기차... 맞아요.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에선 들르지 않는 작은 시골역사들을 경유하는 맛이 통일호엔 있었지요.
고속철의 등장과 함께 통일호도 사라지게 되는 건가요?
대학 때 신촌역에서 타던 비둘기호도 생각나네요? 님도 기억하시지요? 서울 근교로 엠티를 가거나 할 때 가끔씩 이용하곤 했었는데....
***추억...사라져서 더 아름답고 그리운 게 추억이라지요. 가슴 한 자락에 영원히 묻어 두고 살아야지요...그럼요~ ^^

비로그인 2004-04-02 1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뭡니까?
냉.열.사 복 터졌나 봐요! 님의 글에 코멘트 달고 확인 누르니..또
"코멘트 쓰면 복이 와요!" 이벤트에 또 당첨됐다네요....웬일이래?? -.-;

갈대 2004-04-02 17: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억해야 할 것들이 너무 많네요^^

비로그인 2004-04-02 2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정말 한편의 시 같은 느낌이네요. 가슴이 짠~해진다는. 잉크냄새님의 이 글도 발췌해서, '보통사람들의 또다른 사유'카테고리에 올리면 좋을텐데요. ^^

2004-04-03 14: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잉크냄새 2004-04-06 14: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묻어도 묻어도 언젠가는 그 그리움의 한자락을 기어이 내어밀고야 마는 것이 또한 추억일테지요...

비로그인 2004-04-06 15: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서 추억을 곱씹는다고 한다지요......

ceylontea 2004-04-06 17: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저는 예전에... 인천 송도에서 수원으로 가는 비둘기호를 탔던 적이 있었는데... 이젠... 그런 것도 다 없어졌겠지요?

잉크냄새 2004-04-06 18: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실론티님...아마도 그럴겁니다....
인천 이야기가 나오니 대학교 시절에 사라진 소래포구향 협궤 열차가 생각나는군요...

waho 2004-04-29 2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속철이 빠르고 편하긴 하겠지만 덜컹거리던 기차의 추억을 대신하진 못할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