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갈대 > 한국의 책 100 중, 小說과 詩
오늘 중앙일보에 실린 기사다.
내년 10월 한국을 주빈국(主賓國)으로 열리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한국을 알리는 책으로 특별전시될 책 100권이 지난 8일 선정됐다. 세계 최대 규모인 이 도서전에서는 해마다 주빈국으로 정해진 한 나라의 책과 더불어 문화를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2005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에 번역,소개할 '한국의 책 100'선정위원장에 황지우를 임명했고, 오늘자 신문에 윗 기사와 함께 그 선정된 도서 100권이 발표되었다.
목록을 읽으면서 내가 읽은 책에 형광펜으로 칠을 하려다 말았다. 웬걸 읽은 건 소설과 시 뿐이니 기가 차다. 지성인은 고사하고 지식인으로 살기도 힘겹구나, 싶다. 그 100권 중에서 문학(소설, 시 부문만)만 추스려보면 아래와 같다.












70. 숲 속의 방 / 강석경 / 민음사
71. 무진기행 / 김승옥 / 나남출판
72. 칼의 노래 / 김훈 / 생각의 나무
73. 먼 그대 / 서영은 / 둥지
74. 말뚝 / 서정인 / 작가정신
75. 슬픔도 힘이 된다 / 양귀자 / 문학과지성사
76. 돈황의 사랑 / 윤후명 / 문학과지성사
77.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 윤흥길 / 문학과지성사
78. 해파리에 관한 명상 / 이순원 / 작가정신
79. 생의 이면 / 이승우 / 문이당
80. 초식 / 이제하 / 문학동네
81. 아버지의 땅 / 임철우 / 문학과지성사







84. 잎 속의 검은 잎 / 기형도 / 문학과지성사
85. 거대한 뿌리 / 김수영 / 민음사
86. 중심의 괴로움 / 김지하 / 솔
87. 농무 / 신경림 / 창비
88. 사랑의 감옥 / 오규원 / 문학과지성사
89. 남해금산 / 이성복 / 문학과지성사
90. 주막에서 / 천상병 / 민음사
91. 아무것도 아니면서 모든것인 나 / 최승호 / 열림원
그 100권 속에는 고우영의 '일지매'도 있고, 권정생의 '훨훨 간다'도 있다. 백석의 동화 '귀머거리 너구리와 백석 동화나라'도 있다. 아무튼, 이 100권을 주욱 훑으면서 소설 선정에는 나는 그리 탐탁치 않았던 듯도 싶다. 기사를 다시 읽어보니 책 선정의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 '한국이 책 100'이라 이름을 붙였으나 '한국의 명저 또는 한국을 대표하는 책 100권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기에 좋은 책 100권이라는 의미"
소설과 시, 부문은 그래도 책도 모두 가지고 있고, 읽기도 했다. 그러나 문득 그것이 무슨 소용일까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