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리에서 맥그로드간즈로 넘어오는 길은 긴 여정이었다. 정해진 버스 시간은 12시간이었지만 보통 인디언 타임 2시간 포함시켜 14시간으로 일정을 잡는다. 게다가 내가 탄 버스는 새벽 2시경 어느 한적한 산길에서 고장나는 바람에 달밤에 체조라도 하듯 현지인들과 뒤엉켜 버스를 밀다 결국 포기하고 말았다. 새벽 어둠을 뚫고 나타난 마을버스에 올라타기까지 지체된 3시간 포함, 무려 17시간이 소요된 여정이었다. 그 긴 여정에서 두명의 젊은이를 만났다.
21살의 한국인 처자는 벌써 2달째 여행중이었다. 티벳 자치구와 파키스탄을 거쳐 이곳 인도에 머물고 있었다. 그녀는 맥그르도간즈에 살고 있다는 티벳 남자 친구를 만나러 가는 길이었다. 그녀가 머물던 바라나시에서 델리까지 기차로 12시간, 다시 델리에서 맥그로드간즈까지 버스로 12시간, 무려 24시간의 거리를 달려가는 길이었다. 앙탈이라도 부리듯 혼자 투덜거리다 누구냐는 물음에 남자 친구라고 환하게 웃으며 대답하는 폼이 영락없는 소녀다. 근데 사랑일까, 호기심일까.
21살의 티벳 청년은 올초 티벳사태 이후 6000미터의 히말라야를 넘어 이곳 맥그리드 간즈로 왔다고 한다. 맥그리드간즈에서 만난 한국인 처자를 배웅하기 위해 델리까지 12시간동안 버스를 타고 왔다가 다시 돌아가는 12시간의 버스에 올라탄 상태이다. 같이 찍은 핸드폰 사진을 보여주며 여자친구라 말하며 환하게 웃는 폼이 영락없이 사랑에 빠진 청년이다. 근데 사랑일까, 착각일까.
그들의 사랑을 호기심일까, 착각일까 내 나름의 잣대로 생각한다는 것이 참 우습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곳에서 티벳인과 결혼한 사람을 셋이나 보았다. 사랑에 국경이 없다는 말을 실감하게 된다. 사랑은 번갯불 치듯이 그렇게 시작되기도 한다. 근데 여기에서 일주일 정도 머물며 본 젊은 티벳인들의 눈에는 불안함과 고독이 서려있다. 히말라야 저쪽에 고향과 부모를 모두 두고 넘어온 그들이기에, 국적불명의 불안한 미래이기에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들은 여행자의 객창감에 던진 아주 작은 호의에도 큰 의미를 두게 되지 않을런지. 여행자는 본질적으로 이방인에 지나지 않는 것은 아닐런지. 벼랑끝까지 몰려있는 그들에게 단 하나의 상처는 돌이킬수 없는 아픔을 주게 될 것 같다.
사랑은 쉽게 말하여지면 안될것 같다. 쉽게 말하여진 사랑은 부서지기 쉽고 깨어지기 쉽다. 그 조각은 가슴에 돌이킬수 없는 상처를 남기고 그 상처는 오래도록 아물지 않는다. 단순한 나의 노파심으로 그치길. 그들의 사랑이 진정이길.
" 이제는 세월이라고 불러도 될 기간을 우리는 함께 통과했다.
살았다는 말이 온갖 경력의 주름을 늘리는 일이듯
세월은 넥타이를 여며주는 그대 손끝에 역력하다
이제 내가 할 일은 아침 머리맡에 떨어진 그대 머리카락을
침 묻힌 손으로 집어내는 일이 아니라
그대와 더불어, 최선을 다해 늙는 일이리라
우리가 그렇게 잘 늙은 다음
힘없는 소리로, 임자, 우리 괜찮았지?
라고 말할 수 있을때, 그때나 가서
그대를 사랑한다는 말은 그때나 가서
할 수 있는 말일 거야"
"늙어가는 아내에게" 일부 - 황지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