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엎드려 절 받기
지난 주 나를 아주 화나게 했던 그 활동가 건(지난 페이퍼에서 언급했던 일)으로 인해 금요일 저녁에 기분이 매우 안 좋았다. 그 활동가가 여성이기 때문에, 혹시 내가 뭔가 잘못 오해하거나 착각해서 이러는 건가 싶어서 아내에게 상의를 했다. 너무 이해가 안 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누군가의 도움이 절실했다. 아내의 결론은 간단했다. 그 사람이 미쳤거나, 아주 싸가지가 없는 인간이라는 거였다. 물론 가족이기 때문에 내 편을 더 들어줬을 수도 있지만, 내가 아는 아내는 그런 사람은 아니다. 평소에 나와 말다툼을 할 때보면, 내 잘못이 조금이라도 있는 경우, 오히려 더 철저하게 상대방을 옹호하는 사람이었다. 잠을 자려고 누워도 잠이 오지 않아서, 다시 곰곰이 생각을 해봤다. 이건 나 혼자만 개인적으로 기분나빠하고 말 사안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어쨌거나 함께 사업을 진행해가고 있는 두 단위를 대표해서 업무를 진행하는 입장이었다. 그렇다면 그가 나를 무시한 게 아니라, 그쪽 단체가 우리 회사를 무시한 결과가 된다. 이렇게 결론을 내리자, 도저히 그냥 넘어갈 수 없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 단체의 책임자에게 메일을 보냈다. 잘 안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한 건물에서 일했었고, 몇 번인가 함께 술잔도 기울였던 사이다. 평소에는 전혀 연락을 안 하다가, 갑작스레 이런 일로 연락을 하게 된 게 좀 미안했지만, 어쨌거나 해결책은 이거 밖에 떠오르지 않았다. 앞부분은 배경 설명을 하고, 현재의 내 기분과 우리 쪽 입장을 명확하게 전달했다. 제대로 된 해명과 사과가 없으면 대표님께 보고하고, 대표 명의로 공식적으로 항의절차를 밟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그와 주고받았던 몇 통의 메일 전문을 첨부했다.
토요일 오후 늦게 메일을 받은 국장님께 답장이 왔다. 일단 이런 상황이 된 것이 매우 유감스럽고, 함께 활동했던 동지로서 대단히 미안하다는 얘기와 함께 자세한 상황을 알아보고 연락주시겠다고 했다. 조금은 마음이 풀렸다. 그리고 오늘 오전에 국장님의 전화를 받았다. 먼저 사과를 하시면서 간단하게 상황 설명을 해주셨다. 어쨌거나 결론은 명백하게 그 활동가의 잘못이라고 했다. 다만 그 활동가가 개인적인 이유로 활동을 정리중이며, 여러 가지 정황상 곧바로 사과를 할 상황은 아닌 것 같다고, 자신이 대신 정중하게 사과를 하니, 이해하고 마음을 풀어달라고 했다. 원래 문제가 되었던 건의 처리는 그쪽에서 곧 마무리하기로 했다.
해당 활동가로부터 직접 사과를 받지는 못했지만, 모든 상황은 원만하게 해결이 된 듯 했다. 나로서도 더 이상 이 건을 문제 삼을 만큼 한가하지도 않으니. 일단락을 짓기로 했다. 조금 여유가 생기면 곧 소주 한잔하기로 하고 전화를 끊었다.
둘. 열꽃은 피었다가 지고
지난 주 내내 고열에 시달렸던 아기는 금요일 오전부터 체온이 거의 정상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온몸에 열꽃이 올라왔다. 이틀 전인 수요일에 의사선생님이 열이 내리면 열꽃이 필거라고 말씀하셨는데, 딱 들어맞았다. 퇴근해서 아기를 안으니, 마음이 너무 아팠다. 일주일동안 앓느라고, 살이 쏙 빠진데다가(흔히 말하듯 얼굴이 반쪽이 되어있었다!), 얼굴에 온통 울긋불긋 열꽃이 올라있는 모습이 너무 불쌍해 보였다. 한동안 녀석을 꼭 껴안고 서있었다. 아플 때는 잘 웃지도 않고, 장난도 안치던 녀석이 이제 좀 나아지긴 했는지, 예전처럼 잘 웃고, 장난도 치기 시작했다.
토요일 오전 병원에서 의사 선생님은 아기를 보더니 갑자기 시를 읊으셨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 열꽃을 볼 때마다 이 시가 생각난다는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며, 나와 아내는 좀 당황했지만, 그냥 웃어 넘겼다. 아기 얼굴에 핀 열꽃을 보고 그 유명한 시를 떠올리는 건 자유지만, 아픈 아기를 안고 병원을 찾은 부모들에게 그 시를 읊는 건 좀 당황스럽다.
아기가 몸이 약해져 있는 상태니까 절대 외출하면 안 된다고 해서, 주말을 집에 콕 박혀서 보냈다. 일요일 오후가 되니 열꽃이 많이 가라앉았다. 게다가 얼굴에 다시 살이 붙는 게 느껴졌다. 어제 퇴근하고 돌아오니 포동포동 살이 붙은 아기가 나를 반기며 웃었다. 열꽃은 이제 완전히 다 나은 것 같았다. 한참동안 아기와 장난을 치며 놀았다. 아기가 깔깔 웃으며 좋아하는 모습을 다시 보게 되어 너무 기분이 좋았다. 아가야, 제발 아프지 말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