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분
필립 로스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1월
평점 :
필립 로스의 작품마다 시대의 핫이슈와 맥을 같이 하는 경향이 있는데, 울분은 그 중 6.25 한국 전쟁이다. 작가 노년에 10대와 20대를 회상하며 50년대 초, 유대인이라는 사회적 시대적 배경 카테고리에서의 캠퍼스 생활, 젊은이 특유의 학업에 대한 열정, 종교에 대한 부조리함, 성애에 눈뜸, 혹은 전통적인 가족관(가급적 일찍 결혼해 가족을 만들고 싶어하는 것)과의 사이에서 오는 죄의식(?)을 그리고 있다. 도식적으로 말하기는 뭣하지만, 젊은 주인공은 울분에 관하여 발을 살짝 잘못 디뎠을 뿐인데, 한국 전쟁에서 전사하는 최후를 맞이한다.
주인공은 부모님을 떠나 대학에 가서 법률가가 되려고 한다. 정육점을 하는 부모님의 피가 잔뜩 묻어 악취가 풍기는 앞치마와 같은 성실히 일하는 삶과 멀어지는 길이기 때문이다. 아버지가 가르치는 정육점 일을 순순히 배웠지만, 아버지는 그가 피를 좋아하도록 가르치지는 못했다. 미리 걱정하고 염려하며 주인공의 삶에 제한을 두는 광신자 같은 아버지는 공부에 전념하는 아들의 태도를 자랑스러워하며 그의 대학 학비를 대기 위해 보조하던 직원을 내보내면서 열심히 일하셨고, 일을 쉬던 어머니도 정육점 일을 시작하셔야 했다.
“내가 여기 있고 이 일이 필요하면 내가 하는 거야.”
“필요가 없다니까요. 오늘 아침에도 제일 먼저 거기부터 청소하더라고요.”
욕실이 그럴 필요가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어머니가 그럴 필요가 있었다. 일. 어떤 사람들은 일을 갈망한다. 어떤 일이든. 가혹하든 고약하든 상관없다. 자기 삶의 가혹함을 쏟아내고, 마음에서 자신을 죽일 것 같은 생각들을 몰아내기 위해. 어머니는 욕실에서 나왔을 때 다시 나의 어머니가 되어 있었다.
“네 아버지와 이혼하지 않을 거다. 마커스. 결심했어. 그냥 견딜 거야. 네 아버지를 돕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걸 다 할 거야. 도움이 될 게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게 네가 나한테 바라는 거라면, 그게 나 자신이 바라는 것이기도 해. 너는 이혼한 부모를 원치 않고, 나는 네가 이혼한 부모를 갖는 걸 원치 않아. (...) 계속 네 아버지와 살게, 무슨 고생을 하더라도.”
그의 소설을 읽는 것은 역시 깊고 독특한 기쁨이다. 도덕적, 정치적 정당화를 요구하지 않는 흥미롭고 신비로운 인간 활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