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살 이전의 자존감이 평생 행복을 결정한다
토니 험프리스 지음, 윤영삼 옮김 / 팝콘북스(다산북스)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다 읽은 지 꽤 되었으나 이제 리뷰를 올리는 것은, 밑줄 그은 부분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다. 밑줄 긋기 형식으로 쓰려고 했었으나 너무 많아서 포기. 원제는 ‘Self-Esteem: The key to your child’s future’ 이니, 해석하자면 ‘자존감: 아이의 미래를 결정하는 열쇠’ 라고 할까. 영아에서 초등학교 1학년 전후 아이를 둔 부모들을 상대로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현재 그렇지 않더라도 앞으로 부모가 될 사람들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저자는 말한다. 아이를 키우는 일이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라는 점을, 아이를 키우는 일은 절대 타고난 기술이나 본능적인 기술이 아니라 끊임없이 공부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부모는 아이를 관리하고 통제하는 사람이 아니며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통제하는 상황은 갈등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한다. ‘너를 위해서’라는 토를 붙여, ‘애정’이라는 이름으로 우리는 얼마나 통제되어 왔었고, 또 우리 아이들을 조정하려 드는가. 자존감을 키우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바꿔 말하면 어떤 요소의 결핍이 결정적으로 아이의 자존감 형성을 방해하는가. 답은 정해져 있지 않은가? 부모의 사랑을 충분히 받고 보살핌을 받아 자신이 그러한 충만한 사랑을 받고 있다고 아이가 느끼며 자랄 때 아이는 스스로에 대한 가치를 느끼며 자존감이 형성된다. 부모의 사랑이 아이에게 전달되도록 하려면 행복한 가정, 행복한 부부라는 전제 조건이 요구된다. 스스로 자존감이 높은 부모, 갈등을 긍정적이고 발전적으로 해결해나가는 부부가 행복한 가정을 만든다. 실제로 아이의 삶에 있어 가장 큰 스트레스의 원천은 부부갈등이라고 한다.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자존감을 형성시켜주려면 부부갈등부터 풀라고. 아이와 소통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은연중에 뭔가를 가르치고 지시하고 해결방법을 제시하려고 해서는 안되고,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마음껏 털어놓을 수 있도록 들어주는 것에 중점을 두라고 한다. 아이가 보이는 문제 행동 자체는 문제가 아니고, 그것은 눈에 안 보이는 아이의 내면적인 갈등을 표현하는 신호임을 알아차려야 하며, 학업과정에서 맞이하는 성공과 실패 자체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주기보다는 다만 부모와 선생님을 비롯한 어른들의 반응이 더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인간의 능력을 결정하는 것은 유전자가 아니라 자존감이라고 하니, 어릴 적부터 자존감을 어떻게 키워왔느냐가 제목처럼 아이의 미래를 결정하는 열쇠가 되지 않겠는가. 하지만 이런 책들을 읽으며 십분 이해하고 머릿속에 담아놓는 것에 비해, 지금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그것을 실천하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저자도 말했듯이 인간의 행동에는 감정이 우선하고 머리는 그 행동을 정당화 할 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를 키우며 부모도 같이 큰다고 했던가.
이런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엄청난 책임감과 나 자신 부족함에 대한 반성은 커져만 간다. 나는 어쩌면 아이를 위해서라기 보다 나 자신을 위해서 이런 책을 읽어오고 있는지 모른다. 아이가 있음으로 해서 나 자신을 돌아보고 분석하고 정비하여 새롭게 날 수 있는 기회가 있음에 감사한다, 쉽지 않은 여정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