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라는 지명에서, 그렇다면 앞에 있는 사우디는 어디서 유래한 말일까?
평소에 말의 유래에 관심이 있는 편이라 이번 전시를 보면서 이것도 당연 궁금했다.
잘 모를 땐 사람 이름이라고 찍으면 (!) 맞을 때가 많다는 경험에 미루어, <사우디>도 혹시? 했는데 역시.
사우디 가문에서 유래한 이름이란다.
사우디 가문의 왕 압둘아지즈에 의해 지금의 사우디 아라비아 왕국이 세워진 것은 그리 오래전이 아니었다. 1932년.
사막, 오아시스, 이슬람교의 발상지라는 것 말고 사우디 아라비아에 대해 아는 것은 거의 전무 한데다가, 얼마 전에 본 이집트 유적과 무엇이 다를지도 궁금했다.
올해가 우리나라와 사우디 아라비아 수교 55주년.
사우디관광국가유산위원회에서 아시아 순회전을 기획하면서 그 일환으로서 지난 5월 9일 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아라비아이 길이라는 제목으로 466품목에 대한 전시가 진행중이다.






Nabonidus 왕의 비석.
단순화, 추상화된 형태가 마치 현대 조각 같다. 브랑쿠시??


거의 모든 유적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이렇게 세면대에 까지.

원래 Dedan 이라는 곳의 사원 벽에 기대어 서있던 남성상.
통치자의 상으로 추정된다.


낯익은 글자 모양이다! 했는데 라틴어라고 한다.
라틴어 명문이 새겨져 있는 비석으로, 2008년 세계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로마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통치하에 제작된 사암 석판.
내용은?
헤그라 (지명)의 건물을 재건축 하는 것을 기념한다는 내용.

아라비아 지역에서 낙타란 우리 나라에서 소와 같은 것.



무식하게도 청자나 청화백자는 중국과 우리 나라에만 있는 줄 알았다 ㅠㅠ


금으로 쓴 쿠란

메카의 카바 신전의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에 있던 거대한 나무문.
1947년까지 사용되다가 교체되었다고 한다.
메카 신전은 지금도 이슬람교도가 아니면 들어갈 수 없다.


메카, 알 말라의 묘지석 (9세기)
불규칙한 형태의 현무암에 망자나 조상의 이름, 무덤의 위치, 혈통의 기원등을 새겨놓았는데 쿠란의 특정 문구로 귀결.

전시장에 가면 기념품샵을 꼭 들르기는 하지만 구경만 할뿐 기념품을 사가지고 오는 일은 거의 없는데 이 날은 맨 위의 인물상 세쌍을 팔고 있길래 사왔다.
뒤에 자석이 달려 있어 지금 우리 집 냉장고에 저렇게 붙여 놓고 냉장고 문 열 때마다 눈맞춤.
기념품 크기는 아주 작아서 인물상 하나가 손가락 하나 크기 정도.
전시는 8월 2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