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여자네 집 창비시선 173
김용택 지음 / 창비 / 199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이라고 하면 나는 당연히 내가 자란 곳의 '한강'을 떠올린다. 그것도 무슨 아련한 추억으로 떠올리는 것이 아니라, 거의 매일 자동차로 건너가던 한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와 함께 떠올릴 뿐이다. 한강에 얽힌 어떠한 추억도 갖고 있지 않은 채.

작년, 그리고 재작년, 봄마다 꽃 구경 가면서 만난 섬진강은 내게 '강'이라 이름 붙은 대상의 이미지를 확 바꿔 놓았다.그야말로 조용하게, 유유히, 흘러가는지, 머물러 있는지 모르게 시야를 둘러싸고 있는 물줄기. 보면서 느끼는 포근함과 따뜻함은, 그냥 그 안으로 파묻혀보고 싶었다 아이가 엄마 가슴에 얼굴을 파묻듯이.

그리고 이 시인을 떠올리지 않을수 없었지. 본인이 원하든 그렇지 않든, 사람들은 이 시인에게 '섬진강 시인'이라는 꼬리표를 달아놓고 말았으니.

첫순간에 끌려서 집어드는 책들이 있는가 하면, 아무리 귀에 익고 눈에 익은 작가, 책이라 할지라도 오랫 동안 손이 안가고 있는 책들이 있다. 김 용택 시인의 시집은 바로 후자에 속하던 책들 중의 하나. 너무 많이, 쉽게, 여기 저기서 인용되고 있다 생각했었다.

올해, 유난히 많이 기다려진 봄이었고, 또 이제는 이런 시들을 내 스스로 찾아서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남이 말하는 것을 일방적으로 듣는 것이 아니라.

이 시집에 자주 등장하는 위의 단어들은 서로 다른 단어들이지만, 모두 통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그 여자'까지도.

시인은 후기에서 '그 여자네 집' 이 팍팍한 일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잠시나마 포근하게 쉴 고향의 '집'이었으면 한다고 썼다.

읽으면서 내내 어떤 그림이 연상되었다. 내가 그림에 소질이 있다면, 책을 읽고 리뷰를 쓰듯이, 그림으로 느낌을 남길 수도 있을텐데 말이다... 이 시집이 딱 그런 책인데 말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6-04-14 1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저도 갑자기 리뷰를 그림으로 해 보고 프다는 저역시 그다지 소질이 없어 접어두지만^^

진주 2006-04-14 1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섬진강시인이라는 별호는 김용택님 스스로도 아주 좋아할 것 같은데요?
섬진강을 혼자서 다 팔아먹었다고 다른시인들이 기분 안 나쁠만큼 비아냥거리기도 하니까요 ㅋㅋ

hnine 2006-04-14 23: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늘바람님, 나중에 제 아이에게나 한번 해보라고 할려고요. 느낌을 글로 또는 그림으로. 어디에서 사느냐는 것은 중요한 것 같아요 특히 창작을 하는 사람에게는.

진주님, 하하...섬진강을 혼자서 다 팔아먹었다는 말이 나올만도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