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부모 밑에서 좋은 자녀가 자란다 - 자녀, 뿌린 대로 거둔다
박경애 지음 / 작은씨앗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들 교육에 관한 책을 읽으면, 모르던 것을 새로 알게 되는 경우보다는 알고 있는 것을 다시 되새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알고 있는 사실임에도 이렇게 계속 읽고 있는 이유는, 알고 있지만 실천하기 어렵고, 잊고 지내기 쉽기 때문이다. 하루도 휴일이 없는 이 엄마라는 직업. 아무 생각 없이 그냥 저냥 내 감정대로, 내가 내키는대로, 내가 중심이 되어 할 수만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수시로 이렇게 스스로를 점검하고, 반성도 하면서, 아이의 마음을 제대로 읽기 위해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더 잘 해볼까 노력하는 의지의 끈을 놓을 수가 없나보다.  
이 책은 목차에 나와있는 소제목들만 읽어도 내용을 대강 파악할 수 있었고, 또 사실 소제목에 요점이 잘 나타나있기도 했다. 특히 마음에 와닿았던 소제목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놀이문화를 잃게 되면 성에 눈을 뜬다 (그래서 특히 남자 아이들의 경우에 잘 노는 것이 필요하다.)
-창의성은 글쓰기에서 시작된다 (일기쓰기만큼 좋은 것이 없을 듯)
-여행의 거리는 아이디어의 크기와 비례한다 (계절의 변화를 여행을 통해 자연에서 느끼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의 재능을 알아보고 키워주는 부모가 지혜로운 부모 (시간을 두고,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를 잘 지켜봐야 알수 있는 것. 내 아이는 뭐든지 다 잘하게 하고 싶다는 마음을 버려야한다.) 
-한국인의 잘못된 자녀교육 신화 
   *인간에게는 누구나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현실성이 결여된 말. 자녀가 뭐든지 잘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는 접고 남들보다 잘할 수 있는 것이나 자기가 가진 능력 중에 뛰어난 것이 있음을 일찍 깨달을 수 있도록 가르치고 그것에 스스로 매진할 수 있는 지구력을 키워주도록)
   *하면 무엇이든지 된다. (오랫동안 군부독재에 지배자의 자리를 내주었던 우리 현대사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주는 슬픈 구호. 무엇이든지 하면 되는 것은 아니다.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할수 없는 일이 분명 있다.) 
   *될성 부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 (사람의 성장은 끝을 보아야 한다. 성장기 아이들의 단면적인 행동을 가지고 아이 전체를 함부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부모는 영원히 자식이라는 나무의 바람과 햇살, 비료가 되어 주는 존재일 수 밖에 없다,)
- 자녀를 그르치는 부모: 지나치게 기대하는 부모, 자유방임하는 부모, 완벽주의 부모, 무관심한 부모

이 중에서 특히 한국인의 잘못된 자녀교육 신화에 대해서는 공감을 많이 했다. 이 세상에 불가능은 없다라든지, 뭐든지 하면 된다 라는 말이, 그야말로 말은 쉽지만 얼마나 가혹한 주문으로 들릴 수 있는 말인가. 자녀를 그르치는 부모중 한 예가 지나치게 기대하는 부모라는 점과 일맥상통한다고 볼수 있는데 나 역시 학생때 나의 능력보다 항상 높게 기대를 하시고, 하면 된다고 하시며 끝까지 내게 너무 버거운 목표를 제시하시는 부모님을 향하여 ' 예, 하면 되는 것 맞아요. 70살에 박사 학위를 받는 사람도 있다니까요. 그러니 엄마도 한번 해보시지 그래요.' 이런 말을 속으로 삼킨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던 기억이 있으니까.
마지막으로 이 책에 실려있는 아이를 문제아로 키우는 방법 리스트중 몇가지를 옮겨본다.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다 들어줘라. 그러면 세상은 자기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나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살게 된다.
-나쁜 단어를 배워 쓰면 고쳐주는 대신에 웃어줘라. 그러면 자기가 귀엽게 군다고 생각한다.
-안돼!라는 말은 절대로 쓰지 말라.
-무엇이든지 어질러 놓은 것은 따라다니면서 치워줘라.
-아무 책이나 읽게 하라.
-아이들 앞에서 자주 싸워라.
-용돈을 달라는 대로 줘라. 노력해서 돈 버는 것을 가르치지 말라.
-먹고 싶은 것은 다 먹여라.
-언제나 아이의 편을 들라. 

이 책에 대해 아쉬운 점이라면 인용한 글이나 인물의 예가 너무 많이, 자주 나온다는 것과 그야말로 소제목만 읽어도 충분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잠깐잠깐씩 들었을 정도로 제목밑의 설명들이 좀 진부한 감이 없지 않다는 것이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꾸는섬 2009-10-19 2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나 느끼지만 아이를 키우는게 가장 힘든 것 같아요.

hnine 2009-10-20 01:02   좋아요 0 | URL
그렇지요, 정답이 없기도 하고, 하면서도 늘 자신 없고요.

상미 2009-10-20 1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론하고 실천하고 제일 다른게 육아인듯...

hnine 2009-10-20 17:34   좋아요 0 | URL
그래도 이렇게 책으로 계속 정신 무장을 좀 하고 있는 동안은 쪼~끔 더 나은 것 같기도 하고 ^^ 뭐 나 혼자 생각인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같은하늘 2009-10-21 0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론과 실제는 정말 달라요. ㅜㅜ
저도 매일 뒤 돌아서서 후회하지요.

hnine 2009-10-21 07:10   좋아요 0 | URL
아이 키우면서 그러지 않는 엄마, 아마 없지 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