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렇게 말하는 대신,

 

 

 

 

 

 

 

 

 

 

 

 
 

--> 이렇게 말하기 

 

 

 

 

 

 

 

 

 - 이 책 중에서 한 쪽을 옮김 - 

 

꼭 아이에게 하는 말이 아니더라도,  
내 입에서 나온 말들을 다시 돌이켜보기가 두려워질 때가 있다.

평소 나의 생각, 나의 상태, 나의 사람됨, 나의 성격이, 내가 입으로 쏟아낸 말 속에 그대로 드러나는데, 말 자체는 사실 빙산의 일각이 아닐지.
그때 그때 말하는 것만 주의해서 될 일이 아니라는 생각도 들지만. 

하지만, 나는 연습한다. 이 책은 그저 이렇게 하는 것이 옳다 저것은 그르다 설명만 늘어놓는 것이 아니라, 직접 연습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게 쓰여져 있는 것이 특징이어서 나도 모르게 연습을 해보게 된다.
그런 말 있잖은가, '나는 날마다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고 ^^


댓글(6)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기 2009-02-26 19: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휴... 저게 가능하다면 엄마가 아니고 성인이게요... ㅠ.ㅠ
그래도 노력은 해봐야하겠지만요. 추천하고 갑니다.

hnine 2009-02-26 20:26   좋아요 0 | URL
'비난'보다 '사실'을 얘기할 때 아이들한테 더 잘 받아들여진다는군요.
또는 위의 예에서 그냥 '우유!' 이렇게만 말하는 것도 좋대요. 뜻은 전달하면서 비난의 뜻까진 들어가지 않으니까요.
저는 가끔 한술 더 떠요. '저 우유 언제부터 저렇게 있었니? 상한 우유 먹고 누군가가 배탈나야 좋겠어?' --> 아주 나쁜 방법이래요 ㅋㅋ

혜덕화 2009-02-27 10: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가능한 사실만 얘기하려고 노력합니다.
아들이 밤 늦게 들어오거나, 딸 아이가 독서실에서 늦게까지 남아 있으려고 고집피울 땐 그냥 이렇게만 말해요.
"너무 늦으면 엄마가 걱정된단다. 엄마 걱정 안하게 해 줄래?"
이 말의 효과는 거의 100%입니다.
대개는 생각보다 일찍 오거나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알려주니까요.^^

hnine 2009-02-27 10:48   좋아요 0 | URL
예, 비난섞인 말 들어서 좋을 사람 없으니까요.
우유가 상할까봐 걱정하는 것이지, 우유를 누가 꺼내 놓았는지는 정작 중요한 것이 아님에도 말은 빗나가고 말지요.
늦게 오는 아이에게 엄마가 걱정한다는 사실을 간단하게 알려주기만 해도 아이들은 알아듣는데 말이죠. 음~ 저도 마음에 담아두겠습니다 ^^

하양물감 2009-02-27 17: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먹은대로 안되는게 말이더라구요. 한솔이가 요즘 한참 반항중이라 더 그런것같아요...

hnine 2009-02-27 18:04   좋아요 0 | URL
그럼요 하양물감님. 남이라면 모를까 내 아이에게 감정 안 섞고 평정심으로 말한다는게 쉽지 않지요. 하지만 그런 마음이라도 먹고 있으면, 그러려고 노력하다 보면 조금은 달라져가지 않을까, 그것 역시 모든 엄마 마음이 아닐까 해요.
한솔이가 반항을?? ^^ 똘똘해서 그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