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워크샵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보니 세살된 아들이 바닥에 드러누워 떼를 쓰고 있었다. 남편은 그저 옆에서 학을 뗀 표정을 하고 서있을 뿐이었다. "자, 아동 전문가께서 오셨으니 이 아이를 어떻게 다루시는지 한번 볼까?" 이 사태에 내가 나서야만 하겠구나 라는 느낌이 왔다. 여전히 발길질을 하고 소리를 질러대는 조슈아를 내려다보던 나는 전화기 옆에 있던 연필과 메모패드를 집어들었다. 그리고는 무릎을 굽히고 앉아 조슈아에게 연필과 메모패드를 건네주며 말했다. "자, 네가 얼마나 화가 났는지를 나타내봐. 네 기분을 그림을 그려서 보여주는거야"
조슈아는 즉시 일어나더니 화가 난 듯한 원들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리고는 내게 그것을 보여주며 말했다. "이게 내가 얼마나 화가 났는지 하는거여요."
나는 "너 진짜 화가 났구나!" 라고 말하며 메모패드에서 종이를 한장 더 뜯어 주었다. "더 보여줘봐."
조슈아는 마구 휘둘러 그려댔고 나는 또 말했다. "세상에, 이렇게 화가 난걸..." 우리는 이 과정을 한번 더 거쳤다. 내가 네번째 종이장을 내밀었을때 조슈아는 확실이 훨씬 진정이 되어보였다. 그 아이는 종잇장을 한참 동안 바라보더니 말했다. "이젠 좋은 내 기분을 나타내볼께요." 그러더니 원 하나를 그리고 눈과 웃는 모양의 입을 그려넣었다. 믿을 수 없는 일이었다. 2분 만에 그 아이는 신경질이 있는대로 난 상태에서 웃을 수 있는 상태로 돌아온 것이다. 나는 그저 그 아이로 하여금 내게 자신의 기분을 보여주게 한 것 뿐인데.
|
|
|
|
 |
- 이 책중 31쪽 내용을 옮김 -
-----------------------------------------------------------------------------------
아이가 어떤 말을 하거나 기분을 표현할 때, 그것을 듣고 (혹은 다 듣기도 전에) 어떤 단정을 짓거나 결론을 내리고 다음 단계 지시까지 내리는 것으로 대화를 마무리하는 부모가 있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아이는 그런 목적으로 말을 시작한 것이 아닌데...
단순한 호응의 표현만 하면서 끝까지 아이가 자기 기분을 맘껏 표현하도록 들어주고 (listen), 그 상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고 (acknowledge), 함께 느껴주는 것 (empathy), 부모의 역할은 거기까지이다.
육아, 교육 관련 서적을 읽는 동안, 또 관련된 일을 하시는 분들의 말씀을 들을 때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말 중 하나가 바로 empathy (감정이입)라는 단어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