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독의 발견
홍경수 기획.구성 / 샘터사 / 2004년 12월
평점 :
절판


가끔 TV에서 본 적이 있는 프로그램인데, 워낙 TV를 잘 안 켜고 사는지라 처음부터 끝까지 본적은 한번도 없었다. 이 책은 <낭독의 발견>이라는 프로그램의 뒷 담화, 즉 소개되었던 글들과 그 글을 소개한 출연자들의 이야기, 그들의 사연 등이 그 프로그램의 제자 PD의 손으로 엮어진 책이다.
좋아하는 글을 소리내어 읽어본 적이 정말 언제인가. 학교다닐 때 국어 시간에 한 사람씩 지목되어 읽어본 이후,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느라 참 많이도 소리내어 읽었으나 정작 내가 좋아하는 글을 소리내어 읽어본 적은 없었다.
소설이 영화와 통한다면 시는 사진과 동질의 성격을 갖는다고 사진작가 김중만 씨는 말했다는데, 무슨 말인지 알 것 같다. 함축된 이미지를 나름대로 해석하고 받아들이는 시의 성격을 말해주는 것 아닐까.
그 사람이 보여주는 모습만으로 그 사람을 알고 있다가, 그가 좋아하는 시와 그 시를 좋아하게 된 이유를 들으며 그 사람을 다시 보게 된다. 다시 알게 된다.
도종환 시인이 스콧 니어링의 저서에서 인용한 '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 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는 구절, 가수 성시경이 소개한 김종완이라는 분의 '그의 시 & 그녀의 시'라는 시, 하덕규님의 자작시 중 '숲에서 나오니 숲이 보이네'라는 구절이 나오기 까지 그가 겪었을 듯한 방황과 아픔이 전해져 온다. 양희은의 노래로 유명해진 '한계령' 역시 그의 한편의 시이자 독백.
시를 읽으면서 목소리가 떨려오고, 눈가가 젖어 오는 낭독자들은 그 한편의 시 속에 얼마나 많은 인생의 의미를 느끼고 있음인가.
'시'란 어떤 특정인이 아니라 이렇게 누구나의 가슴에 파고들 수 있는 쟝르임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즈행복 2008-01-16 0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성격이 급해서 아직은 소설이 더 편하게 느껴지네요. 관조하고 생각하고 느끼기 보다는 끝냈다는 방점에 너무 급급한 삶이라서 그런가봐요. 흑흑...

hnine 2008-01-16 09:38   좋아요 0 | URL
미즈행복님, 저도 소설을 훨씬 더 많이 읽어요. 시는 일부러 생각하며 읽는다기보다, 그냥 술술 읽어넘기다가 마음에 확~ 들어오는 시가 있으면 따로 적어좋던가 하는 식이지요. 그럴땐 뭔가 '발견'했다는 기쁨이 생기지요. 소설이 훨씬 편하다는 말씀, 맞아요~ ^^

비로그인 2008-01-16 0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덕규의 시는 대학시절 친구가 생일선물로 줘서 읽은 기억이 납니다.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라는 말이 어찌나 와 닿던지요.

hnine 2008-01-16 09:39   좋아요 0 | URL
내 속에 너무 많은 내가, 나이를 먹어가면서 하나씩 하나씩 정리가 되는 느낌이 들어요. 나이를 먹는 댓가인가보다 생각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