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가의 뜰 - 소설가 전상국이 들려주는 꽃과 나무, 문학 이야기
전상국 지음 / 샘터사 / 2020년 7월
평점 :
소설가 전상국. 내게는 중학생때 TV에서 한국전쟁 특집극 <아베의 가족>을 보고 처음 알게 된 작가이다. 그때만 해도 아직 어렸는지, 죽창으로 양민을 학살하는 장면, 아베라는 인물의 탄생 경위, 이후 아베 가족의 역사가 하나씩 드러날때마다 그 충격이 컸었다. 한국 전쟁이 단순히 잔혹하고 슬픈 역사적 사건으로 이미 지나간 과거가 아니라 지울 수 없는 상처가 돠어 현재까지 고스란히 이어지고 있고 또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거라고 말해주는 듯 했다.
저자는 고등학생때 이미 문학상에 입상함으로써 일찍부터 작가로서의 재능을 인정받고 데뷔하였지만 그렇다고 여든의 나이에 이른 지금까지 계속해서 글 쓰는 일만 하며 살지는 않았던 듯 하고 방황의 시기도 겪은 듯 하다. '소설가 전상국이 들려주는 꽃과 나무, 문학 이야기' 라는 설명이 붙은 이 책은 그런 작가의 삶을 되돌아보는 가벼운 자서전 형식이기도 하고 아내와 함께 고향에 내려가 주로 아내 몫인 꽃과 나무, 정원 가꾸기를 옆에서 도와주기도 하고 자연이 보내는 소리를 듣고 그것을 글과 사진으로 담아내며 살아가는 소소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숲은 녹색 탱크. 사람들은 생활에서 피폐하고 고갈된 에너지를 숲에서 충전받는다. (65쪽)
자연과의 만남은 빼앗기 위해 호시탐탐 상대를 노리고 있는 사람과의 만남과 달리 항상 덧셈이었고 자기 치유의 바이블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인간은 그것을 너무 늦게 깨달을 뿐 이다. 인간이 인간을 대할 때 호시탐탐 상대를 노리듯이 우리 인간은 자연을 대할때도 그렇게 대하는 우를 범하고 있지 않는지. 이용하는데 눈이 멀어 그것의 소중함과 무서움을 깨닫는 것은 훨씬 나중이다.
설자리를 잃어버린 사람들이
산을 찾아 들어간다
그 산에
너르고 착한 다른 세상 있구나
- 이성부 <산2> -
서울에서 고등학교 국어교사로 12년을 지내고 그는 강원대학교 교수가 되면서 다시 고향 춘천으로 돌아온다. 춘천은 그가 애정하지 마지않는 요절한 작가 김유정의 고향이기도 하다. 춘천에서 그는 교수직 외에도 많은 일에 의욕을 가지고 관여하는데 주로 김유정과 관련된 일이었다. 김유정을 기리는 문화사업에 관여하기도 하였고 김유정을 기리는 다른 문인들과의 모임을 활성화시켰으며 이들과 힘을 모아 금병산 일대에 금병산예술촌을 만들기도 하였다. 춘천이라는 지역과 김유정에 대한 사랑은 그의 작품 여기 저기에 소재로 쓰이기도 하는데 저서 <김유정>, <춘천 하는 이야기>외에 <유정의 사랑>은 소설, <물매화 사랑>은 그가 좋아하는 들꽃을 위해 쓴 단편소설이라고 한다.
책 속에는 그가 직접 찍은 많은 꽃, 나무의 소박한 사진들이 실려 있다. 멋부리려 하기보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담은 듯한 사진들이다. 김유정의 대표작중 하나인 <동백꽃>의 동백꽃은 우리가 아는 그 동백꽃이 아니라 노랗게 꽃이 피는 생강나무임을 그의 설명 덕분에 이제사 알았다. 백로가 날개를 펼친듯한 모습의 꽃을 피우는 해오라비난초는 얼마나 아름다운 꽃말을 가졌는가. '꿈에도 만나고 싶다' 란다. 군락을 이룬 노란 기린초. 작고 여린 기린초이지만 한번 쯤 줄기를 싹둑 잘라주는 용기가 있어야 여름날 더 실한 꽃을 볼 수 있다는 대목엔 밑줄을 그었다. 평소에 하얗고 깨끗한 노각나무 꽃을 보며 활짝 피는가 싶으면 어느새 땅에 떨어져 있어 왜 저리 빨리 떨어질까 의문을 갖고 있던 나인데 노각나무를 특히 좋아한다는 작가는 딱 하루만 피었다가 저녁에 툭 떨어지기 때문에 더 아름다운 것인지 모른다고 했다.
전체적으로 들꽃, 나무, 문학 이야기가 소재이긴 하나 이 세가지가 더 잘 엉켜들었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꽃, 나무, 정원 이야기와 문학 이야기가 별 관련없이, 섞여만 있는 구성에서 크게 업그레이드되진 않았다는 느낌이다. 아마도 이 책을 읽는 동안 역시 노년을 정원일에 몰두하며 살아간다는 일본 작가 마루야마 겐지의 수필 <그렇지 않다면 석양이 이토록 아름다울 리 없다>를 떠올렸기 때문일까? 정원 생활 기록이라니 이 책 만큼은 조곤조곤 부드러운 글이겠거니 하며 읽기 시작했다가, 정원을 예찬하면서도 어김없이 그의 뚜렷한 철학과 주장이 담긴 글의 힘이 느껴져서 지금도 옆에 두고 종종 들춰보는 책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