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 바이칼틸 숨쉬는책공장 청소년 문학 2
이주현 지음 / 숨쉬는책공장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방은 풀 한 포기 보이지 않는 허허벌판이었다.

 

이 소설 첫문장은 주인공인 열네살 소녀 설희가 처한 상황이기도 하다.

제목의 바이칼틸은 러시아어로서 우리에겐 가창오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새의 한 종류이다. 연해주에 살던 고려인 설희는 할머니, 엄마와 함께 강제로 태워진 호송열차에서 탈출하기 위해 뛰어내리면서 할머니, 엄마와 헤어지게 되고 어딘지도 모르는 곳에 혼자가 된 설희. 허허벌판에서 만난 새가 바이칼틸이다.

 

정말 오랜만에 읽는 청소년 소설, 성장 소설, 역사 소설이다.

책장을 넘기면 글자가 큼직하고 행간도 넉넉하여 가볍게 읽기 시작한 이야기가, 갈수록 스케일이 커진다.

러일전쟁후 일본과 관계가 악화된 러시아는 연해주에 살던 일본인과 함께 고려인 (러시아를 비롯한 구 소련 국가에 주로 거주하면서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한민족 동포) 까지 강제 이주 열차에 태워 중앙아시아 황무지로 쫓아낸다.

연해주에 살고 있던 설희네 가족은 독립운동하던 아버지가 러시아 경찰에 끌려가게 되고 남아있는 설희 가족은 이 강제 이주 열차에 태워져 어딘지도 모르는 곳으로 호송되어 가고 있던 중이다. 할머니의 제안으로 모두 열차에서 뛰어내려 탈출하기로 하는데 설희가 먼저 뛰어내려 할머니, 엄마와 헤어지게 된다.

이후 엄마와 할머니를 찾아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중국 하얼빈, 조선의 북쪽 마을 온성, 울릉도에 이르기까지,설희가 오랜 시간 긴 여정을 혼자 겪어가는 이야기이다.

정체를 알 수 없는 털보아저씨와의 만남, 카자흐스탄 까레야 마을까지 고생해 찾아갔지만 가족은 찾지 못하고 안나라는 이름으로 브로에 카페에서 지내게 된 일, 다시 하얼빈으로 가던 중 생체실험장에 끌려갔다가 도망쳐 나온 일, 함경북도 온성 마을로, 다시 울릉도로 오는 동안 열네살이던 설희는 열여덟살이 된다.

그 시대 고난의 역사를 몸으로 겪어내며 살아야 했던 우리 민족의 이야기를, 특히 청소년기 소녀의 삶을 통해 그리고 싶었다는 것이 작가의 의도이다.

원래 단편 초고로 작성한 것이 15년 전이었고, 하얼빈을 직접 다녀올 기회가 생기면서 장편 서사가 본격적으로 그려져 올해 200여쪽의 소설로 나오게 되었다. 완성에 15년이 걸린 셈이니 그동안 들여졌을 작가의 시간과 노력, 끈기가 대단하다 생각된다. 바이칼틸이라는 철새를 이야기의 도입과 마무리에 등장시켜 설희는 물론 우리 민족의 처지를 비유하였고 마침내 자유를 향해 날아가는 마지막 장면은 희망적이다.

200여쪽 분량이 청소년 소설로 적은 분량은 아니지만 이야기의 무대, 서사를 그 분량으로 다 전달시키려다보면 과부하가 되지 않을까 하는 염려와 재미 사이를 줄타듯 하며 읽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0-08-15 23: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보다가 조금 헷갈릴 수 있을듯하여 말씀드려요. 러일전쟁은 1904년에 시작해서 1905에 끝났고 러시아는 1917년 볼세비키혁명으로 무너졌어요. 그후 1922년에 소련(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탄생하는데 이는 러시아지역과 주변 국가들을 합친 연방국가였죠. 우리가 흔히 소련이라고 불러요. 연해주 지역의 고려인에 대한 강제이주는 이 소련의 등장 이후 스탈린 시대 즉 1937년에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강제이주의 주체는 러시아가 아니라 소련이 되어요. 소설의 시대배경이 헷갈릴수 있을것 같아서 잠시 한자 적어요. ^^

hnine 2020-08-16 04:32   좋아요 0 | URL
아, 그렇군요. 저도 늘 러시아에서 소련, 다시 러시아로의 전환시기와 계기에 대한 것이 헷갈렸었는데 설명해주신 것 읽으니 잘 알겠네요. 본문을 인용하다보니 정확하게는 소련으로 표기되어야 할 곳도 러시아로 적은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페크pek0501 2020-08-17 12: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성장 소설 많이 읽었어요. 특히 작가의 자전적 성장 소설은 흥미롭지요.
동화나 청소년 소설도 어른이 읽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타인을 이해한다는 건 중요하니까요. 자녀를 이해하는 데 도움도 되고요.
어느 책에서 봤는데 동화나 어른 책을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다고 합니다.
<어린 왕자>의 경우 생텍쥐페리가 동화로 쓴 건 아니라고 하네요. 그러나 동화로 읽히기도 하고 그래서 더 좋은 책이라고 하네요.
정채봉 작가가 새 장르를 개척했다고 하는데 바로 ‘어른이 읽는 동화‘를 썼다는 거라고 합니다.
저도 동화와 청소년 소설을 구입해 읽어야겠습니다.

hnine 2020-08-17 16:05   좋아요 1 | URL
저도 요즘 좀 뜸했지만 성장소설 무척 좋아해서 많이도 읽었어요. 제 안에 아직 자라지 않은 아이가 있어서 그런가봐요.
요즘은 그림책에도 다시 관심이 가기 시작해서, 그림책도 일부러 구입해서 옆에 두고 볼까 생각중이어요. 나이들어간다는 증거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