엊그제 다락방님 덕분에 최영미 시인의 신간 시집이 출간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제 배송된 시집을 비오는 오늘, 처음부터 주욱 읽고, 다시 첫장으로 돌아가 또한번을 주욱 읽었다.
최영미의 시는 시로 쓰여진 일기장이다. 적어도 내게는 그렇다. 누구도 이런 식으로 일기를 쓰지 못하리라.
1990년대 중반, 서른 언저리에 낸 첫 시집으로 베스트 셀러 시인이 되었던 그녀의 나이 이제 오십대 후반이다.
열 다섯 살엔 가장 먼 미래였던 서른 살. 도저히 도달할 수 없을 것 같던 서른을 넘겼고 이제 오십이 지나 뻣뻣해진 손가락으로 쓰는 나이가 되었다고 했다. 어제도 오늘 같고 오늘도 내일 같아 달력을 보지 않는 새벽을 맞이하는 나이라고 ('낙원').
지난 사랑의 기억, 페미니즘, 미투 운동, 부친상, 요양원에 있는 모친 병간호 등 외롭고 고달픈 시간의 일기장이다.
힘 앞에, 권력 앞에, 거짓 앞에, 굴복하지 않고 살아내느라 버티는 사람에게 위로가 필요했을 시간들의 기록이다. 아마 시인은 시를 쓰며, 시로 풀어내며 스스로 위로하지 않았을까.
문제의 시 <괴물>도 이 시집에 다시 실었고, 재판 과정을 소재로 한 시들이 이 외에도 더 수록되어 있다.
시의 형태로 태어나면서도 여전히 퍼렇게 날이 살아있는 기록들을 읽으며 마음이 무거워져오다가 정작 눈물이 차오른건 오랜만에 시 청탁을 받고 쓴 '원고 청탁'이라는 시를 읽을 때였다. 시인은 오랜만에 흥이 나있는데 그런 시인을 보며 나는 왜 참고 있던 감정을 터뜨렸을까.
시집은 두번 연달아 읽고, 시에서 언급된 노래 '미친 여자의 사랑 노래 (Mad girl's love song)'는 듣고, 듣고 또 듣고 했다. 아마 수십번.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0629/pimg_714995163223076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