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사자소학 따라쓰기 어린이를 위한 따라쓰기
HRS 학습센터 기획.엮음 / 루돌프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양식 교육을 받고 동양식으로 양육되다가, 다 늦게 동양식 교육/공부에 대한 관심으로 쓰고 있다. 오래 전에 대학/중용,은 내가 쓰고 사자소학은 아이보고 쓰라고 산 건데, 결국 쓰지 않길래, 가끔은 아이가 삐뚤빼뚤 따라쓰기한 위로 그냥 내가 다시 쓰고 있다. 아직 다 쓰지 못했지만, 이것이 '학문'이고 '배움'이구나 싶은 대목들을 만난다. 어제 쓴 부분은 몸가짐이 어때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배움과 삶이 나뉘지 않는 배움, 말이다. 이런 공부를 정진하는 아이를 보는 부모는 기쁠 것이다. 어린이의 첫 배움 책인 '사자소학'에서 '내가 공부를 하면 부모가 기뻐하신다'라는 말을 만나는 것은, 지금의 공부를 상상하면 안 되는 거다. 바르게 서고, 단정하게 차리고, 콩 한쪽도 형제와 나눠먹고, 형제를 부모의 다른 모습으로 상상하며 공경하는 것을 가르치는 바로 그 공부에 대한 것이다.

사는 것에 대해 배우고 있다. 사람으로 사는 것이 쉽지 않지만, 여전히 배우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의 시대를 건너는 힘
강상중 지음, 노수경 옮김 / 사계절 / 2017년 3월
평점 :
절판


읽으면서, 종교적이라는 생각을 계속 했다. 아, 기독교적이야. 악을 묘사하기 위한 인용과 악이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이야기들이 '기독교적'이라고 느꼈다. 관계를 결여한 공허 속에서 악이 창궐한다는 이야기 자체에는 공감할 수 있으면서도, 그 모든 맥락이나 설명들이 나의 무언가와 충돌한다고 느꼈다. 예전에 '악'을 병으로 묘사한 책을 본 적도 있었고-'거짓의 사람들'-, 기독교의 어떤 태도에 경계하는 심정이 있어서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이걸 예전에 생각해봤던 적이 있는데, 싶어 묵은 일기를 뒤적였다. 


'15년 4월의 일기에 이런 질문들,이라고 끄적여 논 게 있더라. 

맥락은 다르지만, 붙여놓는다. 


약함이라는 악함,

- 삼척 나갔다가 시온성교회,의 전단지를 보았다. 자신의 주인을 '자기자신'이라고 하지 말고, 자신의 주인의 자리에 '주예수'를 앉히면 인생이 삶이 편안할 거라는 설득.

- 예전에 장에 가서, 집에 자꾸 쌓이는 비닐봉다리주면서 담아달라고 했더니, 아주머니가 '돈내고 사가면서, 새 거에 담아달라고 하라'며, 얕잡아보일 거라고 하심. 그런 건가 싶어서.

- 자신을 약하다,고 정의하는 순간 어떤 '악함'이 비집고 들어올 틈이 생기나 뭐 이런 생각을 함


인간은 약하다,는 말도 진실이고, 인간이 강하다,는 말도 진실이다. 전자의 인간이 관계성을 결여한 인간이라면 후자의 인간은 관계를 회복했을 때다. 스스로를 약하다거나 강하다거나 하는 믿음은 나 자신을 어디까지 확장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르부아르 오르부아르 3부작 1
피에르 르메트르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지하게 재밌다는 평이 있어서, 궁금했다. 

읽으면서 그렇게 재미있지 않고 심지어 싫어서 계속 생각했다. 

남자와 여자, 동양과 서양, 부자와 가난한 자, 같은 것. 비열하고 잔인하고, 뻔뻔스러운 그런 존재인 인간. 그런데, 소설로 그런 사실이 전시되는 걸 보고 있으니, 내내 기분이 좋지 않았다. 


소설은 전쟁이 끝난 프랑스에서 벌어지는 두 건의 사기사건, 각 사건에 엮인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다. 하나는 역사적인 실제 사건이 소재가 되었고, 다른 사건은 작가의 창작이라고 했다. 전쟁영웅으로 전쟁 중에 가매장한 시체들을 이장하는 국가의 공공사업권을 통해 한 몫 단단히 잡으려는 몰락한 귀족과, 전쟁 중에 살아 돌아온 것이 그저 다행인 두 젊은이가 전국적인 기념비건립사업에 사기를 친다. 남자들의 이야기다. 이야기는 있지만, 인물들을 대하는 작가의 묘사는 쓸쓸하고, 각각의 인물 뿐 아니라, 대중들에 대한 묘사도 차갑다. 그나마 다행인 존재, 자신을 매수하려던 거금을 한장한장 보고서에 붙이는 말단 공무원조차  더럽고 구질구질하게 묘사한다. 그 사람을 대하는 대중의 태도는 진실이겠지만, 아 싫다고, 하는 심정이었다.  

사업이라고 묘사되는 상류층의 사기와 그냥 사기. 그래도 둘 중 하나가 성공하길 바랬다면 후자이지만, 그보다 나는 전쟁이 싫고, 뻔뻔함이 싫고, 이런 존재가 인간이라는 게 싫었다. 인간은 동물이다. 밥을 먹고, 똥을 누고, 성교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 모두를 통으로 전시해놓는 걸 내가 보고 싶은가. 아니라고, 나는 그걸 보고 싶지 않았다. 소설 속 어떤 등장인물에게도 이입하지 않는 작가의 냉소가, 어떤 인물에게도 영웅적 묘사는 없는 작가의 태도가, 그래, 싫었다. 인간이 등장하는 동물의 왕국을 보는 기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소월 시집 범우문고 16
김소월 지음 / 범우사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어릴 때, 집에 김소월 시집이 있었다. 오래 전 읽었었으니, 다시 읽으면 새로울 거야,라고 생각했는데, 잊힌 시들이 아니다. 살면서 내내 듣던 노래들이라서, 이미 노래들이라서, 애써 외우지 않았더라도 머릿 속에도 마음 속에도 콱 박혀 있었다. 참 좋다고 흥얼거리던 옛노래 가사들이 시집에 그대로 박혀있다.  


짧은 생이어서, 추려 뽑은 한 권의 책이어서 시 하나하나가 귀하다. 


책 속에 정리된 그의 삶이 어쩌면 내가 생각하는 시인의 전형인 것도 같았다. 그의 삶을 정리한 사람이 묘사한 대로 날개가 너무 커서 높이 하늘을 날다가, 땅에서는 뒤뚱거리면서 걷는 새같은 삶이었다. 빠르게 달라지는 세상에 마음처럼 살아내지 못하는 시인의 삶이 아팠다. 세상이 변하고, 가치가 변하고, 시인은 믿는 바와 사는 바의 불일치를 감당하지 못했다. 결국 타인의 묘사로 빚어진 것 뿐이지만, 시 속의 슬픔들과 얼크러져서 내 마음대로 그렇게 믿어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대통령 선택의 심리학
김태형 지음 / 원더박스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선후보들의 심리분석,책이다. 박근혜의 심리에 대한 나름 선견지명있는 분석을 내놓았던 저자라는데, 재미나게 읽었던 불안증폭사회,의 저자였다. 전자책인데, 종이책으로 사지 않은 걸 후회했다. 당장 읽고 싶어서 전자책으로 샀고, 사자마자 한달음에 읽을 수 있었는데, 재미있어서 다른 사람에게도 읽어보라고 하고 싶은데, 전자책이라서 줄 수가 없는 거다. 

기획은 있었는데 선거가 당겨지는 바람에, 모든 후보를 담지는 못했다. 문재인, 이재명, 안철수, 유승민에 대한 심리분석이고, 마지막에는 이번 선거를 대하는 대중에 대한 심리를 분석한다.

많은 심리분석서들이 그렇듯이, 부모와 어떤 관계였을지를 추정하고 그런 관계 안에서 어떤 사람으로 성장했는지 말한다. 자신이 한 말들 속에서, 후보가 가지는 스스로의 상, 국민과 자신의 관계, 표현되는 욕구와 내면의 욕구 같은 것들을 이야기한다. 대개 수긍할 수 있다.  

조건이 달린 사랑을 받은 과거의 기억이, 다 큰 어른의 행동을 어떤 식으로 제약하는지 같은 것들을 보고 있으면, 세상 어려운 게 부모 노릇이라는 생각이 든다. 존재를 존재 그대로 사랑하고 지지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도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17-04-14 18: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뭐 대선떄가 되는 이런 책이 많이 나오는군요.그나저나 대선 기간이 의외로 단축되어서 이런류의 책들이 좀 날림으로 나오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별족 2017-04-15 05:57   좋아요 0 | URL
충분한 숙고보다, 시의성이 중요하니까요. 나름 재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