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브라이슨 발칙한 유럽산책 - 발칙한 글쟁이의 의외로 훈훈한 여행기 빌 브라이슨 시리즈
빌 브라이슨 지음, 권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여동생에게 여행기를 권했다가 혹평을 들었다. 나의 평은 나름 재미있어, 였지만, 동생은 단호하고 명쾌하게 '여행은 하는 게 더 재미있지'라고 말했다. 그런가.

그렇지만, 이 책은 또 다르지 않을까. 이건 투덜이 아저씨의 유럽 여행기인데, 여행은 그저 하나의 계기일 뿐이고, 하고 싶은 이야기는 자신의 전 우주에 걸쳐있다. 사실, 나는 그래서, 여행기를 본다.

익숙하지 않은 도시에서의 어리버리함을 좋아한다는 이 분은 그래서 여행작가고, 나는 붙박이 가구가 되는 거겠지만, 이 아저씨의 여행은 나에게 위화감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 빠르게 도시들을 질러 이동하면서, 도시에서 산책을 하는 이 아저씨에게는 '내가 거길 가봤어', '나는 거기서 따뜻한 우정을 나누었네'라는 허세가 없다. 죽기 전에 꼭 봐야 하는 그 풍경을 당신도 보아야 해,라는 묘한 냄새도 없다.역 앞에 팔을 끄는 사람에게 끌려 하룻밤의 숙박을 정해 가면서, '결국 나는 이렇게 죽을 거야' 심난해 하는.

바보같아도 가리는 법 없고, 멍청해 보여도 상관 없다. 덕분에 하고 싶은 말도 가리지 않는다. 이 아저씨가 유럽의 많은 나라들 가로질러 이런 저런 민족성을 주워섬길 때, 그건 흉이 아니라, 미덕 같다. 어느 나라 특유의 불친절, 어느 나라 특유의 거만함, 어느 나라 특유의 무질서, 그걸 다 좋아한다는 게 전해진다. 같아져버린 풍경에 맘이 상하고, 어느 날은 불편을 바라다가, 어느 날은 쾌적을 바라는 자신의 변덕조차 모두 드러나는 그래서 여행이지 싶은 거다.

남의 멍청함에 떼굴떼굴 구르는 건 인지상정. 여행기라서 보는 게 아니라, 여행 시트콤이라서 나는 봤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마일맘 2011-09-09 14: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 앞에 팔을 끄는 사람에게 끌려 하룻밤의 숙박을 정해 가면서, '결국 나는 이렇게 죽을 거야' 심난해 하는. ->이거 딱 저의 경험담이네요...하하. 로마 테르미니 역에 내려서 호객행위를 하는 조선족 부부 손에 어리버리 끌려가며 "이대로 나는 어딘가 팔려가는 게 아닐까"하고 두려워했던 그 순간이 저절로 기억나는걸요.... 저도 한 번 읽고 싶어지는 책입니다~
 
어느 날 내가 죽었습니다 (반양장) 반올림 1
이경혜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읽고 선물해서 이미 내게 없는데 가끔 아쉽게 생각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질질 울고 있을 때, 남편이 물었다. "제목이 뭐 이래"

"응, 그게"

이건 소년의 일기를 소녀가 보는 이야기이다. 소년의 일기는 이렇게 시작하고, 소년은 그렇게 어느 날 죽은 뒤이다. 소년은 일기에 그렇게 쓰고, 내일 죽을 사람처럼 오늘을 산다. 소년의 태도를 설명했더니, 남편은 "야, 거 참, 젊은 놈이 벌써 그걸 깨달았단 말야."

소년은 죽었는데, 사는 동안 행복했을 것이다. 꿈도 있고, 좋아하던 여자애도 있고-비록 차였지만-, 죽이 맞는 친구도 있고, 늘 무서워서 시도조차 하지 않던 오토바이로 정말 날듯이 달려도 봤고.

쉽지 않다. 그런 삶의 태도. 현실의 순간 순간을 우리는 미래에 내어준다. 결코 오지 않을 내일의 성공, 부, 행복? 때문이라고 자기자신을 설득해서, 오늘의 행복, 꿈, 사랑을 무시한다.

아, 나는 행복하고 싶다, 오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 인권 운동가 오창익의 거침없는 한국 사회 리포트
오창익 지음, 조승연 그림 / 삼인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새로운 게 없다. 이건 내가 이런 주제들에 귀기울여왔단 뜻인가, 별로 그렇지도 않은 거 같은데.

기억에 남는 건 이런 거. 우리나라 범죄율이 세계 최하위 수준, 공시된 집 가격이 가장 싼 동네는 경북 울진.

나의 구매목록에 신랑이 추가해달래서 산 책이다. 내가 무슨 큰 기대를 한 건 아닌데, '미녀들의 수다'보다 더 참신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주제에 집중한 매끈한 글맵시가 드러나는 것도 아니다. 어디선가 들은 적 있는 쪽글들이 책 한권으로 내 눈 앞에 있는 것이다.

한 글 내에서 주제도 가끔 흐트러지고, '찜질방과 때밀이'는 무슨 이유로 들어 있는지 알 수가 없다. 정말 우리나라를 텍스트로 찍어둘려고 하는 것인지. 이게 인권의 측면에서 무슨 문제가 되는 것인지.

의문은 이런 것, '정말 '인권'이란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시간
티모시 페리스 지음, 최원형 옮김 / 부키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안정적인 직장에 다니고 있다. 직장생활이 쌓여갈수록, 갈등이 늘어난다. '나는 이런 삶을 원하나?', '직장은 나에게 무엇인가?', '나는 무슨 꿈을 꾸는가?'

지난 갈등의 시기, 나를 넘어가게 한 것은, 진지한 일본인 메모광이었고, 지금 나를 넘어가게 하는 것이 이 책이다.

그렇다, 회사가 자본이 요구하는 일을 해내는 데는 그들이 요구하는 시간 전부를 요구하지 않는 것이다. 나는 회사가 원하는 일을 해내는 데, 그렇다. 이 책의 제목만큼밖에 쓰지 않아도 된다. 몸을 쓰는 일이 아니라, 머리를 쓰는 일, 무작정 시작하지 않는다면, 쓸데없는 일들로 주변을 어슬렁거리면서 그 방법을 궁리하고 시작하는 편이 훨씬 적은 시간에 훨씬 높은 성취를 할 수 있다. 이건 나도 알고, 내 주변의 누구라도 알고 있는 거 같다. 그래서, 이 책에 열광하는 것일 게다.  회사는 아니라고 할 거다. '네가 내가 원한 일을 하루 중 한 시간을 투자해서 해냈다면, 이것도 하고, 저것도 또 하라고, 그걸 하라고 내가 월급을 주는 거니까, 그 시간을 다른 데 쓰는 것은 심지어 '도둑질''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러나, 사람은 그런 존재가 아니니까, 그런 요구대로 존재할 수가 없는 거다.

나는 내가 그런 '회사'에 얼마나 동의했는지 알고 있다. 완전한 범생 마인드로 회사에서 노는 꼴 못 참는 인간인 거다. 그런데도, 햇수가 쌓여, 내게 시간이 생기니까 마음이 불안하고, 나는 중요하지 않다는 마음이 생기던 중이었다. 하고 싶은 일들-회사일은 아닌-은 많지만, 회사에서 그런 일을 하면 안 된다는 마음으로 내 자신을 못 살게 굴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을 만나서, 그 시간들이 생긴 것이고, 그래서, 나는 그 시간에 하고 싶은 것을 하기로 한다. 회사가 내게 요구한 일을 해내는 데 이 정도 시간이 걸린 거라면 되었다. 나는 그 일의 댓가로 월급을 받고, 다른 시간은 다른 용도로 쓰더라도 괜찮다,는 마음이 되었다. 그래서,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터키, 신화와 성서의 무대, 이슬람이 숨쉬는 땅 타산지석 4
이희철 지음 / 리수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내용이 너무 많다. 여행을 가게 되어 읽은 남편의 책이다. 남편은 이 책을 좋았고, 이 책을 읽고 터키에 무척 가고 싶었던 모양인데, 나는 이 책이 그렇게 좋지는 않았다.

친절한 친구가  터키에 대해 알려주기는 하는데, 너무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바람에 그 인상이 나에게 쏙쏙 들어오지를 않는다. 한권으로 절대 불가능한 이야기를 한권에 담았다면, 그건 늘 부족한 느낌으로 끝나게 되는 것이다. 순전한 개인의 감상은 아니고, 객관적인 진실들로 담기에는 지면이 부족하고, 해야 할 말들은 지나치게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읽는 동안 '가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으니까 나쁘지는 않은 셈.

책의 맺음은 정말 놀랍다. 이게 끝이야,라는 의문을 자아내는 편집과 끝이다. 끝은 어디서든 낼 수 있지만, 끝다운 맛이 없는 끝이다.

 참,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한창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한창일 때 터키의 사람들이 우리 나라를 배우려고 방문한 적이 있는데, 방문 전에 '한국을 배우자'가 정작 방문 후에는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이므로 한국처럼 할 수 없다'로 결론지어졌다는 대목.(갑자기 생각나서 다 늦게 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