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 시장 상품 인간을 거부하고 쓸모 있는 실업을 할 권리
이반 일리치 지음, 허택 옮김 / 느린걸음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 책에 대해서 전하고 나니, 남편은 '중립적인 체는 쉬워'라고 말했다. 

이 사람을 중립적이라고 하지는 않아, 가장 급진적인 생태주의자로 평가받았다구,라고 또 전하자, 가장 급진적이라는 게 이제는 식상하게 들리는 구나, 라고 남편은 말했다. 


좌파에게도 우파에게도 환영받지 못한, 이란 수사가 붙은 이 책의 저자는, 기술과 전문가 집단에 대해 말한다. 언제나, 애매한 입장이라 크게 말하지 않는 나는, 언제나 국가의 목표가 더 높은 GDP가 아니라, 적정한 수준의 '가난'이라고 정리해보겠다고 말만 많은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이미 말한 사람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뭐 대학에도 있다, '돈이 모이면 사람이 흩어지고, 돈이 흩어지면 사람이 모인다'고. 


보육료 지원에 대해 말할 때, 내게 '왜 내 아이를 나라에 키워달라고 해?'라고 반문하던 사람에게 나는 대답할 말을 찾지 못했다. 돈이 없어도 아이를 키웠던 전 세대의 사람들을 나는 아는데, 돈이 없어서 아이를 키우지 못하겠다고, 나라에서 아이를 키우라고 주장하는 게 맞는 건지 순식간에 의문이 들었던 거다. 

나는 비용이 들기 때문에 기술을 선택하는 것은 흔해지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부가 늘어나면서 오히려 비용이 들기 때문에 기술을 선택하는 순간이 늘어난다. 심지어, 시장은 공포를 조장해 돈을 꺼낸다. 손으로 빤 빨래는 믿을 수 없어 세탁기에 돌리는 시대가 올지도 모르고, 엄마가 한 밥은 믿을 수 없어, 식품성분을 표시한 매대의 조리음식을 사는 걸  선호하는 시대가 이미 왔는지도 모르겠다. 그런 식으로 더하기만 하면, 언제나 문제가 한 참 후에나 알려질 텐데, 더하고 더하고 더하는 식으로 삶은 변하고, 더하고 더하고 더할 돈이 없어서 사람들이 삶을 살지 못한다. 아이를 먹이고 입히고 재우는 것은 돈이 드는 게 아닌데, 더 좋은 걸 먹이고 입히려고 돈을 버느라 정작 아이와 눈을 맞추지 못하는 부모가 되는 것처럼. 

책 속의 묘사가 무섭고도 절절해서 슬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린이를 위한 대학.중용 따라쓰기 어린이를 위한 따라쓰기
HRS 학습센터 엮음 / 루돌프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새 마음이 텅 비어버려서, 쓰고 있는데, 좋다. 대학의 열두번째 문장을 따라썼던가.

 

어렸을 때, 잡지에 끼어져 있던 단편동화쯤 되려나. 그 속에서, 손가락이 잘린 식당종업원에 불쾌해진 손님이, 식당주인을 불러 조용히 항의했더니, 그 식당주인이, 저는 배운 걸 실천하고 있는 거라고 말했다던가. 조용히 항의한 손님은 교수였다는 그런 이야기였다. 배움이 아무리 많아도, 배운 대로 실천하는 게 쉽지 않다고, 단 한가지라도 실천한다면 좋은 삶이라고 그런 이야기였었나.

 

이야기를 계속계속 읽고 있지만, 여전히 그리고 지금까지 살아오고 있지만, 그런 삶이 쉽지 않은 걸 알고 있다. 너무 복잡하고, 너무 많은 이야기 가운데, 단순한 이야기를 읽고 싶어서, 요새 부쩍 한자 쓰기에 재미들린 딸아이를 위해 보다가, 이건 내가 써야지, 하고 샀다.

단순한 말이지만, 가슴을 친다. 간단하게 번역한 한글을 정자로 두번 따라쓰고, 아래 한문은 붓펜으로 두번 또 따라쓰고 있다. 매일 한 문장씩. 지당하게 옳은 말씀이라서, 새삼스러운 그런 말들을 가슴을 치면서 따라쓰고 있다. 이 말들이 있는데, 내가 한 마디라도 보태는 것은 쓰레기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면서 따라쓰고 있다.

어린이가 아닌 나를 위해서, 공부하기 좋은 순서인 대학-논어-맹자-중용,의 따라쓰기가 있으면 좋겠다. 논어는 살 생각인데. 맹자,가 없다. 역사와 이야기들로 살을 붙인 이야기도 물론 좋지만, 옛사람이 익히던 대로, 그대로 따라쓰고, 읽을 수 있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
요나스 요나손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은 죽기 때문에, 인생은 필패,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래서, 지금 100살까지 살았으면서, 여전히 살아있는 이 노인의 이야기가 나는 좋지 않았다.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누락된 느낌. 죽음을 못 본체 하는 느낌.

 

소설이니까 그 100년을 살면서 누구를 만났고, 무엇을 했건 그건 소설가 마음이고, 또 어디를 갔던지, 것도 소설가 마음이니까, 재미있기만 하면 뭔 상관일까, 싶은데. 지금의 내가 그런 건지, 나는 이 소설에 열광한다는 사람들의 마음은 어떤 건가 싶어 좋지 않았다.

떠오르는 것은, 동화책 삼백이, 그림책 백만년 산 고양이, 같은 것들.

그렇게 사는 게 무슨 소용인가 싶은 것.

전 세계를 보았다고 해도, 전 세계의 대통령과 지도자들과 안다고 해서, 그게 뭐 별건가 싶은 것. 싦이란 그런 것보다 빛나는 어떤 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게 그저 오락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시간을 보내자고, 즐겁게 시간을 보내자고 책을 읽었지만, 나는 그렇게 순전히 즐겁기만 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다. 언제나 지나치게 생각이 많은 나는, 지금 열광하는 사람들이 바라는 것은, 출처를 알 수 없는 또 알고 싶지도 않은 엄청난 돈이어서, 날씨 좋은 어느 물가 싼 나라의 해변에 칵테일을 들고 늙는 것인가 싶어서 슬펐다.

더이상 자신의 삶을 공동체의 삶에서 구하지 않는, 이런 식의 삶을 선망하기 때문에 유쾌하다,고들 하는가 싶어서  슬펐다.

소중한 사람들 때문에 어떤 여행도 돌아오는 게 가장 좋은 나는, 비행기를 타는 게 얼마나 지구에 부담스러운 일인지 안 뒤부터 세계여행의 선망따위 날려버린 나는, 이 책 속의 삶을 선망하는 사람들과 같이 살아가는 삶이 버거워서 슬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건 이야기 - 너무 늦기 전에 알아야 할
애니 레너드 지음, 김승진 옮김 / 김영사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전기를 만드는 회사에 다닌다. 아직 우리나라에서 전기를 만드는 일의 대부분은 공기업에서 하는 일이라서, 전기를 만들지만 더 많이 쓰라고 영업을 하지는 않는다. 만들고 파는 일이 분리되기 전에는 오히려 아껴쓰라고 말해야 했었다. 물론, 태양열 온수기의 폭발적인 보급을 막기 위해 '심야전기'라는 걸 판촉했었다는 음모론도 듣기는 한다. 그렇지만, 대외적으로 대내적으로 '전기절약'을 말해야 했다. 

그래서, 전기를 아껴쓰라,는 말에 언제나 닥치는 '주거용 전기는 충분히 비싸, 전기절약을 말하은 것은 음흉해'라는 반박에 움츠러 들었다. 충분히 비싼데도 충분히 아끼지 않잖아요, 라는 반박은 우습고,  산업용 전기가 싸다는 건 나도 알고 있고 산업용 전기를 올린다는 건 쓰고 있는 많은 물건들의 값이 오를 거라는 거고, 그래서, 그것까지 수용하게는 못하겠다는 마음이 되는 거다. 설명의 고리는 여기서 빠지고 휘청휘청 거리다가 그래, 어쩌겠어, 남들까지 뭐라지는 못하고 나나 아껴야지, 가 되는 식이었다.

물건 이야기에 쓰레기 그림이 나온다. 개인이 버리는 쓰레기, 나란히 산업쓰레기, 건축폐기물 쓰레기, 개인이 버린 쓰레기는 산이라고 부르기엔 작지만, 다른 쓰레기들은 산이라고 부를 만큼 높고 크다. 그걸 보고, 나는 그래, 쓰레기문제도 마찬가지야. 개인만 규제해서 뭐하겠어, 산업쓰레기가 이렇게 산인데, 하려다가 내내 읽은 앞의 이야기들이 떠올랐다.결국 개인이 사용하는 물건들을 만들기 위해 나온 쓰레기가 산업쓰레기다. 내내 이야기하던 것은 내가 쓰는 물건을 만들기 위해 쓰레기 산들이 생겨났다는 거였다. 그 많은 쓰레기 산을 만들며 내게 온 그 물건이 쓸모없는 거였다면, 결국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진다면, '내가' 버리지 않는다고 해도 그건 '내 잘못'인 게 맞다, 가 되었다. 전기처럼 버려지는 데 자각조차 없는 물건도 만드는 과정에서 쓰레기들이 생긴다.

쓰레기를 만들지 않으려면, 언제나 '줄이고''다시 쓰고''재활용'해야 한다. 그리고 1순위는 언제나 '줄이는 것', 삶을 줄이는 것. 삶에 필요한 걸 '줄이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수아비춤
조정래 지음 / 문학의문학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읽은 책들을 팔아치우는 중인데, 남편이 이 책을 팔라고 했다. 나도 읽고 남편도 읽었고 다시 읽지 않을 책들이 그 대상이었기 때문에, 작가에 대한 비난을 포함한 '팔아버려'라는 말에 나도 읽기 시작했다. 

팔고 싶어서 끝까지 읽었다. 아니, 그래도 무언가 있을 거야, 설마 이게 전부는 아닐꺼야가 마지막 장을 넘긴 이유다. 읽는 내내 역겨워서 겨우, 겨우 읽었다. 다 읽고 후회했다. 이입할 사람 하나 없는 소설이라니, 캐릭터 없는 소설이라니, 태백산맥도 그랬었나, 태백산맥도 그저 현장을 스케치한 것 뿐인데, 그렇게 재미있었던 건가, 하는 생각까지 했다.


뒤죽박죽이지만, 세세하게 묘사된 '오스카 와오~'를 끝낸 뒤라, '도덕적 인간은~'를 끝낸 뒤라 더, 작가의 그 단순명료한 묘사들이 혐오스러웠다.캐릭터 없는 개인들, 배경으로 등장하는 여성들이 혐오스러웠다.  그 안에 전 우주가 존재하는 생명으로 개인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 소설은 소설이기는 한가, 싶다.


삼성을 생각한다, 대신 이 소설을 읽을 이유는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